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는소년 [515854] · MS 2014 · 쪽지

2019-08-05 13:45:05
조회수 2,090

국어 하위탈출은 과거사 극복부터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23988714


앞선 글이 많은 조회수와 좋아요를 받았습니다. 

조회수는 제목이나 흐름을 타면 많이 받을 수도 있는 것이라 그렇다치더라도(재방문도 있겠지요)

좋아요 수는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적은 것도 아니라고 봐도 되겠지요(사실 저는 놀라습니다. 이런적이 없어서)


저 글의 목적은, 국어에서 글 이해력을 통감하시는 분들께 여러분의 문제는 시험대비 공부의 부족보다는 모국어 능력 자체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씀을 드리기 위함이였습니다. 글 이후에 꽤 쪽지를 받았고 그분들에게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기 위해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자료도 보내드렸습니다. 


이번 글도 동일한 취지의 이야기입니다.


흔히 수학에서 '개념'이라는 말을 하던데, 과목 공부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저는 이해했습니다. 개념이 잘 정립이 되야 실력을 쌓을 수 있다 이렇게 들렸습니다. 수능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을 잘 알아야 하겠지요. 만약 중학교 때 공부를 좋아하지 않았던 분들이라면 기초가 많이 부족하겠지만 그렇다고 대입 수험생이 중학교 수학을 공부하지는 않을겁니다. 그러나 고1, 2 에서 배울 수학을 공부하면서 중학교에서 잘 익히지 않았던 '개념'을 배울 기회를 가져야 할겁니다. 그렇게 해야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겠지요. 

만약 정말로 수학을 배운 적이 전혀 없다면 중학교 수학 교과서부터(또는 그 이하부터) 시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국어는 모국어 과목입니다. 국어는 수학보다 먼저 배우기 시작한 거죠. 사람이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순서는 듣기- 말하기-읽기-쓰기입니다. 그래서 읽기보다 듣기, 말하기가 쉽습니다.(과정이 더 간단하기도 하지요) 마찬가지로 국어는 수학보다 더 근본적인 기초를 갖고 있습니다. 수의 개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언어는 이미 약간의 소통을 시작했으니까요. [ 글이 좀 루즈해졌습니다 ] 


돌아오면, 국어의 기초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아래에 있습니다. 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은 언어능력과 연결됩니다. 분명히 모국어 읽기와 이해 능력에 부족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도움을 드렸지만 그것부터 개선하려고 공부의 방향을 바꾸는 것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이 안하는 것이지요. 그래서인지 저의 말에 귀를 곧잘 기울이는 분들은 대개 N수생입니다.


좀 더 특성을 이야기하면

책을 좋아하지 않았던 분들

책을 어릴 때는 좋아했지만 어느 시기에 멈춘 분들(중학교 이후부터)

마치 단어의 의미가 한 가지만 있는 듯 생각하는 분들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언어의 특성을 안좋아하는 분들(수학 러버)


이분들은 과거부터 언어를 학습하는 능력, 언어를 이해하는 기반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국어 학습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국어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거나, 국어 공부가 되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단어입니다. 

수능에 나오는 개념어 또는 용어를 설명하는 교재가 많지만

실은 이미 아는 단어를 처리하는 능숙도가 낮거나

단어와 연결된 복수의미(중 맥락에 맞게 선택능력), 단어와 연결된 지식, 단어의 문법적 특성, 특정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 등 이해에 결정적인 관련 지식이 부족합니다. 

보통 언어를 충실하게 습득하거나 독서를 잘 하면 이런 것들을 상당히 쌓아 둡니다. 그러나 습관이나 환경, 선호에 의해 축적하지 못한 분들은 부족한 채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유창성에 대해 글을 썼으므로, 단어지식과 단어처리 숙련도에 대해 다음 글을 쓰겠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눌러주시면 글을 쓰는 저도 즐겁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