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E:R] 텐중 [737565]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0-06-19 22:07:09
조회수 2,231

[PRIME:R 생명과학] 210620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30723171


1.

노란색 하이라이트에서 X, Z에서 퓨/피가 각각 1종류씩 4개/2개임을 알 수 있고, Y는 X에 상보적이므로 각각 1종류씩 2개/4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를 풀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머릿속에 넣어둡시다.


2. 

  1. 첫 번째 푸른색 하이라이트에서 II의 AT/GC의 값이 총 3가지 케이스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1/11이거나, 10/10이거나, 9/9 이렇게 3가지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푸른색 하이라이트에서 ⓐ AT/GC=50/36을 바로떠올릴 수 있고, 이 조건은 ㉰의 프라이머에 유라실(U)이 2개 있음을 알려주는 것임을 캐치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푸른색 하이라이트에서는 ⓑ AT/GC=8/22을 바로 떠올릴 수 있고, 이 조건 또한 ㉱와 ㉲에 있는 프라이머 중 하나에는 유라실이 2개 있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3.

  1. 붉은색 하이라이트에서 Ⅱ의 AT/GC값이 11/11임과 ㉰의 프라이머가 Ⅰ에 있음을 동시에 알려주고 있습니다. ㉰의 프라이머는 당연히 ㉰의 왼쪽 말단에 존재합니다. 그러면 ㉱와 ㉲의 프라이머도 어디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푸른색 조건과 함께 생각해보면 ㉱의 프라이머에는 유라실이 2개 있겠네요.

4.

  1. 첫 번째 초록색 하이라이트에서 ㉱+㉲의 C/TU=3/4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두 번째 초록색 하이라이트에서는 ㉲의 프라이머에 유라실이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네요. 유라실이 없으면서 피리미딘 염기가 있어야하고 붉은색 하이라이트와 노란색 하이라이트를 함께 생각해보면 ㉲의 프라이머는 Y이고 Y에는 아데닌(A)이 2개, 사이토신(C)이 4개 있다는 사실을 지 않 알 수 있습니다.

5.

  1. 왠지 세 번째 푸른색 하이라이트가 눈에 밟힙니다. ㉠′+㉡′의 (′은 상보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합시다.) AT/GC=3/11임을 알려주고 있네요. ㉲의 GC를 아무리 ㉡에 몰아줘도 7개가 최대입니다. 따라서 ㉱의 프라이머에는 구아닌(G) 4개가 무조건 있어야하고 노란색 하이라이트와 Y의 염기 조성을 함께 고려하면 ㉱의 프라이머는 X이고 ㉰의 프라이머는 Z임과 Z에는 아데닌이 4개 있어야함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6.

  1. 이번엔 왠지 사용되지 않은 첫 번째 초록색 하이라이트가 눈에 밟히네요. ㉱+㉲의 C/TU=3/4이므로 현재까지 밝혀낸 염기 조성을 바탕으로 분수 값을 한번 채워봅시다. p+7/q+4+2+3인데 3/4가 나오려면 최소한 p=2여야하고 q=3이어야 합니다. 이 이상은 잘 모르겠습니다. 선지에서 물어보면 그때가서 고민해보기로 합니다.

7. (틀린 해설입니다. 밑으로 내려주세요)

  1. 선지 ㄱㄴ은 이미 판단한거나 마찬가지이니 ㄷ만 봅시다. ㉱의 AG/CT를 묻고 있는데, 우리가 알아낸 최소일 때의 정보로 한번 채워넣어봅시다. ?+2+4/7+4인데 분모가 최소치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11입니다. 따라서 AG는 유라실 때문에 때려죽여도 9보다 클 수 없습니다.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맞습니다. 이 문제를 보자마자 바로 1번으로 돌아가셔서 검토하는 것이 현명했을 겁니다.


참고로 중간 중간 (의도적으로) 생략한 사고가 꽤 있습니다. 생략한 사고를 모두 풀어서 서술하기에 전혀 귀찮지 않고 피곤하지도 않으며 시간이 부족하지도 않으나 여러분의 성취감을 위해 생략된 사고를 채우는 것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두겠습니다.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고민해보시고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

2020년 6월 19일 23시 12분 작성

7. 논리에 오류가 발견되어 수정 중입니다.


-

2020년 6월 19일 23시 27분 작성

7.

선지 ㄱㄴ은 이미 판단한거나 마찬가지이니 ㄷ만 봅시다. ㉱의 AG/CT를 묻고 있는데, 우리가 알아낸 최소일 때의정보로 한번 채워넣어봅시다. ?+2+4/?+4인데 10개가 빕니다. ㉱의 남은 자리에 사이토신은 무조건 2개는 있어야합니다. 그러면 사이토신 2개를 채우고 구아닌이 하나 더 있어야겠네요. 또 티민이 무조건 3개는 있어야합니다. 그러면 아데닌이 아무리 많아도 4개가 최대겠네요. 이를 바탕으로 값을 계산하면 11/9가 나오게 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퍼펙트게임 · 945827 · 20/06/19 22:08 · MS 2020

  • KAWA · 892694 · 20/06/19 22:20 · MS 2019

    "이 문제를 보자마자 바로 1번으로 돌아가셔서 검토하는 것이 현명했을 겁니다."
    이번 6평 생2에서 얻은 거. 진짜 ...

  • 정팔면체만 그리는 사람 · 902215 · 20/06/19 22:23 · MS 2019

    강기원체

  • KAWA · 892694 · 20/06/19 22:35 · MS 2019

    5번에서 "㉰의 프라이머는 Z임과 Z에는 아데닌이 4개 있어야함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왜 아데닌이 4개 있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처음에 풀 땐 염기서열이 다르다는 조건으로 A4인줄 알았는데
    다른 사람이 이야기 한거 들어보니깐 염기서열이 다른 건
    5`-UUGGGG-3` , 5`-UGGGGU-3` 이렇게 해도 성립한다고 해서요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2:39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2:50 · MS 2017 (수정됨)

    죄송합니다 댓글 잘못 읽어서 잘못 답변 드렸었네요ㅋㅋ... ㉰의 GC 총개수는 18인데 Ⅱ가 11개를 가지고 있고 X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지니는 ㉰의 특정 부분에서 사이토신을 4개 가지므로 Z는 G를 4개 가질 수 없습니다!

  • KAWA · 892694 · 20/06/19 23:16 · MS 2019

    감사합니다 Z 프라이머 특정하는건 이해됐어요!
    하나만 더 질문할게요

    6번째 C/TU 7+p/q+3+4+2 까지는 이해가 됐는데

    7번째에서 C의 개수 7개를 어떻게 구한건지 모르겠어요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3:17 · MS 2017

    그 부분... 마의 사이토신을 끌고와서 잘못 풀이해서 수정 중입니다... 죄송합니다ㅠㅠ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3:27 · MS 2017

    수정하였습니다! 수정된 해설을 참고해주세요~

  • KAWA · 892694 · 20/06/19 23:40 · MS 2019

    A:G=4:3이고
    (마)에서 T8, A3, C4, G7이므로
    (나)에서 A:G가 3:7 이 되어서 4:3을 충족시키리면 A가 3개, G가 2개 더필요하고
    결론적으로 (나)에서 못채운 부분에 A3, G2, C=GC-G(3-2), T=AT-T(7-3)

    해서 11/9가 되는게 맞나요?

    7번에서 너무 확확 넘어가서 물어봅니다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3:42 · MS 2017

    네네 맞습니다! 생략이 너무 많나 싶네요ㅠㅠ

  • KAWA · 892694 · 20/06/19 23:44 · MS 2019

    감사합니다 시험장에서 풀 때 5.쯤까지 가서 막혔던거 같은데
    덕분에 이 원한 맺힌 문제를 풀 수 있었네요...
  • [PRIME:R] 텐중 · 737565 · 20/06/19 23:46 · MS 2017

    열심히 풀고 분석하셔서 다음에 나올 모든 복제 추론 문제는 현장에서 맞추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Elice · 910805 · 20/06/19 23:38 · MS 2019

    62 ㄱ1

  • 자료글 올리면서 뻘글도 쓰는 시인 · 862632 · 20/06/19 23:51 · MS 2018

    어,,, 뭔소린지 1도 모르겠다

  • rhdandnjs125 · 971981 · 20/06/20 00:13 · MS 2020

    그 다른 강사분들도 그러시던데 염기 서열이 다르다고 했는데 염기 조성 비율이 전부 같다고 하시더라고요. Q&A를 다른곳에도 올리긴 했는데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라 가닥에 있는 프라이머가 U 2개 G 4개인건 맞지만 X와 Z가 둘 다 U 2개 G 4개일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UGUGGG UUGGGG UGGUGG GUGGUG 등 여러가지가 나오는데 그 경우를 다 제외하고 갑자기 Z가 U 2개 A 4개로 확정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PRIME:R] 텐중 · 737565 · 20/06/20 00:14 · MS 2017

    위 KAWA님 댓글의 대댓글을 보시면 해결되실겁니다!

  • rhdandnjs125 · 971981 · 20/06/20 00:15 · MS 2020

    앜 방금 위에 댓글 읽고서 다시 답글달려 했는데 늦었네요 ㅋㅋㅋㅋㅋ
    그냥 다들 바로 넘어가 버리기에 왜 그런가 해서 질문드렸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rhdandnjs125 · 971981 · 20/06/20 00:16 · MS 2020

    아 그런데 혹시 저거 X와 Z 염기 서열이 다르다는 조건이 왜 주어진건지 아시나요??

  • [PRIME:R] 텐중 · 737565 · 20/06/20 00:17 · MS 2017

    아마 과조건...인 듯 합니다. 혹은 문제를 수정하다가 빼먹었을 수도 있고요

  • rhdandnjs125 · 971981 · 20/06/20 00:19 · MS 2020

    ㄱㄴ이 각각 8개라는것도 그렇고 뭔가 좀 아쉽네요.
    아니면 나중에 저런것도 추가로 이용하게 만들겠다는 경고일려나요 ㅋㅋㅋㅋ

  • 공부는겸손하고무식하게 · 857508 · 20/06/20 07:52 · MS 2018

    최대 @@밖에 존재할 수 없으므로... 생2엔 이런 논리가 심심찮게 보이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