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가야지 [354534] · MS 2010 · 쪽지

2010-12-01 03:01:38
조회수 1,221

이 문제 꼭좀알려주세요. 자세한 설명도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40968

탄소(C), 수소(H), 산소(O)원자로 이루어진 46 g의 미지화합물을 연소하여 88 g의 CO2와 54 g의 H2O를 얻었다. 미지화합물의 탄소(C), 수소(H), 산소(O)원자의 질량 퍼센트를 구하시오.
(1) 탄소 28%, 수소 5%, 산소 67% (2) 탄소 52%, 수소 13%, 산소 35%
(3) 탄소 28%, 수소 13%, 산소 59% (4) 탄소 52%, 수소 25%, 산소 23%


다음 중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1) 2NaCl + Br2 → 2NaBr + Cl2
(2) NaCl(aq) + AgNO3(aq) → AgCl(s) + NaNO3(aq)
(3) 2KOH(aq) + H2SO4(aq) → K2SO4(aq) + 2H2O(ℓ)
(4) 2Na(s) + 2H2O(ℓ) → 2NaOH(aq) + H2(g)

0.005 M Ba(OH)2 용액의 pH를 구하시오.

(1)
2
(2)
7
(3)
9
(4)
12


3문제인데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eeeeee · 176090 · 10/12/01 21:20 · MS 2007

    1번

    화학반응식을 쓰면

    미지화합물(CHO포함) + O2 -> H2O + CO2 입니다.
    그러므로 미지화합물에서 나온 H는 모두 H2O에 포함되고, C는 모두 CO2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H2O, CO2에 있는 H, C의 양을 계산하면 미지화합물의 H,C 양을 구할 수 있습니다
    O는 모두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직접은 계산 못하고 미지화합물 질량에서 H,C의 질량을 빼서 계산합니다.

    H2O에서 H 질량: 54g x (2 / 18) = 6g
    CO2에서 C 질량: 88g x (12/44) = 24g
    O질량 : 46g - (6+24)g = 16g

    미지화합물은 H, C, O 6g 24g 16g씩 포함하고 있습니다.
    질량퍼센트를 구하면 (6/46) x100, (24/46)x100, (16/46)x100
    그러므로 답은 (2)

  • eeeeee · 176090 · 10/12/01 21:26 · MS 2007

    2번

    (1) Cl2가 반응성이 더 크므로 일어나지 않음


    3번

    Ba(OH)2는 강염기이므로 모두 이온화된다고 가정

    Ba(OH)2 -> Ba2+ + 2OH-

    그러므로 OH- 0.01mol 생성
    pOH = -log[OH-] = -log(0.01) = 2
    pH = 14 -pOH = 12

    답은 (4)

  • 의대가야지 · 354534 · 10/12/01 21:59 · MS 2010

    정말 감사드립니다 eeeeee님

  • 의대가야지 · 354534 · 10/12/01 22:03 · MS 2010

    eeeee님!!!!!!!!!!!!!!
    죄송한데 2번문제 자세하게 설명좀 해주세요 흑..
    반응성이 더 크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게 무슨 말씀인지 이해가 잘 안되요 ㅠ

  • eeeeee · 176090 · 10/12/01 22:54 · MS 2007

    (1)번 반응에서 알짜반응식을 쓰면
    2Cl- + Br2 -> Cl2 + 2Br- 가 됩니다.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보다 생성물이 안정해야 합니다.

    위 반응을 에너지 계산을 위해 각 과정으로 쪼개면
    - Cl의 경우
    1) 2Cl- 가 전자를 버리고 2Cl 중성원자가 되는 과정 ( = 전자친화도와 관련 : 전자친화도는 1mol의 원자가 1mol의 전자를 얻을 때 방출하는 에너지)
    2) 2Cl 중성원자가 결합하여 Cl2 분자가 되는 과정 ( = 결합에너지와 관련 : 결합에너지는 분자내의 결합을 모두 끊어 구성 원자로 분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 Br의 경우
    1) Br2가 분리되어 2Br 중성원자가 되는 과정 ( = 전자친화도와 관련)
    2) 2Br 중성원자가 전자를 얻어 2Br- 이온이 되는 과정 ( = 결합에너지와 관련)


    실제 값을 찾아보면
    Cl의 전자친화도 : 349(KJ/mol, 앞으로 단위 생략) / 결합에너지: 243
    Br의 전자친화도 : 325 / 결합에너지 : 193

    그러므로 반응식에 나타내면
    2Cl - + 349 -> 2Cl + 2e- (349만큼 흡수한다는 의미)
    2Cl + 243 -> Cl2
    Br2 -> 2Br + 193 (193만큼 방출한다는 의미)
    2Br- + 2e- ->2Br- + 325

    위 식을 모두 더하면 (1)의 알짜반응식인
    2Cl- + Br2 + 74 -> Cl2 + 2Br-
    이므로 반응이 일어나려면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생성물이 더 불안정함을 의미하므로 반응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 eeeeee · 176090 · 10/12/01 23:01 · MS 2007

    각 할로겐 원소에 대해서 중성 원자가 이온이 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즉 X2->2X-) 를 구하면
    F2 > Cl2 > Br2 > I2 순서가 됩니다 (위와 같이 결합에너지와 전자친화도를 이용하여 계산)

    이는 F2>Cl2>Br2>I2 순으로 이온이 더 되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생성물이 안정)
    이를 '할로겐의 반응성이 F2가 제일 크고 I2가 가장 작다' 라는 식으로 말합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원소의 할로겐이 함께 있으면
    F2>Cl2>Br2>I2 순으로 이온으로 남아있으려고 하고
    I2>Br2>Cl2>F2 순으로 기체로 남아있으려고 합니다

  • 의대가야지 · 354534 · 10/12/02 01:24 · MS 2010

    휴.. 알겟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