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B English[진양문T] [467169] · MS 2013 · 쪽지

2015-01-30 14:53:29
조회수 3,889

[진양문T] EBS 수능특강 정리법 및 변형문제 예시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610195

(409.5K) [2880]

수능특강자습서.pdf

안녕하세요

CEE U @TOP 저자  UNB English 진양문(T)입니다.

지난 주에 올해의 첫 번째 수능 연계교재인 EBS 수능특강이 발매가 됐습니다.

수능을 경험하셨던 분들이라면 나름 자신만의 공부법이 확립되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수능이 올해 처음이신 고3 수험생들 EBS 공부법에 궁금증이 있으실 것 같아서 제 생각에 효율적인 학습법 및 정리법의 예시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학습법을 말씀드리면

1단계: 각 챕터별로 실전과 동일한 시간의 압박감을 느끼면서 푸시는 겁니다.

예를 들어, 유형의 경우 - 사실 작년 6/9평에는 나왔지만 수능에서는 빠졌기 때문에 올해 글의 목적 유형이 출제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 수험생 여러분의 전략상 30초에서 1분안에 정확하게 풀어야 한다는 목표가 있다면 수능특강 1강 4문제를 3분 정도의 시간제한을 두고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은 실전연습 없이는 절대로 잘 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중에 나와 있는 수능대비 문제집들은 5년간의 EBS 연계정책의 여파로 문제개발이 부족해서 실제 수능의 난이도나 출제원리와 맞지 않는 책들이 대다수입니다. 따라서 수능과 가장 근접한 난이도와 원리를 가진 책이 EBS 연계교재이기 때문에 실전연습을 위해 사용하시는 것이 필수입니다.



2단계: 꼼꼼하게 읽기입니다.

지역균형이나 종합 및 학과전형에 반영되는 내신 성적은 3학년 1학기 기말고사까지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영어시험은 EBS연계교재 수능특강과 인터넷 수능을 활용해서 중간/기말 고사를 출제합니다. 다시 말해 현 고3의 경우 EBS 연계교재는 내신과 수능을 동시에 대비하는 수단이 돼야 함으로 자세히 꼼꼼히 읽는 것도 필요합니다.

내신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법적 표현도 살펴봐야 하며, 글의 구조나 표현적 특성에 따라 평가원 모의고사나 수능시험이 선호하는 지문을 파악하고 변형의 포인트도 짚어 봐야 합니다. 물론 이러한 작업들을 해나가는 것이 쉬운 일도 아니고 너무 막연하고 추상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에 제가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고자 제 나름대로의 정리예시를 첨부합니다.

올해 수능특강 2강 주제 추론의 1번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1.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many people, television is just flickering wallpaper, moving pictures in the corner of the room. As a medium, television is extremely easy to watch without, apparently, requiring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viewer. However, while it is easy to watch television, it is hard to write analytically about it. If you are studying communications, media studies, social studies, humanities or English, you will probably need either to write about a television programme, or to prepare and present a project about television at some point in the course of your studies. Most students find this very difficult. Precisely because television is so easy to watch, it seems to resist our efforts to analyze it critically.

*flicker 깜박이다 * * analytically 분석적으로

③ 텔레비전 분석의 어려움



1. Semantic Key Sentence & Structure: 직관 => 반론 및 주제 => 주제 재진술

(1) As a medium, television is extremely easy to watch without, apparently, requiring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viewer.

(매체로써의 TV에 대한 일반인들의 직관에 의한 도입문)

매체로써 TV는 시청자들의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시청하기 쉬운 대상이다.


(2) However, while it is easy to watch television, it is hard to write analytically about it.

(일반인의 직관에 대한 반론이자 주제문)

하지만 TV를 보기는 쉽지만, TV에 대해 분석적으로 쓰기는 어렵다.


(3) Precisely because television is so easy to watch, it seems to resist our efforts to analyze it critically. (주제문에 대한 재진술)


엄밀히 말해 TV는 시청이 너무 쉬워서 TV를 분석하고자 하는 우리의 노력을 방해하는 것 같다.




2. Grammatical Key Sentence:

(1) 상관구조: either A or B (A 혹은 B)에서 A자리와 B자리는 문법적 병렬

If you are studying communications, media studies, social studies, humanities or English, you will probably need either to write about a television programme, or to prepare and present a project about television at some point in the course of your studies.


(2) 목적격 보어 자리에서의 형용사 활용

Most students find this very difficult. =>this(앞 문장 내용)가 어렵게 느껴짐. 목적어인 this에 대한 서술이므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가 필요함




3. Transformational Points :

(1) 다음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곳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However, while it is easy to watch television, it is hard to write analytically about it.


To many people, television is just flickering wallpaper, moving pictures in the corner of the room. (①) As a medium, television is extremely easy to watch without, apparently, requiring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viewer. (②) If you are studying communications, media studies, social studies, humanities or English, you will probably need either to write about a television programme, or to prepare and present a project about television at some point in the course of your studies. (③) Most students find this very difficult. (④) Precisely because television is so easy to watch, it seems to resist our efforts to analyze it critically. (⑤)

*flicker 깜박이다 * * analytically 분석적으로



(2)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

To many people, television is just flickering wallpaper, moving pictures in the corner of the room. As a medium, television is extremely easy to watch without, apparently, requiring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viewer. However, while it is easy to watch television, it is hard to write analytically about it. If you are studying communications, media studies, social studies, humanities or English, you will probably need either to write about a television programme, or to prepare and present a project about television at some point in the course of your studies. Most students find this very difficult. Precisely because television is so easy to watch, it seems to ____________ our efforts to analyze it critically.

*flicker 깜박이다 * * analytically 분석적으로

① facilitate

② activate

③ resist

④ compose

⑤ accept



위의 예시와 같이

첫 번째로 글의 구조적 특성과 글의 내용상 꼭 기억해야 할 문장들을 표시합니다. (저처럼 타이핑을 할 필요는 없고 교재에 highlighting이나 underlining만 하셔도 좋습니다 - 이 경우 EBS 연계교재는 2권 구매하실 것을 권합니다.) 이 지문의 경우 글의 도입부는 TV시청에 대한 직관적 인식을 말하다가 반전과 함께 본 소재 및 주제를 피력한 후에 마지막 문장에서 주제의 재진술을 하고 있는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조적 뼈대를 이루는 3문장은 marking을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는 수능에서 (고3의 경우 내신시험 포함) 빈출되는 어법사항을 담고 있는 지문들에 대한 표시가 필요합니다. (역시 굳이 쓰실 필요는 없지만 마커용 포스트잇 등을 사용해서 표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지문의 경우 either A or B의 상관구조나 목적격 보어 자리에서의 형용사활용과 같은 것이 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능영어의 각 유형마다 선호하는 지문의 구조들이 있습니다. 이 글의 경우 통념 및 직관에서 반론으로 넘어가는 형태를 띄는 데, 이런 구조의 경우 이나 에서 많이 선호하고 있으며, 또한 반전부의 주제문을 마지막 문장에서 재진술하는 구조는 에서 restatement/paraphrase 원리를 이용한 출제에 적용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에서 제시문이 될 가능성이 있는 However, while it is easy to watch television, it is hard to write analytically about it. 문장이나, 이에 대한 재진술에 해당하는 마지막 문장에 마킹을 해 두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제가 드린 예시가 해볼만하다고 느끼신다면 한 번 시도해보세요. 물론 기회비용에 대한 의문이 있겠지만 EBS를 적극 활용해서 영어공부를 해 보실 생각이 있다면 한 번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NO EFFORT IS WASTED!"


수험생 여러분의 노력이 모두 보답받는 한해가 되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첨부파일은 수능특강 1~2강까지의 정리 및 변형문제 예시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