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가야지 [354534] · MS 2010 · 쪽지

2010-12-02 02:36:02
조회수 1,066

아흑 급하게 또 화학문제 질문합니다. 쉽더라도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46939

다음의 반응에 의해 24시간 동안 합성된 포도당의 총량이 360 g 이었다면, 흡수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얼마인지 가장 근사치를 구하시오.

6CO2 + 12H2O → C6H12O6 +6O2 + 6H2O


(1)
130 g
(2)
250 g
(3)
500 g
(4)
1,000 g


여러 생물군의 염색체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이문제는 정답만 알려주세요!!!!!!!!!!!!!!!!!!!!]
(1) 염색체의 수는 신체의 구조가 복잡한 생물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2) 염색체의 수는 진화적으로 고등한 생물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3) 염색체의 수가 많으면 유전자의 수도 증가한다.
(4) 염색체의 수는 신체의 크기와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


프로판 산(CH3CH2COOH)의 염은 식품에서 곰팡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 0.10 M 프로판산 염(CH3CH2COONa)의 pH는 얼마인가? [프로판 산의 이온화상수(acid dissociation constant) Ka는 1.0x10-5이다.)
(1) 5 (2) 9 (3) 11 (4) 13


냉장고는 액화된 CCl2F2를 증발시킴으로써 냉각된다. 물 540g을 00C에서 얼리기 위해서는 몇 kg의 액화된 CCl2F2가 필요한가? (CCl2F2의 분자량과 증발열은 각각 120 amu와 18.0 kJ/mol이다. 또한 얼음의 녹음열은 6.00 kJ/mol이다)
(1) 0.600 (2) 0.800 (3) 1.00 (4) 1.20

아래반응의 평형 상태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CaCO3(s) ⇄ CaO(s) + CO2(g) ∆Ho = 178 kJ

(1) 열을 가하면 계는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2) 계의 압력을 감소시키면 계는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3) CO2(g)를 첨가하면 계는 왼쪽으로 진행한다.
(4) 비활성기체를 첨가하면 계는 왼쪽으로 진행한다.


죄송합니다. 오늘따라 모르는게 더많네요...
독학으로 공부하느라 딱히 물어볼곳이 없어서 여기다가 또 올립니다.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꾸벅).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대가야지 · 354534 · 10/12/02 02:36 · MS 2010

    맨 마지막 문제 정사각형 저거 양방향으로 화살표표시된거에요.
    평형상태

  • 미르봉 · 27288 · 10/12/02 19:53 · MS 2003

    1. C6H12O6의 분자량은 180.
    CO2의 분자량은 44
    so, 44×6:180=Xg:360g
    X=528g
    아마 (3)번이겠죠.

    2. 는 (4)가 아닐까 싶네요.

  • eeeeee · 176090 · 10/12/02 20:32 · MS 2007

    CH3CH2COONa는 약산의 짝염기이므로 약염기이다.

    CH3CH2COO- +H2O -> CH3CH3COOH + OH-
    이 반응의 Kb = Kw/Ka = 10^-14 / 10^-5 = 10^-9

    OH가 x몰농도 만큼 생겼을 때 평형상수 식을 쓰면
    K = [~~~COOH][OH-] / [~~~COO-] = (x)(x) / (0.1-x)

    약염기이므로 x<<0.1 , 0.1-x ~ 0.1

    그러므로 x^2 = 10^-6
    x = [OH-] = 10^-3
    pOH = 3, PH = 11

  • eeeeee · 176090 · 10/12/02 20:35 · MS 2007

    델타H >0 이므로 흡열반응
    (1) 흡열반응이므로 옳다
    (2) 압력을 감소시키면 압력이 증가하는 방향 (기체가 생성되는 방향) 으로 평형이 이동하므로 옳다
    (3) 생성물을 증가시키면 역반응 속도가 증가하므로 옳다
    (4) CO2 기체의 부분압력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옳지 않다
    ( 반응이 일어나려면 CO2 기체와 CaO가 충돌해야 하는데 비활성기체가 첨가되는 것은 충돌속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