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씨 [395878] · 쪽지

2013-11-04 22:55:54
조회수 3,997

화1 화합물 산화수 따지는 기준 원소....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3905509

반응식 주고 산화했다, 환원했다 구하는 유형의 문제 있지 않습니까

저는 여태까지 어떤 식으로 풀었냐면

AB + BC -> AC + BC

정확한식은 아니고요, 이렇게 되어있다고 치면

저는 'AB'가 산화되었는지 환원되었는지를 따질때는

A가 산화수가 증가했냐 감소했냐를 기준으로 놓고 했습니다
왜냐면.. A같은경우는 반응 전과 후 각각 한쪽에만 존재하니까요

그런데


ㅠㅠㅠㅠ


SO2   +     2   H2S   ->    2  H2O   +  3S

여기서 2 H2S 산화수 구하는거였거든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저는 H가 한쪽에만 있으니까 따져주기 쉽고... S는 여러군데 있어서 따져주기 그러니까
H랑 O를 기준으로 산화수 따져줬거든요

근데 이렇게하면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데 S의 산화수는 분명히 변했고..

진짜 멘탈 붕괴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여지껏 이런식으로 풀어서 거의 맞았는데...


속이 타들어가네요

화합물의 산화 환원 따질때 어떤 원소를 기준으로 해야 하는건가요...

눈물나오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자 · 419534 · 13/11/04 23:10 · MS 2012

    홑원소가있으면 무조건 산화환원아닌가요..

  • FCGCFGAE · 380935 · 13/11/04 23:12

    산화환원반응 맞을텐데요 여러가지 원소중 산화수 변한게 한가지라도 있으면 산화환원반응으로 보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화1 하이탑 2권 183쪽에 나오는 산화수 결정규칙 숙지하시면 혼란없으실것같습니다. 혹시 책이없으시다면 댓글로 달아드릴게요.

  • Berta · 467779 · 13/11/04 23:12 · MS 2013

    엇! 저 하이탑 없는데 궁금합니다. 댓글좀 부탁해요

  • FCGCFGAE · 380935 · 13/11/04 23:22

    항상 성립하는 규칙들:
    홑원소 물질 산화수는 0, 단원자 이온의 경우 산화수=이온전하, 다원자 이온의 경우 산화수 총합=다원자이온전하, 화합물에서 산화수 총합=0

    여기까진 당연히 알고계실것이고 아래부터는 번호가 작은 규칙부터 우선하여 적용하시면 됩니다.

    1. 화합물에서 1족 금속원자(Li, Na, K)는 +1, 2족 금속원자(Be, Mg, Ca)는 +2, 13족 금속원자(Al)는 +3의 산화수를 갖는다.

    2.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1

    3. 화합물에서 O의 산화수는 -2

    4. 화합물에서 할로젠 산화수는 -1

    간단히 요약하자면 NaH나 H2O2같이 낯선놈들의 산화수를 결정할땐 금속->수소->산소->할로젠 순으로 결정하면 된다는 말입니다.
    NaH는 규칙1이 우선적용되어 Na가 1이 될테니 H가 -1이 되고, H2O2는 규칙2가 우선적용되어 H가 1이 될테니 O가 -1이 되겠죠.
    질문하신 반응식은 SO2에서 당연히 O가 -2이니 S는 +4, H2S에서 당연히 H가 +1이니 S가 -2..... 라는 식으로 매우 가뿐하게 해석이 되네요

    아시는내용 주절주절 늘어놓은거라면 죄송하구.. 이정도만 아셔도 수능문제 산화수계산엔 아무문제 없으실거에요

  • Berta · 467779 · 13/11/04 23:26 · MS 2013

    아.....아는...거... 시간뺏어서 죄송합니다..
    저도 알(f)-수-산-할 이렇게 외웠어요

  • FCGCFGAE · 380935 · 13/11/04 23:3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FCGCFGAE · 380935 · 13/11/04 23:26

    아 질문자분이 아니시네요 ㅋㅋ 아무튼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생명의씨 · 395878 · 13/11/05 07:12

    이렇게 긴 답글을...정말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ㅜㅜㅜㅜㅜ 저 한가지만 여쭈어봐도 될까요. 저 반응식에서 H2S의 S는 반응전에 비해 산화수가 증가했으니까 산화된거고 SO2의 S는 산화수 감소했으니까 환원이라고 보면되는건가요
    곧 반응전에는 황이 두군데있엇지만 반응후에는 한군데만있는데.., 그래서 저는 반응 전에 두개중 어느게 반응 후 식이랑 일치하는걸까 고민했는데 그러지말고그냥 반응전에있는 s모두ㅏ 반응 후에있는 하나만보고 산호ㅏ수 변화 따져주면되는건가요ㅜㅜ 말이좀 이상한데
    CaO + F2O = F2 +O2 +Ca 라는식이 있을때(가상으로ㅜㅜㅜ)
    CaO 의 O는 산화수 증가했으니 Ca의 O는 산회됨
    F2O의 O는 산화수 감소했으니 환원됨

    그러나 CaO는 산화제거고 F2O는 환원제다 반응물자체를 놓고 산화제 환윈지ㅏ 따지는건 H O 뺀 나머지로 따진다이러케해도되나요?ㅜㅜㅜㅜ 부탁드립니다ㅜㅜㅜㅜㅜ

  • 화학과 · 449264 · 13/11/05 09:45 · MS 2013

    CaO는 산화했으니 환원제이고
    F20는 환원했으니 산화제입니다.

    산화환원은 자신 기준이고
    산화제,산화력,산화성 은 남을 바꾸는 기준입니다.

    고교범위에선 H,O말고 다른 원소로 판단해도 큰 무리는 없을거에요.

  • 생명의씨 · 395878 · 13/11/05 18:18

    알겠습니다... 화학과님, 정말 너무나도, 진심을 담아 정말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 의학유망주 · 427090 · 13/11/06 16:40 · MS 2012

    cao가 ca관점에서 보면 환원된거 아닌가요???

  • 화학과 · 449264 · 13/11/04 23:13 · MS 2013

    모든 원자의 산화수가 변하는게 아닙니다.
    그래서 밑에 언급하신 문제에서 S는 꼭 따져줘야 하지요.
    대개 H와 O는 산화수 +1, -2로 출제됩니다. 그래서 어쩌면 H와 O를 따지는건...큰 득이 안될수도...
    H는 이온결합시의 -1, O는 H2O2(과산화수소)의 경우 -1이라는 예외가 있지만요.

    홑원소 물질이 있으면 산화환원 반응입니다. 홑원소 물질이 반응에 참여하면서 산화수가 변하기 때문이지요.

  • 생명의씨 · 395878 · 13/11/05 07:14

    화학과님 보면 언제나 질문글에 답변달아주시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
    하나만 여쭐게요 저 식에서 SO2는 산화제인가요 환워ᆞ제인가요? ㅜㅜ

  • 화학과 · 449264 · 13/11/05 09:29 · MS 2013

    SO2의 S의 산화수가 +4에서 홑원소 물질 S로 되면서 산화수가 0으로 감소했으니 "자신은 환원"하면서 남을 산화시키는 "산화제"로 작용한 것이고,
    H2S에서 S의 산화수가 -2에서 홑원소 물질 S로 되면서 산화수가 0으로 증가했으니 "자신은 산화"하면서 남을 환원시키는 "환원제"로 작용한 것입니다.

    기준을 잘 세워서 따지는 연습만 하면 남은 기간동안 정복할 수 있을거에요.
    반응물이 2개인 반응식의 경우
    하나가 산화제면 나머지 물질은 환원제입니다.
    산화환원의 동시성을 이해하면 굳이 두 물질을 다 따지지 않아도 됩니다.

  • 의대찡 · 467491 · 13/11/04 23:22 · MS 2013

    저런식으로 지 혼자 산화환원 하는 애들도 있죠
    저럴땐 조심조심

  • 생명의씨 · 395878 · 13/11/05 07:12

    헐 처음 알았어요....ㅜㅜ

  • 소식 · 384513 · 13/11/04 23:40 · MS 2011

    전친으로 구조식해서푸는법도있는데 이건 굳이 그렇게 안해두 될꺼같네요. 윗분이써주신 규칙 외우시면될듯.. 나중엔 예외도많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