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툭 [477377] · MS 2013 · 쪽지

2014-08-04 11:40:24
조회수 12,381

지구과학2 응시생들을 위해. 지질도 해석방법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4750720

안녕하세요. 툭툭입니다.


현재 지구과학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지구과학2 응시생들을 위해 2문제씩 올리고 있습니다. 이전 문제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푸신 후 


해설을 꼭 봐 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지구과학2 학습법 링크도 걸어놓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문제가 아닌 지질도 해석하는 방법으로 돌아왔습니다~

지질도 문제는 지2 학생들이 많이 틀리기도하고 어려워 하는 부분인데요

지질도 문제를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해 주셔서 답변을 달다가  게시글로

올리면 더 많은 분들이 볼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올립니다.

이 게시글을 읽기 위한 준비물이 있는데요~ 그건 바로 수능특강 교재와, 엄지&검지 손가락입니다.

시중 교재에 나와있는 것 처럼 딱딱하게 설명을 하고 싶지 않아 제가 옆에서 말해주는 것 처럼 설명을

하였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 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

제가 수능을 준비할 때 지질도 문제를 학습한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해 저는 수능특강 교재를 사용하겠습니다. 이 답변을 읽으실 때 같이 봐 

주셨으면 합니다. 뭔가 제가 옆에서 말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것 입니다!

우선 p.87쪽 하단의 지질도를 보면 아주 복잡하게 생긴 것이 있습니다. 이런 지질도는 문제에서

지질단면도를 그리라고 하지 않고 지질도 자체에서 경사,주향 등을 물어봅니다.

그렇다면 한 페이지를 넘겨 p.88쪽을 보시죠.

상단에 수평층, 수직층, 경사층(위쪽이 지질도, 아래쪽이 지질단면도)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그림들이죠.

일단 기본적으로 지질도는 위에서 바라본 모양이고, 아래쪽은 옆에서 바라본 모양입니다. 여기서 착안해

서 제가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근차근 설명해드릴테니 따라해 보세요

1. 평면으로 되어있는 그림을 입체적으로 생각해보려는 것입니다. 수평층을 예로 들면 A는 낮고 B는
높죠? 그렇다면 B를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수평층의 지질도의 B(맨꼭대기)를
집어보세요 (실제로 무언가를 들어올리려는 것처럼) 그리고 들어올린다고 상상을 하세요.
천천히 들어올리면 맨처음에는 300m 층이 올라오고 그다음에는 200m 층이, 그 다음은 100m 층은 그대
로 있겠죠? 되셨나요?? 그렇다면 지금 100m 층이 맨 아래 200m 층이 그 위 300m 층이 젤 위로 되어있고 
학생은 그 300m 층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있는게 됩니다.

2. 그 다음엔 그 들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옆에서 본다고 생각해보세요. A와 B는 수평층이니 지질도 아래
에 있는 그림처럼 지질 단면도가 나타나겠죠?


자 그 다음은 수직층인데요~ 이건 이런 방법을 굳이 쓰지 않아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pass 하겠습니다.

 

이제 경사층을 볼까요? 두 개가 있는데 그 중 왼쪽을 먼저 해보겠습니다.

1. 자 아까처럼 B층을 엄지와 검지로 잡습니다. 그러면 물고기모양을 하고있는 A의 입이 학생의 손가락
을 물고있게됩니다. 이제 B층을 들어올립니다 쭈욱~~~ 그러면 손가락을 물고있는 입쪽이 먼저 올라오
게 되겠죠??  그러면 입쪽이 위에있고 몸통은 왼쪽으로 경사가 지게 됩니다~

2. 이제 들어올린 것을 또 옆에서 봅시다. 그러면 아래의 지질 단면도가 나타납니다.

어때요 참 쉽지요?? 이해가 안가신다면 말씀해주세요 다른방법이라도 강구해야 할 듯 싶네요.. 그런데

이렇게 천천히 쭉 풀어서 설명해드리면 웬만한 학생이라면 다 이해하실 것입니다~


자 그 다음은 오른쪽 경사층입니다.

1. 똑!같!이! B층을 엄지와 검지로 잡습니다! 그리고 들어올려주세요!!! 그러면 300m 층이 먼저 올라오고 
200m, 100m 층 이 차례로 올라오겠죠?  그렇다면 지층경계선 부분중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장 
먼저올라오고 그다음에 가에 있는 것이 올라옵니다.

2. 그걸 또 옆에서 보면 지층경계선이 오른쪽으로 경사진 아래의 지질 단면도가 나오게 되죠~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가장높은 부분에 있는 층을 잡고 들어올린 후 옆에서 바라본다 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바로 옆 페이지에 있는  습곡, 부정합, 단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상 앞에서 다 배

운 것입니다.)


1. 습곡은 아까 경사층 왼쪽에 있었던 물고기가 2마리라고 생각하면 쉽게 됩니다~ 그러면 쉽죵??ㅎ

2. 부정합 이그림은 아까 배운 수평층과 경사층을 합한 것인데요~ C층이 가장 높으니 C층을 들어올려야
겠죠? 그렇게 된다면 C층과 B층과의 관계는 아까 수평층관계로 되고. 지질도에서 A층은 C층에 가려져있
으니 C층이 들어올려지고 나서 A층의 물고기의 입이 올라오겟지요? 그렇게 된다면 밑의 지질 단면도 처
럼 된답니다.

 

3. 단층!!! 이 친구는 말이죠~ 그냥 외우시는게 빠릅니다.. 단층은 두가지가 경우가 있는데 지금 책에 나
와있는 그림은 정단층입니다.

단층은 물고기의 머리가 커진 모양입니다. 오어 처럼 생겼네요~ (이건 방금 갑자기 생각난거에요..)

이렇게 외우시면 까먹을 일이 없겠네요~

역단층은 반대로 물고기의 머리가 작아진 모양입니다.

-------------------------------------------------------------------- 

이렇게 해서 지질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어떻게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이나 쪽지로 질문 남겨도 되구요 카톡으로 질문 하셔도 됩니다.

(카톡ID : joshua940728)

 언제한번 지질도 문제도 만들어봐야겠네요 흐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I코딩노예 · 421820 · 14/08/04 15:43 · MS 2012

    으으 수능 지1지2 응시자였어서 님 글이 계속 눈에띄네요 ㅋㅋㅋ 지금은 대학생이라 아무 상관없어졌지만 왠지 반가워요

  • 툭툭 · 477377 · 14/08/05 00:44 · MS 2013

    허허 지1지2 시라니~ 대단하세요 bb
    저는 대학생이라 아무상관없어진줄 알았는데..ㅎ
    이렇게 계속 이어나가고 있네요~

  • siriusB · 512424 · 14/08/04 15:44 · MS 2014

    물고기!!물고기 ㅋㅋㅋ
    손가락을 문다니 참 귀여운 설명이네요 ㅎㅎ
    지질도는 계속 반복하면서 익숙하게 하는게 꼭 필요한거같아요. 잘 배우고 갑니다. ㅎㅎ

  • 툭툭 · 477377 · 14/08/05 00:45 · MS 2013

    ㅎㅎ 저렇게 설명하는게 제일 나을 것 같아서요~!

    얼릉 문제를 만들어야겠네유 ㅜㅜ

  • siriusB · 512424 · 14/08/07 18:04 · MS 2014

    툭툭님 그동안 좋은 문제 진짜 감사했는데 남은 98일 오르비없이 살려구 해요..(본의아니게 자꾸 하게돼서...)
    흑흑 ㅠㅠ 보고싶을거예요. 수능 끝나고 좋은 결과로 찾아올게요. 그전에 들어와서 지2 문제에 답달고있으면 따끔하게 혼내주세요 ㅋㅋ
    감사했습니다~ 안녕히계세요!!

  • 툭툭 · 477377 · 14/08/07 19:26 · MS 2013

    헐 그러면 이메일이라도 남겨주세요 문제 보내드릴게요~

  • 모이어 · 264682 · 14/12/05 00:21 · MS 2008

    이런꿀자료가..
    감사해요

  • AllLifeEnthusiasm · 503531 · 15/02/02 15:18 · MS 2017

    저 올해 지구과학 2 처음해서 작년 이비에스 없는데 올해 이비에스거로도 해주실수 있나요?

  • 짭짭이 · 685730 · 17/09/19 18:09 · MS 2016

    잘 봤어요 ㅎㅎ 근데 요 문제 (17 6평 20번)에서는 물고기 머리가 커진 거 아닌가요??
    ㅜㅠ 요 자료에서 역단층이라고 나와있는데요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