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홍현빈) [336627] · MS 2010 (수정됨) · 쪽지

2016-04-11 22:44:49
조회수 9,775

[Bin/교대점] 수학, 기출의 한계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8265106

- 묻혀서 다시!

- 4월 모의고사 칼럼 몇몇분이 부탁하시던데 난이도도 그렇고 타이밍도 놓쳐서 ㅎㅎ;



- (공부법) 국영수 공부법의 끝: http://orbi.kr/0007782971

- (자극글) 1%와 99% :http://orbi.kr/0007195332

- (수기) 333 에서 111 :http://orbi.kr/0007281823

- 기출분석에 대한 이해 (이과) : http://orbi.kr/0007341489

- 기출분석에 대한 이해 (문과) :http://orbi.kr/0007381471

- 하찮은 수험생, 그리고 10회독 :http://orbi.kr/0007726493

- 공간도형의 끝 :http://orbi.kr/0007877429

- 벡터 Part 1 :http://orbi.kr/0007877429

- 수학, 양치기를 하라는 이유 : http://orbi.kr/0007957406

- 무한등비급수 & 도형 : http://orbi.kr/0008013253

-수학, 방향에 대한 재언급 : http://orbi.kr/0008016047

- 3월 모의고사 분석 칼럼: http://orbi.kr/0008120662
- 4월 홍현빈 모의고사 일부 문항 & 해설 : http://orbi.kr/0008234896






안녕하세요. 홍현빈입니다.


오랜만에 쓰는 칼럼입니다.


어지간히 바빴네요 참. 


6월 모의 전에 또 바빠지겠죠... 


그전에 서둘러 칼럼을 씁니다.



기출의 한계.



사실 지금 쓰기에는 조금 이른감이 있지만,


재수생분들도 있고 하니 그냥 씁니다.



수학에서 기출이 정말 중요한건


지금쯤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겁니다.


"기출만 해도 x등급 가능하다!"


란 말이 있을정도로 기출은 중요하죠.



해서 제가 뭐 블로그나 메일,쪽지로 받는 질문 중


대부분의 기출과 관련된 질문들은 


"기출은 몇회독 하나요"

" 기출분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등등 입니다.



정말 이제 기출에 중요성을 깨닫고 막 시작하려 할 때 생기는 질문이죠.


사실 저 질문을 1,2월달에 했어야하고,(;;)


 이미 방향잡고 가고 있으셔야 하구요.



이미 방향잡고 가고 있다는 전제하에,


그 한계에 대해서 읊고자 합니다.




뭐 주구장창 말하고 결론내리면서 한번 더 강조하는게


제 서술방식이지만,


먼저 말하고 들어가자면


기출은 결국 "사다리"입니다.


(단편적으로요. 수능전에도 다시 볼건데 사다리라니? 하지 마시구제발.)


어느정도 실력향상에 있어서 보탬이 되는건 맞지만,


그 이후엔 걷어차내야 합니다.

(feat. 비트겐슈타인)



제가 고3때 했던 가장 큰 실수가


기출을 너무나 맹신하여 수능 직전까지 붙잡고 있었던 겁니다.



기출을 3,4번 넘어서 5,6회독 해보시면 알겠지만,


풀이가 다 기억이 나요.



이 풀이가 기억나는것은 본인한테 두가지 피해를 주는데


첫번째가 정작 길러야 할 것들을 못기르게 해주고


둘째가 마치 본인이 잘하는 망상을 심어줍니다.




첫번째부터 짚어보자면,


가령, "추론"의 성격이 짙은 기출문제에선


관찰이나 나열을 통해 문제가 품고 있는 규칙이나 틀을 파악, 


식을 세우고 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럼 이 기출에서 핵심은,


관찰이나 나열을 통해 추론해낼수 있느냐 이고,


본인이 이 문제를 틀리거나 버벅거린 이유는,


관찰이나 나열을 어찌해야할지 모르거나


그 다음과정에서의 추론적 사고가 부족해서입니다.



그럼 이런 문제들은 대체 어떻게 잘푸느냐 라고 저한테 물으면


말그대로



"니가 못하는거 연습하세요"


라 답합니다.



그럼 이 기출 문제를 ""다시"" 풀 때에는,




아 이문제ㅋ 이거지 슥슥



하는 순간 첫번째두번째 짓을 하고 있는겁니다.


분명 내가 틀린 이유는 추론과정이 부족한건데,


이미 한번 풀어본 순간 그 추론과정은 이미 다 알고 풀게 되는 것이 되고,


나는 이문제를 풀 때 다 기억이 나므로 식만 세우면 되는겁니다.



그럼 당연히 쉬워지죠.



그간 킬러문제들이 어려웠던 이유는 그런 복잡한 "초기사고과정"을 해낼수 있느냐인데,


그걸 알고 있는상태에서 풀면 3점짜리 문제랑 달라질바가 없는것이고,


마치 본인이 대단하고 선배들이 이해안간다는냥 다음과 같이 말하죠.


"이게 어려워요? 정답률 왜이럼?"



(ㅋㅋㅋㅋ고3 때 제가 했던.. 후)



여튼,


기출을 다시 볼때에는 항상,


짚어봐야해요.


뭘?


사고과정을


아 이문제는 처음보는 식이나 상황이 주어졌으니


관찰이나 나열을 할건데


관찰이나 나열은 이렇게 했어야 하고


이 몇가지를 통해서 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걸 식으로 나타내면~~~



아시겠죠?



이걸 2,3회독 할 때 해야하는거고



그걸 너무나 많이 했을때에 "한계"에 부딪힌다!! 가 이 칼럼의 목적인데


솔직히 2,3회독 할 때부터 복습을 저따구로 합니다.


알아서 한계를 땡겨오는 거예요.


그럼 뭐 성적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해서, 여튼.


복습을 좀 "올바르게" 잘하시구요.


열심히만 해서 되는게 아닙니다.


괜히 방향을 강조하는게 아니예요.


저는 수학기출이랑 영어ebs를 현역때 15회독을 했어요.


공부 열심히 했는데 평균 3등급 맞고 재수했습니다.



그래. 여튼.



한계가 무엇인지 알겠죠?


저런 추론적 상황말고도


가령, "보조선"


보조선을 긋는 도형문제가 나오면


학생들은 처음에야 끙끙 대지만


3,4회독 갈수록 그 문제 풀 때



"응 ~ 보조선 있구요"


하면서 보조선부터 그리고 문제 풉니다.



아 그럼 당연히 쉽지


중요한건


왜 거기에 그 보조선이 그어졌고


그 보조선이 그어진 이유는 다른 도형 문항에도 적용되는 보편적인 이유인가!!


를 따져보는 겁니다.



따지고 따지고 따지고 해서 알지만 다시 짚고짚고짚고


하면서 뇌 벽에다가 


"워..ㄴ  ㄴ ㅏ 오면.. 원의 성지...ㄹ 을 쓰..ㅈ..ㅏ"


새기듯이 복습해줘야해요 


그게 체화구요.



하지만!!!


이것도 결국 어느정도 회독수가 올라갈수록 벅찹니다.



즉 회독수가 늘어갈수록 되려 비효율적인 학습이 되는겁니다.


해서, 이때부터 새로운 문제들을 접해나가야 합니다.




즉, 교과서는 나한테 


"자 이게 니가 배운거임"


하는것이고,


기출은.


"니가 배운게 이렇게 문제로나와!!!!"

"니가 이런것들을 도구로 삼아야해!!!!!!!!!!!"


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점차 외워서 푸는게 되는 것이니


얻은 도구를 정말 잘  활용하고 있는가?

혹은 새로운 문제에 적용해나가면서 연습해야겠다.


해서 다른 문제들을 접해나가는 겁니다.


다른 인강교재가 될수도, 시중문제가 될수도 있습니다.




무슨 말인지 아시겠죠?


고3때 제가 했던 가장 잘한 선택은


누구보다 빠르게 기출을 풀어나가고


그걸 정말 계속 판것이였고.


고3때 제가 했던 가장 잘못된 선택은


그걸 정말 계속 판것이였습니다.




고3들 대부분 그런거 다 알아요.


항상 본인점수를 


과목별로 지금껏 제일 잘본 점수로 취급하잖아요 ㅋㅋㅋ



그러고 수능 때 운이 좋지 않는 이상 똥망하는 겁니다.


저처럼 재수하겠죠 뭐.




제발 그러지 말라고 제가 항상 칼럼쓰는겁니다.



늦지 않았어요.



항상 본인이 하는 공부를 점검하고


뭔가 이상하다는 순간 어떤 변화를 취해줘야해요.




다시 정리.



기출은. 사실 아직까지도. 분명 당신에게 많은 성적향상을 줄 수 있는


소재이지만.


얻은 것들을 다 얻고 난뒤에는 언넝 걷어차고 앞으로 나가야 한다.




결국 수학은 많은 문제를 접해보면서


고등수학에 있어서의 내 내공과 숙련도를 키우고


그것들을 수능때 아낌없이 쏟아내는 것.



연습과 연습과 연습이 주가 되야하지,


기출을 외워진 풀이로의 무의미한 숫자의 나열은 


너의 계산 능력향상 외에는 아무 효과가 없다.






+++여담&잡담.


 그런데 사실 기출을 정~말 중요하다고 하는 이유는,


몇 회독을 하든, 어느정도 성적이 오른 후에 다시 봤을 때


처음에는 내가 못봤던 것들을 볼 수 있기에


중요하고 그렇게 극찬을 하는 겁니다.


근데 그걸 초반에 30회독 막 한다 해서 보이는게 아니예요.


그러니 당장 본인 수준에서 얻을 것 얻었으면


언능 넘기라는 겁니다.




사실 그래서 인강을 듣는거겠죠?



내가 못보는걸 이미 다 본 사람이 


하나하나 짚어주니깐.



근데 뭐 인강도 마찬가지예요. 


100% 다 이해못합니다. 나중에 다시 봤을 때


아 이선생 이 말이었네! 쩐다


가 되겠죠.



여튼, 기출은 아주 중요합니다.


계속 계속 공부하시구요.


제발 맞힌 문제 안풀고 그러지 말고.


많이 많이 보세요.



하지만 그걸로 수능준비가 다 될거라는 망상은 하지 마세요.



요즈음은 기출이 워낙쌓여서 (올해 물갈이 좀됬지만)


좀 복받은 세대이지만.


여튼 다른 무궁무진한 연습소재들을 그냥 버리고 수능보러가지마시길.




아 기출분석은 이 칼럼 참고하세요.


http://orbi.kr/0007341489



끝!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회는 찬스다 · 654666 · 16/04/11 22:51 · MS 2016

    모의고사 만들어 주세요 ㅠㅠ

  • Bin(홍현빈) · 336627 · 16/04/11 22:55 · MS 2010

    6월직전에 보시는걸로 ㅠㅠ 간간히 문제 올리겠슴당

  • 기회는 찬스다 · 654666 · 16/04/11 22:56 · MS 2016

    가형 3월 4월 거 둘 다 봤는데..
    3월은 무난하더군녀
    근데 4월은.... 음..
    일단 오류 때문에 잘린 21번 등의 고배점문제가 없어서 아쉬웠음
    그리고 4월 30번 문제 답 4 아닌가요 ㅠ

  • Bin(홍현빈) · 336627 · 16/04/11 23:00 · MS 2010

    네 ㅋㅋ 작성글에 보시면 일부문항 해설올려놨습니다. 답도 정정해놨습니다.

  • 인내하자 · 598918 · 16/04/11 23:23 · MS 2015

    bin님 질문있는데용
    혹시 영어 문장노트 시작하실때 구문이 어느정도 되어있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한번도 구문 강의 ㅇ이런건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고 그냥 삘......?이랄까요 그렇게 풀면 만점123 진동합니다
    근데 수능날 그렇게 하다간 망할것같아서요 해석을 정확하게 해야한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럼 문장노트 전에 구문 강의를 하나 듣고 시작하는게 맞는거겠죠?????? 막 영어 구조에 대한ㄱ그런거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원래 이건 이렇게 수식하는거잖아! 막 일케해요 막......

  • Bin(홍현빈) · 336627 · 16/04/11 23:34 · MS 2010

    네 구문들어서 틀을 확실히 갖추고 틀을 갖춘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한번에 해석이 안되거나 그냥 해석이 안되는 문장들을 적는게 문장노트구요.

    그렇게 적은 문장들을 복습을 계속해가면서 궁극적으로 이건이렇게해석하는거야! 없이도 슥읽히게끔 하는게 궁극적인 목표예요. 국어읽을때 이건 이렇게 해석 어쩌고 그런거 없잖아요. 국어처럼 슥-가는게 궁극적인 상태인데,
    이건 감으로 읽는거랑은 정말 천지차이입니다.

    구문강의 듣기엔 좀 버겁다면 가볍게 한번만 정리해보세요 !

    여튼 한지문에 2-3 문장이 한번에 안읽히면 (정확하게, 엄청세세하게 정확하게는 말고) 그럼 문장노트하기 딱좋은상황입니다.

  • 인내하자 · 598918 · 16/04/11 23:48 · MS 2015

    우왕 친절한 답변 고맙습니다!!!!

  • Bin(홍현빈) · 336627 · 16/04/12 22:17 · MS 2010

    넵! 열공!

  • 독수리대치대 · 659577 · 16/04/11 23:32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마음대로 · 560750 · 16/04/12 01:34 · MS 2015

    진짜 공감이가네요....  재수하고 있는대 현역때 생각해보면 공부는 많이했지만 정말 방향이... ㅜㅜ잘 알지도 못하면서 문제거르고 기출만7~8번 푼것도 다 제 얘기네요 ㅜㅜ
    심지어 수능성적까지ㅋㅋㅋ저두 23332나왔어어요ㅎㅎㅎㅎㅜㅜ
    올해는 문제 하나도 안거르고 달려보겠습니당..!
    bin님 칼럼은 고2때부터 항상 잘 보구 있습니다ㅎㅎ!

  • Bin(홍현빈) · 336627 · 16/04/12 22:17 · MS 2010

    헉성적 비슷하네요 ㅠㅠ 열심히하시면 제성적보다 더더더 잘 받으실거예요 ㅎㅎ 열공하세요

  • 아는만큼행복하다 · 647828 · 16/04/12 08:01 · MS 2016

    빈님 항상 칼럼 잘보고 있습니다! 기출분석에 대해 질문을 할려 하는데,문과구요. 현재 6월전까지 기출2회.ebs.인강교재(드릴)을 끝낼 수 있는데요.여기서 어느시점에 기출분석을 하며 그 수단이 기출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드네요.방향성이 심히 중요하다는 걸 안 후,돌다리도 몇번더 두드려보고 건너다보니 아는것마저 의심이 드네요ㅋㅋ..

  • Bin(홍현빈) · 336627 · 16/04/12 22:18 · MS 2010

    음. 드릴 제가 안들어봤지만 기출분석을 기반으로 하지않나요? 원래 기출 한 2-3번 풀어주고 (5번도 괜찮) 그 후 분석에 들어가는걸 추천하곤 하는데, 인강을 들으면 사실 인강열심히 따라가면 됩니다. 스스로 기출분석 열심히 할것을 미리하고 강의로 만든거니깐요,

  • 다비오 · 660076 · 16/04/12 12:35 · MS 2016

    기출을 통해 수능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을 익히는 것이죠.. 기출을 풀다보면 이미 앞문제에서 풀었던 개념들이 계속 등장합니다. 이것을 기출이 아닌 새로운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는 힘은 기출을 통해서 좀 더 빠르게 습득할 수 있으니까요^^ BIN의 말씀처럼 그것을 개인적으로는 2~3회독(개인에 따라 다름)후 어느정도 체화 되면 EBS나 기출이 아닌 다른 문제집을 통해 적용하는 연습을 충분히 해야합니다. (기출 오답분석 정리는 수능날까지 가지고 가시고) ..........으악~~ 워째 ..또 오지랖

  • Bin(홍현빈) · 336627 · 16/04/12 22:22 · MS 2010

    ㅎㅎ 맞습니다

  • 푹씬 · 384571 · 16/04/12 13:02 · MS 2011

    칼럼잘읽었습니다 칼럼내용에서 수학95~97퍼 는 양치기가답이다하셨는데 제가 딱그위치거든요 작년수학 96 1컷 걸쳤습니다 그래서 고쟁이 드릴 여러인강강사 문제집 양치기 할려는데 ㄱㅊ나요

  • Bin(홍현빈) · 336627 · 16/04/12 22:22 · MS 2010

    네. 가능하면 다 구해서 다푸세요.

  • 성대경영송중기후배 · 589179 · 16/04/12 22:33 · MS 2015

    나형도 모의고사 만들어주....세요 ㅠㅠㅠㅠㅠ

  • 핥핥핥핥 · 452649 · 16/04/12 23:10 · MS 2013

    결국 요점은 기출문제로 도구를 연마하고..
    그걸 시중문제집에 써보고 다시또 기출로 .. 하는거네요 어느한쪽에도 치우치면 안되겠네요

  • deoxyribose · 566163 · 16/04/12 23:12 · MS 2015

    양치기 하면서 틀린 문제나 못푼문제는 풀이를 알게되면 그 풀이를 외워두는건가요??

  • 추운게젤싫어 · 646497 · 16/04/12 23:27 · MS 2016

    그래서 기출후에 무슨문지집으류 공부하나여 그게 애매해서 기출만 풀고있는데

  • 리미이 · 595995 · 16/04/12 23:38 · MS 2015

    개념을 완벽히 한뒤에 기출을 푸는게 맞는거겠죠??? 그 개념을 완벽히했다는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ㅜㅜ

  • 또디 · 611276 · 16/04/13 00:01 · MS 2015

    제가 하고있는 수학공부에 대해 쪽지 보냈는데 답변 부탁드려요~~^^

  • SNUCE · 627787 · 16/04/13 02:34 · MS 2015

    Bin님 질문있어요 
    수학기출분석을 마더텅으로하고있는데요 혹시 따로기출전개년을프린트해서 문제걸러내고 풀고 분석하는공부가필요한가요?

  • TOMMY. · 645723 · 16/04/13 08:28 · MS 2016

    평소에 제가 상담하며 항상 하던 얘기와 일맥상통하네요~~ 좋아요 박고 갑니다!

  • 파초위의 · 654003 · 16/06/27 19:14 · MS 2016

    ㅇㄹㅇ

  • 요로시쿠네 · 694936 · 16/12/15 17:08 · MS 2016

    좋아용

  • Dpyp · 699517 · 17/02/19 18:52 · MS 2016

    기출문제집이 확통,미적2,기벡 각각 3권 정도 있는데 어떻게 활용하는게 가장 효율적일까요?? 원래는 수능 전까지 10회독 하려고 했었는데 글 보니까 큰일날 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