서령님 [746606]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7-10-16 22:59:39
조회수 593

지1 질문 6개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3524055

1. 적도 반류도 바람때문에생긴건가요


2. 우리나라 동해의 조경 수역이 평소보다 올라가고 내려가는건 난류의 영향이큰가요 한류의 영향이큰가요(상대적으로)


3. 혜성의 이온 꼬리와 먼지 꼬리중 태양의 정반대편에 생기는것은 무엇인가요

            

4. 미세 중력 렌즈 현상에서  <관측자>          [렌즈현상일으키는 중심별X]                   [위 또는 아래로 진행하는 별Y]

   

     이런 상황일때 중심별X 때문에 Y별의 빛이 휘어서 우리에게 관측되는게 맞나요? 그때 중심별X에 행성이 있으면 

     그 행성때문에 관측되는 별Y의 빛의 밝기가 미세하게 바뀌는거도 맞나요? 글고 만약 중심별X가없으면 Y의빛은 관측되지        않나요?


5. 몬트리올 의정서, 교토 의정서? 이런거 각각 무슨내용인지 암기해야되나요


6. 행성들 특징묻는문제 외워두면좋은것들 뭐뭐잇을까요? (막 위성없는행성들이라든지..)


지학 50받는법좀요! (지금 45)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센츄 · 719677 · 17/10/16 23:02 · MS 2016

    적도반류는 그냥 서쪽에 잇는 물이 남아서 적도에서 다시 돌아가는걸로 알고잇어요 그래서 북적도해류 약해지면 같이 적도반류도 약해지고

  • 리르 에류엘 · 725333 · 17/10/16 23:03 · MS 2017

    이온꼬리가‥ 반대일것같아요‥

  • 센츄 · 719677 · 17/10/16 23:03 · MS 2016

    오지훈이 매년 강조하는 목성위성중 가장 질량큰 가네메데~

  • Y0vR7gL2GIb4Td · 754537 · 17/10/16 23:15 · MS 2017

    1.아니요
    2.모르겠어요..
    3.이온꼬리와 먼지꼬리 모두 반대편이지만 이온꼬린ㄴ 쫙 뻗어있고 먼지꼬리는 휘어져있아요
    4.(1) 넵 (2) 넵 (3) 중심별엑스가 있었다면 평소보다 밝게 관측되는데 없으면 평소처럼 관측되겠져
    5.설마요
    6. 지구형 목성형 확실히 구분되게 하고 그 안에서 저는 크거나 작은 순서대로 순위매겨요
    예를 들면 질량 목성형>지구형
    지구형내에서 지>금>화>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