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는소년 [515854] · MS 2014 · 쪽지

2019-07-15 18:08:36
조회수 1,136

국어 3-8 푸딩 1유형에게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23630044

푸딩은 POOr reaDING comprehension - 읽기이해부진을 말합니다. 



https://orbi.kr/00023552137

위 글에서 푸딩의 원인 1~6을 말씀드렸었는데, 이중 1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 이전 글 내용 ↓↓


1. 읽으나 이해하려 하지 않는 습관

2. 어떻게 이해하는지 전략을 모름

3. 이해 작업에 필요한 능력이 없음(추론 능력 저조)

4. 추론에 필요한 지식이 없음

5. 이해할 대상(글 내용)을 유입하는 능력이 부실(읽기가 능숙하지 못함)

6. 이해할 대상을 유입했으나(읽었으나) 단어의 개념이 부실함.


1.

읽는데, 너무 열심히 ‘읽기만’ 하거나 언어 표현을 다 기억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글은 마음속에 생각이 떠오르게 하는 단서입니다. 언어 표현은 생각을 이끌어내는 단서일 뿐입니다. 그런데 뭐라고 ‘적혀 있는지’를 기억하려고 무리합니다. 

읽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읽고 생각을 해야겠지요. 아무 생각이 없다....’낫 놓고 기역자 모른다’도 아니고, ‘낫 놓고 넋 놓고’-기역자를 몰라서 안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 그냥 가만히 있어서 아무 생각도 안 떠오르는 그런 부류입니다. 

생각을 해야 한다는 걸 깨닫지 못한, 배우지 못한 분들입니다. 어렸을 때는 오히려 잘 읽었는데 그때는 자동적으로 생각이 났던 과거처럼 지금도 가만히 읽는 분들도 있습니다. 어린시절에 읽었던 글들은 보통 일상생활과 관련이 많은 서사적 글(소설)이기 때문에 애써 뭔가를 하거나, 연습으로 강화된 능력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 새로운 내용 ↓↓



원인의 원인이라고 해야 할까요. 푸딩의 원인 중 하나인 1의 원인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너무 열심히 하되, 글자에 너무 치중한 경우에 글 너머가 아니라 글 자체를 봅니다. 

성격적으로 조금 소심하고 자신감이 부족하면 열심히 하면서도 자신의 능력이나 자신의 생각을 믿지 못해서 읽고 (내가) 떠올린 생각을 신뢰하지 못하고(자신이 제대로 읽었다고) 글을 보는 것에 치중합니다. 

-> '글은 마음속에 생각이 떠오르게 하는 단서입니다' 이 말을 따라 생각을 하도록 의도적으로 노력을 해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고, 자신의 생각을 믿고-틀린다면 수정하면서 자기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쉬운 지문으로부터 시작해서 읽고 의미를 파악한 후 내용을 확인해봤을 때 맞다는 것을 경험해서 자신감을 가져야 합니다. 성공적으로 읽고 이해한 경험이 쌓여야 합니다. 성공한 경험이 곧 자기효능감을 가져다 주니까요. 그래서 본인 혼자서는 어렵고 조력자가 필요하거나 자신이 본 지문의 내용을 잘 설명한 교재를 필요로 합니다. 그래야 성공하게끔 도와주고, 그 성공을 자기 것으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 시절 읽는 것을 좋아했고 잘 했기 때문에 똑같이 아무 생각 없이 글을 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절로 이해되던 글이 갑자기 읽어지지 않으니 당황스럽습니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것 즉, 글을 보는 것만 더 열심히 합니다.

->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 없습니다. 따라서 읽고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재료인 단어를 점검합니다. 이전에 봤던 것과 조금이라도 단어 수준이 올라갔을 때 적응을 못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별로 다른 것같지 않아도 실제로는 이전과 단어의 용법이 세밀해지거나 단어가 비슷한 뜻이면서도 뉘앙스 차이가 있는데, 그냥 같은 단어로 처리해 버리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부분은 인지심리학적인 면이라 이걸 보완해야 한다고 충고해 주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자신이 아는 정도가 아니라 더 단어를 잘 알고, 잘 쓸 수 있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냉정하게 평가하는 것부터 시작해야겠지요. 



푸딩이의 국어학습(언어학습)의 어려움은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기와 공부 과정에서 평가, 개선하기를 혼자 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