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4twDkN6g7TIW [672373]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7-12-13 10:42:47
조회수 4,480

수능 창시자의 충격적인 일침.txt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451439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083807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대학 입학의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하는 자료로 쓰여서는 안 됩니다.”

‘수능의 창시자’로 불리는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사진)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능 절대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30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만난 박 교수는 “수능 점수가 10, 20점 차이 난다고 합격과 불합격을 가르는 건 소송감”이라고 잘라 말했다. “통계학적 측정 오차를 고려했을 때 수능에서 290점과 280점은 아무런 의미 없는 차이”라는 것이다.

박 교수는 노태우 정부 시절인 1988년부터 법적기구인 중앙교육심의회 산하 고등교육심의회의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수능을 설계하기 시작했다. 1993년 수능을 처음 시행할 때까지 5, 6년 동안 총 7차례에 걸쳐 실험평가도 진행했다. 그에게 ‘수능 창시자’라는 타이틀이 따라다니는 이유다.



박 교수는 “절대평가는 세계적 추세”라며 “수능도 절대평가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단순 지식을 잘 암기하는 인재보다 수많은 정보 속에서 필요한 지식을 찾아낼 줄 아는 인재,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더 선호한다는 이유에서다. 주요 선진국들도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 자기 주도 학습능력을 키우는 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박 교수는 “수능도 다른 학생과 비교하는 수단이 아니라 국가가 제시한 기준을 각 학생이 얼마나 갖췄는지를 판단하는 시험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수능이 본래의 목적은 잃은 채 학력고사와 비슷해졌다고 지적했다. 암기력이 수능의 중요 요소가 됐다는 얘기다. 박 교수는 “(우수) 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 다시 수능을 봤을 때 불합격권에 드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는 수능이 암기력 테스트로 전락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이론적으로 단편적 지식은 대부분 3년이 지나면 약 70%가 잊힌다.

박 교수는 입학사정관제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입학사정관제의 핵심은 심층 면접이다. 박 교수는 “3명의 입학사정관이 학생 한 명을 두고 30분 동안 면접을 하면 3명의 평가가 거의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수능을 설계,계획한 사람마저

수능이 입시도구로 변질됐다며 비판함 ㅋㅋㅋㅋ




그런데 오르비 회원들만 수능 만능주의 사고방식으로 정시비율 확대를 주장함 ㅋㅋ 


이 사람 말대로.. 수능은 말 그대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입니다.

말 그대로 대학에서 학교 공부를 할 능력이 있는 지를 측정하는 시험이지요.




자, 이제 아시겠나요? 수능 만능주의가 답이 아니라는걸.ㅎ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