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Y- [747668] · MS 2017 · 쪽지

2018-08-06 13:12:36
조회수 1,011

봉소 파이널 3회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7994366

36번입니다

강민철쌤 해설도 듣고왔는데 다시 풀어보니 (가)가 잘 이해되지 않네요 ㅠㅠ

명쾌하게 설명해주실분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펜끝 · 784415 · 18/08/06 13:46 · MS 2017

    광결정의 반사 결정 요소로는 2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굴절률이고 하나는 구성 입자 간 거리죠.
    굴절률에서는 두 입자 간 굴절률차가 시간차를 만들고 보강간섭을 만든다고 했습니다(특정 파장에 한해). 그리고 해당사항이 없는 나머지 파장들은 상쇄간섭됩니다. 그리고 광결정 구성 입자 간 굴절률차와 반사광의 파장은 비례합니다.
    구성 입자 간 거리에서는 표면 반사광과 다음 입자 경계면에서의 반사광의 파형이 유사할 때 보강간섭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브래그 조건에 따르면 보강간섭 시

    |(표면반사광이동거리)-(다음경계면반사광이동거리)|=상쇄간섭 없는 반사광 파장의 정수배 ∝ 입자간격

    이라고 합니다.

    36번 보기를 보죠. (가)에서는 '인접하여 진행하는 동일한 파장대의 빛들 간'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골라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야 뒤쪽의 말이 맞기 때문이죠.

    (가)에 한해 선지를 보면 일단 5번은 절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동일한 파장대의 빛이 동일 종류에 입자에 투과되는데 속도차가 발생할 수가 없죠. 4번의 진술은 좀 애매합니다. 무슨 입자를 투과하는지... 동일 입자라면 절대 말이 될 수가 없고 다른 입자라면 말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3번의 진술은 그 자체로는 맞는 얘긴데, '에도 불구하고'에 주목하면 들어가기 힘듭니다. 1번과 2번은 가능한 얘기입니다.

    (나)를 보면, 일단 사인곡선의 모양이 일치하지 않으면 보강이 아닌 상쇄가 일어나므로 1번과 4번은 절대 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답은 2번입니다.

  • -NDY- · 747668 · 18/08/06 20:40 · MS 2017

    오..그렇다고하면

    광결정이 특정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것은 다양한 파장의 빛이 광결정 표면에 입사될 때,
    인접하여 진행하는 동일한 파장대의 빛들 간에 반사 지점까지의 이동거리에 차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사인 곡선의 모양이 같음)파장이 동일하며 거리차가 파장의 정수배면 보강간섭에 의해 색이 보이게 되는 것이고,)
    사인 곡선의 모양이 일치하지 않는 파장을 지닌 빛들의 경우 파장을 정수배한 값과 이동 거리 차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보강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해당 파장의 빛들은 반사되어도 색이 보이지 않는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펜끝 · 784415 · 18/08/06 22:28 · MS 2017

    지문을 다시 봐야 할 것 같긴 한뎈ㅋㅋㅋㅋ... 일단 제 과학적 상식으로는 정확합니다.

  • -NDY- · 747668 · 18/08/07 01:40 · MS 2017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또하나 여쭤보고 싶은 것이 있는데요
    36번 보기의 워딩(A는 B불구하고 C때문이다)과 같이 생소한 워딩이나 표현이 나왔을 때
    어떻게 처리하시는 편인가요?? 이 문제 풀면서 우선적으로 보기가 안읽혀서 멘탈이 나갔었네요 ㅠㅠ

  • 펜끝 · 784415 · 18/08/07 17:31 · MS 2017

    논리관계를 따지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약간 이원준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