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화학 [746146]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0-07-22 17:43:47
조회수 4,065

화1 7월학평 총평 및 1820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31254956

총평하면 개념문제에서 생각보다 어렵게 나왔습니다. 교과외? 같아 보이는 문제도 있고요. 또 비킬러 퍼즐이 까다로웠습니다. 그리고 17,18,20이 객관적으로 어려운편이었습니다. 


1820빼고 눈여겨볼 문항 코멘트는


2번 : 완전연소가 빠진거로 알고있는데.. 다들 풀수있으니 상관없습니다. 

5번 : 용해평형을 물어봤습니다. 풀 수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모르면 조금 까다로웠을겁니다.

9번 : 동위원소로 이런 퍼즐을 만들수 있네요. 어렵지는 않습니다.

10번 : 굳이 그래프를 특이하게 줘서 조금 헷갈릴수는 있지만 엄청어렵지는 않습니다.

12번 ㄷ : 이젠 낚이지 맙시다.

13번 : 차근차근하면 풀립니다. 그래도 자료가 생소해서 시간을 뺏기셨을겁니다.

14번 : 비공유/공유는 공유전자쌍 기준으로 숫자를 맞추면 쉽게 풀립니다. 공유가 5개면 C 3중이나 N 1중 이런식.

15번 : 그냥 어렵습니다. 양자수 공부할 문제가 없으니 조금 힘드셨을 수 있습니다. 평소에 비킬러를 연습하실 때 논리적으로 차근차근 푸는걸 연습하세요. 쉬운 비킬러를 빨리푸는것보다 어려운 비킬러를 차근차근풀어서 시간 안끌리는게 더 중요합니다.

17번 : 산화수 맞추는 문항치고 많이 어려운편입니다. 그래봤자 산화수지만.

19번 : 이거 교과안이 맞나요? 일단 용해열의 정량적 정의를 제대로 알고있으셔야 확실히 풀으실 수 있습니다.


우선 18번 풀이입니다. 시간재고 풀 때 아이펜슬로 푼거. 눈여겨보진말고 표기법만 좀 보시면 됩니다.

이건 정리한풀이입니다.

1. 당연히 (가)에서 (4,1)입니다. (1,4)이면 모순이니깐 그런거지만 이런거까지 증명하는건 집에서만 합시다.

2. (나)에서 개수가 (2,2)이므로 OH-가 3개있는게 확실합니다. 용액은 염기성이므로 염기가 용액을 지배하고, 전하량을 계산하면 NaOH는 9개 투입됐습니다.

3. (다)에서 논리적으로는 귀류법을 사용해야합니다. 이온 개수가 (Cl,SO4,OH-)=(4,2,4)일지 (4,8,8)일지 알 방법이 없으니까요. 당연히 (4,8,8)을 해보면 (가)에서 염기성이 되서 모순이 나옵니다. 굳이 이 케이스를 찍는 분이 많지는 않을겁니다. (4,2,4)를 잘 찍는것도 실력입니다.

4. 따라서 전하량평형에 의해 NaOH는 12개 투입되었습니다. 그다음엔 선지를 잘 풀면 됩니다. ㄴ은 좀 오류소지가 있는 선지라고 생각됩니다. 자세한건 아까 올린 글을 참조하세요. 일단구별방법은 OH- 농도가 클수록 pH가 커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는 20번 즉석풀이입니다. 대충 보시면 됩니다.


아래가 좀 정리한 풀이입니다. 밑에 동그라미 3은 무시하시구

1. A에다가 B를 반응 조금 시키고 다시 B를 투입하기 시작하는 상황입니다. (나)에서 0g넣은게 반응 시작점이 아닙니다.

2. 테크니컬하게 풀어보겠습니다. Chemistry Logistics에서 쓴 용어로 해설하겠습니다. 우선 w를 등차수열처럼 투입하니 차가 그냥 평균변화율입니다.

3. 기울기가 3개 전부 다르므로 중간이 무조건 반응완결점입니다.

4. 기울기 비가 반응전후 -3:1입니다. 기울기 공식을 쓰면 a=5.

5. 한편, -2는 -6과 +2의 중점입니다. 즉 w와 2w의 1:1 내분점(1.5w)반응이 완결되었습니다. 거기서 부피 값을 구하면 12.

6. 반응전의 부피는 3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걸 m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7. 21은 30과 12의 중점이므로 절반반응점입니다. 반응완결점은 B를 6개 투입한 시점인데, 절반반응점은 B를 3개투입했겠죠. 3이 n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5*0.1=0.5입니다.


위 두문제는 나중에 pdf에 추가됩니다. 둘 다 좋네요.

rare-다꼬리드디어세계지배 rare-Python

0 XDK (+100)

  1.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