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sh [500692] · MS 2014 · 쪽지

2014-11-18 01:39:21
조회수 505

정말궁금한게..생2 8번이 논란되는이유가 정확히 뭐죠?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073211

조절유전자의 프로모터에 붙는게 확실치않다 라든지

명시가 안되있다 라든지 
이런이유인거 같은데.. ㄱ선지에선 효소가 조절유전자에 붙는지를 물어봤지 조절유전자의 프로모터인지는 선지 판단시 고려대상이 아니지 않나요...?
선지가 틀리려면 억제단백질이 아얘나오지 않던가 
억제단백질을 만들때 중합효소가 관여하지않던가 
아니면 중합효소가 조절유전자 이외의곳에 붙어야 틀린말이되는거아닌가요..?
혹시 제가 생각못한부분이있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백선철huggies · 512485 · 14/11/20 17:11 · MS 2014

    그럼 구조유전자에도 중합효소가 결합한다는게 참인데 지금껏 어느 문제를 봐도 중합효소가 구조유전자에 결합하는건 잘못된 선지라고 다 나와있습니다. 문제는 결합되있는 상태라는 말이 와야할 곳에 결합한다고 쓰여있다는 것이죠. 당연히 억제단백질이 항상전사되어 있는것은 압니다만 ㄴ을 한 사람들은 뒤에 서술어를 보고 답의 참 거짓을 판단했기에 문제가 있는것이죠

  • 자연과정 · 450220 · 14/11/20 23:32 · MS 2013

    참인데 지금껏 어느 문제를 봐도 중합효소가 구조유전자에 결합하는건 잘못된 선지라고 다 나와있습니다

    어디에 나와있죠? 생2 2년차인데 이런문제는 본적이 없는데요?

  • huggies · 512485 · 14/11/21 12:01 · MS 2014

    님은 2년차지만 저는 생2 군대에서도 공부했구요. 다 합치면 도중에 대학생활뺀다하더라도 4년이 넘었네요ㅎㅎ 생2 문제에서 구조유전자에 중합효소가 결합한다는 선지가 옳은 선지가 아니었던걸로 아는데요? 그리고 프로모터에 중합효소가 결합한다 라고 배우지 않습니까??만약 ㄱ이 맞다면 굳이 프로모터에 중합효소가 결합한다고 따로 배울필요가 없죠. 어느곳이든 전부 결합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