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886184]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0-03-17 20:20:30
조회수 5,904

지구과학I 외계행성탐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28617399

수능특강 p.172의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보면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은 행성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밝아지는 현상을 통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래서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구나 으음 하고 다음 글을 읽는데


"지구와 같이 질량이 작은 행성을 찾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라고 적혀 있네요????


중력에 의한 현상을 통한 것이니깐 당연히 질량이 큰 행성일수록 유리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고 하여 의문이고, 실제 데이터를 찾아보니 지구보다 질량이 큰 행성 발견이 주요해서 의심도 되네요 ㅎㅎ

-YBM 교과서 p.177 자료-



EBS 수능특강에서 말한 "질량이 작은 행성을 찾는데 유리하다."고 나온 논리가 어떻게 된것인지 궁금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구름맛 생크림케이크 사모예드 · 794870 · 20/03/17 20:22 · MS 2017

    만약 댓글 안달리면 EBSi 홈페이지 들어가면 수특 질문하는 곳이 있어요 거기는 선생님들이 답 달아주셔서 좀 더 정확하니까 거기 물어보세용

  • 그냥.. · 886184 · 20/03/17 20:22 · MS 2019

    오신김에 같이 고민해봐주세요 ㅎㅎ

  • 구름맛 생크림케이크 사모예드 · 794870 · 20/03/17 20:23 · MS 2017

    아마 다른 방법들 예를 들면 식현상이나 도플러 그런 방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행성들을 찾기 쉽다고 적어놓은것 같아요

  • 구름맛 생크림케이크 사모예드 · 794870 · 20/03/17 20:24 · MS 2017

    솔직히 작은 행성들은 어떤 방법으로 해도 찾기 어려우니까...아마 그 뉘앙스로 말한 것 같은데 ㅠ

  • 그냥.. · 886184 · 20/03/17 20:24 · MS 2019

    미세중력렌즈로 발견한게 딱히 작아보이진 않은데 ㅠㅠ

    한번 EBS 가봐야겠네요 ㅎㅎ

  • broroot · 784602 · 20/03/17 20:29 · MS 2017

    아마 쓴 의도가 '질량이 작은'에 초점을 둔듯해요. 시선 속도 변화(도플러 효과)는 행성의 질량이 작다면 그만큼 파장 최대 최소변화가 작게 관측되어서 그게 오차값인지 구분하기 힘들겠지요. 횡단법(식현상)같은 경우는 살짝 오버한 생각인듯 싶은데, 질량이 작다는것은 그만큼 행성의 크기도 작음을 동반할수 있으니깐요(물론 목성형행성같은 경우는 밀도가 작지만 질량은 크고-그에따라 반지름도 무지막지하게 크니깐.)

  • 그냥.. · 886184 · 20/03/17 20:51 · MS 2019

    행성의 존재를 발견할 때 질량이 작으면 도플러 현상이 작게 나타나 오차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것은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인 부분 아닐까요? 오히려 식현상이 질량과 무관하고 도플러 현상과, 미세중력렌즈 현상이 질량이 클수록 유리하다고 하는 것이 논리적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지금 제가 수능특강이 틀렸다는 쪽으로 빠져서 반대 경우를 잘 못 받아들이고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릴게요 ㅎㅎ

  • broroot · 784602 · 20/03/17 21:02 · MS 2017

    행성에 의한 중력렌즈효과와 그렇지 않은 작은 더 작은 천체(행성보다 질량이작은경우)간의 중력렌즈 효과(사실 거의 미비해서 말그대로 넘겨버리는경우가 다반사입니다.)를 비교해보면 될거같아요.

    사실 질문하신 내용이 예전에 조교 할때 되게 많이 나온질문이라서 고민많이 해봤던 주제라서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저도 솔직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구요.


    그리고 식현상과 관련된건 지구형행성이랑 목성형행성의 비교를 생각해보심 될듯 물론 질량이랑 별상관업는거같긴한데 애시당초 저만큼 큰 질량을 가진다고 보는것은 지구형행성보다 목성형 행성이라고 보는게 맞아서...

  • broroot · 784602 · 20/03/17 20:32 · MS 2017

    그러니까 다시 정리하자면, 시선 속도 변화와 식현상을 통한 관측은 질량이 작은 천체를 관측할 때 불리한건데-> 그에 비해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은 어느정도 크기와 질량을 가지고 있다면 빛이 휘어지는 성질을 통해서 관측하는거니까 거기에서 관측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엇던거 같아요 근데 아직까지 평가원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가(미세 중력 렌즈 현상 vs 식현상and 도플러 효과) 출제된적은 없었고 그리고 출제되기도 쉽지 않다고 봐요.

  • 그냥.. · 886184 · 20/03/17 21:13 · MS 2019

    여러개 찾아보니깐 브로님 말이 맞는 것 같네요.

    유리하다는 표현이 질량이 작을수록 미세중력렌즈로 발견하기 좋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는 질량이 작을 경우 찾기 어렵지만) 미세중력렌즈 현상으로는 질량이 작은 행성도 찾을 수 있다.
    정도로 보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 그냥.. · 886184 · 20/03/17 21:16 · MS 2019 (수정됨)

    관련 문항 해설지 보니깐, '질량이 작을수록 밝기 변화가 작게 나타나지만 확인은 가능하다.'라고 되어 있는 것 보니, 다른 방식들과 비교했을 때 유리하다(가능하다)고 작성된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 broroot · 784602 · 20/03/17 21:04 · MS 2017

    근데 예전엔 공전궤도 반지름이 큰거가 상대적으로 발견하기 쉽다고 햇던거같은데....뭔가 표현이 바뀐듯합니다

  • 한순달라 · 902523 · 20/03/17 21:09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그냥.. · 886184 · 20/03/17 21:18 · MS 2019

    그 내용은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탐사된 행성들은 대부분 공전 궤도 반직름이 크다.'라고만 적혀있네요. 교과서들도 봐야겠지만, 공전 궤도 반지금이 클수록 유리하다라는 내용은 이어진 것 같습니다.

  • broroot · 784602 · 20/03/17 21:13 · MS 2017

    말하다보니 똑같은 얘기만 하는거 같아서 죄송스러워지는....근데 진짜 수능에 나올가능성이 낮으니...걍 아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저걸로 문제를 내려면 평가원에서 명확하게 자료를 제시해줘야해요 비교할수 있는. 절대 저렇게 달랑 명제로 내기 쉬운 소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그냥.. · 886184 · 20/03/17 21:14 · MS 2019

    아뇨 근데 브로님 말로 충분히 이해되었어요 ㅎㅎ 감사해요

  • broroot · 784602 · 20/03/17 21:16 · MS 2017

    다행입니다 ㅎㅎ

  • broroot · 784602 · 20/03/17 21:23 · MS 2017

    예전 글보니까 지구과학 자료에 대한관심이 많으시네요 혹시 수험생이신가요?

  • 그냥.. · 886184 · 20/03/17 23:14 · MS 2019

    수험생은 아니고 검토로 소소하게..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