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커리큘럼 [1305554] · MS 2024 · 쪽지

2024-05-18 18:29:20
조회수 3,464

[사회•문화] 사문을 처음 접한다면 주목!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8105612

0. 시작하기에 앞서, 갑자기 왜 사문 칼럼이냐?


요즘 들어 사탐런을 하는 분들도 많아 보이고 현역 분들도

열심히 사문을 하고 계실텐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방향성을

잘 잡아갔으면 좋을 거 같아 작성하게 됐습니당!


아 그리구 "너가 뭔데?" 라고 물어보시면 할 말이 없지만...

나름 24수능 사문 만점이기도 했고 사문 공부 한달만에 1등급 찍은

경험도 있기에 부족하지만 시도해봅니다...!


1. 사문 개념이 적다는데 맞나요..?? (개념 공부 어떡하죠..??)


절대적인 개념량은 적은 과목임이 분명합니다!

허나, 다른 과목들과는 다르게 디테일하게 알아야하며 또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은게 바로 사회문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당


가령, 예시를 들어볼까요

ex) 사내 노동조합은 비공식 조직이며 자발적 결사체이다.

→ 정답은 자발적 결사체는 맞지만 "공식 조직" 입니다!!


- 어라? 사내라는 키워드가 있다면 비공식 조직 아니었어??


- 저도 처음 개념 공부할 때 정말 헷갈렸는데 이와 같이

단순하게 판단해서는 틀릴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더더욱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하며, 노동조합의

집단 크기와 업무규율을 생각한다면 공식 조직임을 알 수 있을겁니다.


- 어... 그럼 이런건 어떻게 대처하나요? ㅠㅠ


- 간단합니다. 교재의 개념 설명을 자세히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가 추천드리는 방식은 현실과 결부 짓기입니다.

현실에서 저희가 볼 수 있는 다양한 예시를 사회문화의 개념과

연결시켜보고, 직관적으로 이해 해보는겁니다!!

그리고 네이버 검색 등을 통해서 자세히 조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


2. 개념은 이제 알겠는데... 문제 풀이가 잘 안돼요...


그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순 개념을 알고 있는지 물어보는 문제에 대해선 간단하게

풀 수 있겠지만 사문엔 흔히 말하는 '퍼즐 유형'이란 문제도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들 같은 경우엔 스스로 고민해보는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풀어보기도 하고... 직관을 동원해보기도 하고

어떻게 풀이해야 효율적일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또 풀이 방향이 안보이는 문제는 답지 or 해설강의를 적극 참고해

풀이팁을 익히는 것도 정말 중요하구요 !!


각자에게 맞는 풀이법은 따로 있을테니 스스로 찾아내셔야 해요!!

(다음번엔 제 나름 스스로 잘푼다는 유형에 대해서 풀이법을 다뤄보겠습니다)


3. 실모 시즌이 왔다 !!


우선 사문은 타임어택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하시는 분들은

30분이란 시간이 매우 짧게 느껴질 겁니다.

그렇기에 실모를 통해 실전에서의 대처를 미리 경험해보는거죠!

한 문제가 너무 안풀린다... 빙빙 돌아가는 거 같다?

과감히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겁니당!!


그리고 여기서 또 개념의 중요성이 드러나는데요

자세히 개념을 알고 있고, 출제 포인트를 많은 문제 풀이 경험을 통해

깨달았다면 사문에서 타임어택은 가볍게 무시할 수 있을 겁니다!!

이외로 편안한 과목이에요(?)


4. 마무리하며....


먼저 보잘 것 없는 제 글을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당...

패드로 문제 풀이 첨부해서 보여드릴까 했는데 깜빡했어요 !!!


다음번엔 좀 더 가다듬어서 글도 써보고... 저 또한 많이 공부해 오겠습니당...ㅎㅎ


도표특강 팁, 실전 문제풀이, 컨텐츠 추천, 등급별 효율적 루트

이 4개 정도에서 다음 칼럼을 써볼까 고민중인데...

혹시 다른 궁금한 거 있으시다면 댓글로 ㄱㄱ


가독성이 너무 안좋을 거 같은데 걱정되네요...

애정합니다 사문러들...^^


p.s) 팔로우하실 거면 잡담 알람은 꺼주세용!! 전 뻘글을 주로 쓴답니다...!






0 XDK (+1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