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사관학교 [413362] · MS 2012 · 쪽지

2014-09-24 15:51:17
조회수 761

한국사 자작문제 9월24일 <정답발표>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4897377

답은 10시 이후에 발표합니다.
푸신분은 오르비식으로 댓글 남겨주시고요
댓글 남겨주시면 모르비, 앱르비 분은 알람 받으실 수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금강불괴 · 516043 · 14/09/24 16:01 · MS 2014

    12345254321

  • 플루토늄 · 451090 · 14/09/24 16:07 · MS 2013

    14234231412
    ㅎㅎ 항상 고생하십니다

  • hwaori · 471995 · 14/09/24 16:26 · MS 2013

    12345254321

    근데 (나)지문을 아예 모르겠네요 ㅠㅠ 개념정리한지 꽤 되서그런가..

  • 재수혹은자살 · 497685 · 14/09/24 19:31 · MS 2014

    정확한지문은모루겟고 대충보면 07년 군대해산얘기같네요 ㅋㅋ

  • 공군 사관학교 · 413362 · 14/09/24 20:16 · MS 2012

    해설지 쓸 때 알려드릴꼐요

  • 상상도못할노력 · 471287 · 14/09/24 17:28 · MS 2013

    12345254321

  • 공군 사관학교 · 413362 · 14/09/24 22:01 · MS 2012

    (가) 황성신문에 실린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입니다.
    을사늑약의 강압적 체결에 비분강개하여 쓴 글입니다.
    (나)는 정미7조약 직후 비밀각서입니다.(군대해산)
    사료를 알아두실 필요는 없고 포인트만 잡으시면 됩니다.
    -> 군대해산 (정미7조약 및 군대해산)

    정답:
    2번: 스티븐스가 대한제국의 외교고문으로 파견된 것은 1904년
    제1차 한일협약으로 재정고문 메가타와 함께 임명되었습니다.
    이후 미국에서 장인환, 전명운 선생에 의해 피살당합니다.

    오답
    1번: 을사조약의 결과 을사병오의병이 일어나고
    이 의병 때 태백산호랑이 신돌석 등 평민의병장이 처음으로 출현합니다.
    3번:
    1907년 주요 순서기억

    헤이그특사->고종양위(강제퇴위)->정미7조약->군대해산->정미의병

    고종의 강제퇴위로 인해 대한자강회 등에서 강제퇴위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4번: 정미의병 때 의병들은 해산군인이 가담하면서
    을사늑약이후 철수하지 않은 공사관에게 자신들을 국제법상 합법적 교전단체로의 인정을
    촉구하였습니다.
    5번: 군대해산 직후 시위대 대장 박승환이 자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