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뜻이다 [347426] · 쪽지

2010-12-21 05:32:36
조회수 1,381

액체의 용해도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379820

1. 고체의 용해도(일반적으로 액체용매)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이유가 뭔가요? (알긴 아는데 깊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 )

2. 기체의 용해도(일반적으로 액체용매)는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이유가 뭔가요? (알긴 아는데 깊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 )

3. 그렇다면 액체의 용해도는 어떨때 증가하나요?(일반적으로 용매가 액체일때) 원리도 알려주세요.

4. 용매는 일반적으로 액체로 보는건가요? 고체도 용매가 될 수 있나요..?

5. 고체가 용매가되면 액체의 용해도는 어떻게 되나요?ㅜㅜ

6. 용해의 정의가 용질과 용매가 균등하게 섞이는 현상을 말하는것 인데요,

균등하게 섞인다는게 용질과 용매의 상태가 같을때만 가능한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주사립옹 · 328040 · 10/12/22 00:52 · MS 2010

    12는 잘 모르겠고...(아 기체가 물에 녹을때는 뭔가 안정화?가 된다고 들은거 같아요 고체는 일반적으로 흡열반응 기체는
    전부 다 발열반응 이건 아마 아시는거 같은데 그 이상은 저도 모르겠네요)3번은 무극성은 무극성에 극성은 극성에 잘녹는다
    이거밖에 생각이 잘 안나네요 아 용매-용질 사이의 인력이 용매-용매 혹은 용질-용질 사이의 인력보다 클때 용해가 잘 일어난다고
    들은거 같은데 이거 역시 아시고 있는거 같고...
    4번은 고체도 용매될수 있습니다 액체에 액체 섞는것만 용매용질섞이는게 아닙니다 기체도 마찬가지구요
    6번도 상태가 같을때만이라고 할 수 없겠죠 예를들어서 기체가 그냥 그대로 물에 녹을수도 있으니까요('물리적')

  • 모래잔디★ · 305039 · 10/12/24 10:37 · MS 2009

    1번 고체의 용해도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이유 : 고체상태에서는 분자의 운동 방향이나 크기가 제한적인데 반해 물에 들어가면 비교적 자유로워집니다. 운동할수잇는 가짓수(엔트로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흡열반응이므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평형상수가 증가해서 용해도가 커집니다. 고체중에 온도가 올라갈수록 용해도가 적어지는 것도 있는데요. 이 이유는 고체는 자유로워지지만 주위를 둘러싸는 용매들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total로 봤을 때

    전체 활동 가짓수가 적어져서 그런겁니다.예: CaF2

    2번은 윗글에 반대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