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맘슨 [334679] · MS 2017 · 쪽지

2011-06-14 23:51:19
조회수 1,067

영어 독해할때 방식말인데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230432

직독직해할때 덩어리 단위로 하시나요 아니면 그냥 바로 우리말 읽듯이 짧게 쭈욱

그러니까 처음부터 무조건 순서대로 읽으시나요??

갑자기 다른 분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꾸리바네 · 349182 · 11/06/14 23:53
    문장이 쓰여진대로 이해 할려고 노력하는데.. 음.. 어 전자인지 후자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 송송바 · 347245 · 11/06/14 23:53
    우리말 읽듯이 하는게 직독직해죠.

    최대한 그것에 가깝게 하려고 노력하죠
  • 현신 · 298850 · 11/06/15 00:34 · MS 2009
    우리가 굉장히 긍정적으로 여기는 '직독직해'란건 사실상 님이 말하신것중
    전자에만 해당합니다. 후자는 직독직해라기보다도 사선긋기놀이에서 사선을 뺀 것에 불과할 정도입니다.
    하지만 전자의 덩어리로 직독직해하기가 처음부터 되는것이 절대 아닙니다.
    한눈에 일정량의 덩어리씩 의미가 안받아들여진다면(적당한 덩어리의 의미단위로 끊겨서 직독직해가 되지않는다면) 당연히 사선긋기 수준의 '하나씩 일일이 직독직해'를 처음엔 해야합니다.

    그렇게 작은의미단위부터 직독직해를 연습하면 조금씩 한번에 받아들일 수 있는 의미단위가 늘어납니다. 하지만 맹점이 있죠.
    그건 바로 천일문심화 같은 좋은 직독직해같은 교재를 수천수만의 수험생이 다 구매함에도 불구하고 '천일문 돌려도 남는게 없다', '3-4번 완벽하게 안보면 효과없다'는 소리를 하는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즉, 처음에 언급했던 그 작은의미단위부터의 직독직해연습을 아무리 많이해도 실력이 안 늘 수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 원인은 몇가지로 정리됩니다.
    1. 기본문법(혼합가정법따위가 아닌, 기본문장구조의 원리를 알 정도의 문법)이 아예 없는 경우.
    2.사선긋기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우(또는 이런식의 마인드로 직독직해에 접근)
    3.직독직해연습을 많이 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를 읽자마자 한글해석(모국어의간섭, 속발음을 말하는것이 아님)을 머리속으로 떠올리는것에 너무 집착하는 경우.

    댓글로 간단히 일말의 단서를 드릴 수 있는건 여기까지고, 직독직해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것이 절대 영문법이다' 를 정독하고 스피드직독직해나 혼자 직독직해 연습을 하시는 걸 추천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