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oz Aramis [194126] · MS 2007 · 쪽지

2011-11-03 22:54:18
조회수 2,931

서연고 탐구영역 및 제2외국어 보정의 원리와 고려대 제2외국어 반영의 실체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1974187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는 기본적으로 탐구영역을 백분위 변환 표준점수로 보정할 때에 같은 방식을 씁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방식입니다.




따라서 언수외가 어렵거나 쉽거나 하여 사탐이 물보정이나 불보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 해의 탐구 난이도에 의하여 탐구가 물보정이나 불보정이 되는 것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탐구가 쉬우면 탐구가 물보정 되는 것이고 탐구가 어려우면 탐구가 불보정 되는 것입니다


고려대가 제2외국어보다 사탐이 더 유리할지 그렇지 않을지 역시, 제2외국어와 탐구 난이도에 따라서 정해지게 될겁니다
일반적으로 고려대는 고려대식 전형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나눗셈을 행하기 때문에 (자기표점/전체표점)
반드시 제2외국어가 더 유리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제2외국어가 조금 높게 들어가게 되는데
위의 보정원리와 고려대식 전형공식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일부 황색언론에서 고대 제2외국어 보정 방식이 외고생 우대니 특혜니 이상한 소리들을 하는데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부분이 아랍어 선택하시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더 유리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려대 제2외국어 보정 방식은 서울대도 그렇게 합니다
연세대만 제2외국어를 아예 그냥 사회탐구로 취급해서 제2외 백분위에 사탐 동일백분위에 해당하는 보정점수를 부여할 뿐입니다
연세대의 경우 백분위 98과 99에 해당하는 구간에 자신들만의 보정기술을 활용하여 변형된 보정점수를 부여합니다
그러나 100, 그리고 97~1의 구간에서는 모두 고려대 및 서울대와 같은 보정공식을 사용합니다

여러분이 탐구나 제2외국어에서 중요한 것은 백분위 100을 맞고 봐야 된다는 것입니다. 제2외국어라서 버프가 (일반적으로 있으나)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