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GreatAbsolute [408771] · MS 2012 · 쪽지

2012-07-06 23:52:26
조회수 4,357

자유전공에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2949026

안녕하세요
수능을 얼마남지않은 문과고3생 입니당
제가 원래 진학목표를 경영으로했습니다만
사실 경영대학이라는 포장만 알지 실질적으로 그곳에서 무엇을 배우고
전공하게 되는지 잘 몰라서 갈등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학생설계제도가 있다고 하는 자유전공학부를 목표로 수정할까
고민중입니다.
하지만 역시 자유전공에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해서 이렇게 물어봅니다.

1. 자전이란 학과 자체가 알고 싶습니다.
    --저는 자·전부란 1년간 기초과목이라든지 방대한 양의 과목을 공부하고
       2학년 때 부터 희망과목을 선택하여 전공을 설계한 후 학교전공심의부(?)
       같은 곳에 심사를 받고 통과하면 그 전공명으로 학위가 취득되는 학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제대로 알고 있는지요? 또 자전이란 학과의 알아야할 공통적 특징이 있다면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서울·연세·고려대의 자전부, 각각의 특징이 있나요?
    --듣기로는 성대 자전(글로벌 리더)부는 완벽하게 고시를 준비하는 학과라고 하는데, 
       서연고, 각자 학교마다 자전의 성격이 다른가요?(성대 사례처럼 고시만을 준비한다던가
       이와 비슷한것들...)

3. 만약 자전에 진학하게 된다면 "예술경영"을 설계하여 전공하고 싶습니다.(제발 이랬으면
    여한이 없겠네요..ㅠㅠ) 
    --만약 자전은 제가 알고 있듯이 학과를 선택하여 전공을 설계하는것이라면 "예술경영"
       (특히 음악쪽으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어떤 학과를 선택하는것이 바람직할까요...?
                  위의 말이 맞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경영과 미학과 정도를 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이것들 말고도 질문은 쌓였으나 제 머리만 복잡해져서 세개만 하겠습니다.ㅎㅎ
수시 접수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지금에서야 이런것들을 물어보는게
한심해 보일 수 있지만 어리석은 이 중생하나좀 구제해주시기 바랍니다....ㅠㅠ
성심성의껏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ㅋㅋ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늘천땅지 · 353003 · 12/07/07 00:48 · MS 2010

    연세대학교 자유전공 재학생입니다.

    자유전공은 이름은 다 같은 자유전공 재학생들이라 할 지라도 학교에 따라 운영 방식이 매우 다르니 반드시 이를 숙지하셔야 합니다.
    자유전공은 1학년 때 듣고싶은 과목을 듣고 2학년부터 전공 진입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일단 쉽습니다.

    1. 서울대 자전

    서울대 자유전공은 그 범위가 넓습니다. 이미 있는 전공(경영학과, 경제학과) 등으로 진입할 수도 있고, 자신이 전공을 새롭게 만들어서 공부할 수도 있습니다.

    2. 연세대 자유전공

    연세대학교 자유전공은 '전공탐색'의 개념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1학년 때 전공과목 2개 외에 듣고싶은 과목을 듣고 2학년이 될 때 전공선택을 합니다.
    서울대, 고려대 자유전공과는 다르게 전공진입시 학적 자체가 해당 전공으로 바뀌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려대 자유전공학부는 졸업장에 '경영학과(자유전공학부)' 이런 식으로 나오지만 연세대 자유전공은 그냥 '경영대학 경영학과' 이렇게 나옵니다.
    전공진입기준은 자유전공 전체 인원의 1/3 이상 한 학과에 진입하지 못하는 것 외에 크게 없습니다.

    3. 고려대 자유전공학부

    고려대 자전은 모습 자체부터 로스쿨 준비용처럼 보입니다. 제공하는 전공과목도 법학 관련 학문들이고 대부분 법대 교수님들이 계십니다.
    연세대 자전과는 다르게 소속이 전공진입을 하더라도 소속은 자유전공학부로 계속 남습니다.
    전공진입 기준은 해당 전공 본래 인원의 10% 이상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진학하지 못하는 것 외에 크게 기준은 없습니다

  • 하늘천땅지 · 353003 · 12/07/07 00:52 · MS 2010

    연자와 고자는 설치되어 있는 전공 외에는 진입할 수 없으므로 예술경영을 전공하시고자 한다면
    설자를 가셔서 학생설계전공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저는 개인적으로 비추천입니다.
    융합학문은 한때 유행처럼 퍼져서 개나소나 다 하는 것처럼 소개되었지만 사실 융합학문이라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것입니다.
    두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서로 융합하는 것이 융합학문인데 이는 학부과정에서는 굉장히 무리가 있죠.
    물론 그 두 분야에 대해 굉장한 열의가 있다면야 상관없지만 학부 과정에서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생각보다 많이 힘들 것이라는 점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정석이라고 부르기는 조금 그렇지만 융합학문을 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길은 대학원 진학입니다.

  • 호갱이 · 376470 · 12/07/08 23:11 · MS 2011

    자유전공학부 재학생입니다. 잘못알고 계십니다.

    소속의 경우는 자유전공학부 경영학과 이런식으로 학부는 남습니다.

    전공진입기준은 11학번부터 30%로 풀렸습니다.

    자유전공의 경우는 제2전공이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쉽으로 자동설정 되어있습니다.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쉽은 법학을 바탕으로 경제학과 행정학과목의 일부를 수학하는 학과입니다.

  • Ra09 · 411259 · 12/07/07 01:07 · MS 2012

    저라면 그냥 경영학과로 진학하겠습니다. 이유는 1. 예술경영을 전공하고 싶다고 하는데 나중에 대학원에서 공부할 기회가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는 깊게 공부할 수도 없을 뿐더러 전공을 너무 좁게 한정하면 나중에 진로를 결정할 때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2. 각 대학들이 자유전공에 대해 소홀히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세대의 경우 송도캠으로 보낸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막아줄 사람이 없었다는 풍문이 있습니다. 3. 경영학과는 회사라는 조직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합니다. 전략, 인사, 재무, 회계, 마케팅, 생산 등 그 폭이 매우 넓습니다. 제대로만 공부한다면 세상을 보는 안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전에 경영학은 순수학문이 아니라 종합테크닉이라는 비판이 있었습니다만, 계속 학계에 남을 생각이 아니라면 사회생활하는데 이만큼 도움되는 학과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 전효성 · 345881 · 12/07/09 18:16

    고려대 자유전공 2학년 재학생입니다.

    고려대 자유전공은 법률지식을 갖춘 공적 리더의 양성을 기치로 내걸고 있습니다.

    연계전공이 필수로 지정되어 있으며,

    12학번 이후로 라틴어, 헌,민,형이 필수에

    경제, 법, 행정 강의를 10강의 이상 이수해야합니다(한 영역 당 최소 2과목 수강해야함)

    2학년 전공진입 시 단과대 소속은, 독립학부인 자유전공학부로 남게 됩니다. (ex. 재학증명서를 발급받아보면 소속:자유전공학부 경제학과 이렇게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