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로로유어보트 [317108] · MS 2009 · 쪽지

2011-04-28 23:48:22
조회수 741

화학2 2010 10월 모평문제중에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141843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cienceexam&page=&keyword=&no=7368&k_type=&search_pos=


역시 과갤을 이용합니당...^ㅠ^

18번인데요..
ㄷ을 이해 못하겠습니다

해설지랑 고석용해강은 아예 ㄱ만 설명하고(-_-)
듀나해설강의를 들어보니

H+를 주어진 화학식 왼쪽에다 넣으면서 당연하다는듯 설명하시던데요..
아니 애초에 HCl을 넣는데 왜 H+가 당연히 왼쪽으로 가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moli · 361036 · 11/04/29 12:20 · MS 2010

    두 가지 방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두 식의 합의 평형상수가 10000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용액 내에 존재하는 염기의 세기만을 가지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HA와 NaB 수용액의 혼합 용액의 평형상수가 10000이나 됩니다.

    이 말은, A음이온은 무지무지무지 많구, B음이온은 아~~~~~~~~~~~~~~~~~주 굉장히 조금 들어가 있다는 말이 됩니다.

    따라서 수소이온을 넣으면 A음이온이 다 먹고 HA가 되어 A음이온의 농도는 줄어듭니다.

    평형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든 말든, B- 자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A-의 증가량은 A-의 감소량에 비해 미미합니다.


    두번째, 염기의 세기만을 가지고 비교 해 봅시다.

    HA는 약산이고 HB는 약산입니다. 하지만 K값이 Ka 를 Ka'으로 나눈 값이므로 , 우리는 그 사실로부터 Ka는 Ka'보다 10000배나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의 Ka값은 HB의 Ka값의 10000배이고,

    각각의 짝염기의 Kb값음 Ka x Kb = (실험실의 온도에서의 물의 이온화상수) 로부터

    A-의 Kb값이 B-의 Kb 값의 1 / 10000 배 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은, A-의 염기의 세기가 B-의 염기의 세기보다 굉장히 작다는 것이구여....

    이러한 상황에서, H+ 넣었다고 생각 해 보세요.

    A-와 B-가 H+를 가져가기위해 경쟁합니다.

    당연히 염기의 Kb값이 10000배나 강한 B-.가 수소이온을 다 데리구 가겠죠??

    그러면 H+를 넣는 순간, B-는 줄어들고 HB가 많아집니다.

    당연히 용액은 평형을 맞추기 위해서, 평형이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A의 이온농도는 감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