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인문논술 [463502] · MS 2013 (수정됨) · 쪽지

2020-06-24 15:10:51
조회수 5,500

논술 합격의 핵심 - 논점 키워드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30809146







논술 합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항목을 잘 해야 한다. 





논제 분석, 개요 짜기 (단락 도표), 제시문 독해, 논점 파악, 


서 론 쓰기.. 자수와 시간 맞추기까지...






하지만 결국 모든 논술 평가는 수험생의 "최종 작성 답안지"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주요 "키워드"가 핵심 중 핵심이다. 









그것은 2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1. 모든 문장, 문맥을 극단적으로 압축해 놓으면 


"키워드"가 된다.







- 그것은 곧 분석력을 말해 준다.








예를 들어 보자. 







포스터라는 용어가 있다. 가장 짧고 가장 정확하게 


특정 주제를 전달하는 어휘 표현 방식이다.






사람들은 항상 귀찮고 복잡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아주 긴급한 문제를 제외하고는 특정 내용을 위해서


 긴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온 게 "포스터"이다.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게 


아마 "불조심"과 관련된 것일 것이다.






화재를 예방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길게 설명하는 대신


 "자나 깨나 불조심"이라는 짧은 키워드로 대신하였다. 


그리고 이 포스터는 매우 유명하게 오랫동안 활용 되었다. 






즉 키워드를 잘 구사한다는 것은 수험생의 독해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일이다.


당연히 높은 득점을 하게 된다.









2. 논술 채점은 상상보다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이루어진다.







좀 냉정하게 말하면 논술 채점은 학생에게는 중대 인생 사이지만


 채점위원에게는 연중 행사의 업무일 뿐이다.








- 아래는 논술 강사인 본인의 실제 수업 첨삭지이다.














위 첨삭 지는 수업 용이기 때문에 학생이 제기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의문점에 대한 설명이 표현 되어야 한다. 


또 학생 혼자 복습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논술 채점은 위의 논술 수업 첨삭처럼 복잡하고


 상세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구나 수 천 개의 답안지 ( 그것도 고만고만해서 특별한


 흥미를 유발하지도 않는..)를 반복 작업해야 한다.






결국 무엇을 중심으로 채점하겠는가?






채점에서 키워드는 비유하자면 강을 건너는 디딤돌과 같다. 





때문에 문장을 아무리 현란, 유려하게 잘 썼다고 해도


 "논점 키워드"가 우수하지 않으면 잘 쓴 답지가 아니다.







그렇다고 채점위원들의 평가가 결코 부 정확하다는게 아니다. 


출제 위원인데다 수 천 개의 동일한 답안지를 채점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 분들에게 대입 논술 문제 정도의 수준은


 아주 쉬운 내용일 것이다. 부 정확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본다. 









3. 논술 채점은 일정한 채점 기준이 미리 설계된다.







논술도 결국 상대평가의 성질을 갖는다. 평가의


 균질성이 있어야 되기 때문에 사전에 채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선정된다. 





그리고 그 기준은 주로 "중요 키워드"이다. 특정 


논점과 유관한 키워드의 범위가 정해진다는 뜻이다.









- 그러면 어떻게 하면 "키워드 실력"을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나?









1. 기본적으로 일단 이것도 수학, 과학처럼 타고난 


적성, 능력이 크다.








하지만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결할 수는 있다. 


그렇다고 바쁜데 어느 세월에 수많은 배경지식 책을 섭렵할 수는 없다.


 

다른 방법이 분명히 있다. 









2. 논술은 "대립 키워드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 논술 (=논쟁)이란 게 기본적으로  최소 2개 이상의 논점


 =관점의 대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







추상적 - 구체적


외연, 확장 - 내포, 함축


현실적 - 관념적, 이상적, 이론적, 원론적..


정량적 - 정성적


개인, 구성원 - 사회, 공동체


각개적, 개별적, 부분적 - 전체적, 집단적, 집합적


.

.

.



이런 대립적인 용어를 잘 구사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대표적인 대립 키워드들을 프린트로


 암기한다면? 거의 쓸모가 없다.







한 마디로 말해서 논술 합격에 본인의 땀을 흘릴


 생각은 하지 않고 어떻게 기발한 방법으로, 단기간 벼락치기로,


 운발로, 남의 흉내 내기로..








이런 막연하고 별로 야무지지 못한 생각으로 논술 시험


 하루 전까지 "꾸준하고 인내심 있게, 매우 성실하게" 


여기저기 인터넷에 댓글 질문을 해대는 사람들은 ..  


답이 없다. 합격자에게 백 번을 물어보면 키워드


 실력이 갑자기 오를까?







실제로 답안 작성을 많이 하면서 상세한 첨삭과 


되쓰기를 해야 "문맥에 적합한 창의적이고 압축적인 키워드" 실력이 생긴다.






..  몇 가지 더 방법론이 있지만 일단


 여기까지 거론하는 것으로 하자.









* 논술 격언








."논술하는 방법론"을 공부하지 말고 "논술"을 공부하라






. "첨삭 - 되쓰기"가 없는 논술 공부는 정답, 풀이


 과정의 확인이 없는 수학 공부와 같다. 







. 인터넷은 집단 지성인가? 집단 사고인가? 먼저


 실제 문제를 풀어보고 인터넷에 물어보면 매우 현명할 것이다.







. 합격자를 존중하되 무조건 숭배하지 마라. 


그들도 자신처럼 처음에는 "논술 초보"였다. 


자신도 "생각 대신 실천"을 하면 합격 수기를 올릴 수 있다.








- 논술선택은 본인의 상황에 따른 본인의 결정 사항이다.


 하지만 할수 밖에 없다면 늦었다고, 힘들다고 한탄 할 


시간에 용기있게 실천하여 "합격 수기"를 써 봐야 하지 않겠는가?








- 위 글은 본인의 짧은 견해일 뿐이오니 필요하신 분만 참조하시기


 바라며 댓글은 확인을 하지 못 합니다 혹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쪽지 주시면 성의껏 답변 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