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망하지 않는 법 2 - 실모 활용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7755133
*쑥마늘 시절 칼럼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이미 봤던 내용!
실전모의고사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굉장히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실모를 풀어야 한다는 건 아는데, 실모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더라고요. 실모의 의의는 단순히 풀고 채점하는 데 있는 게 아닙니다.
약간의 사견을 덧붙이자면, 실모는 ‘실전 연습’을 하기에 적합한 콘텐츠는 아닙니다.
문학은 평가원과 사설 사이의 괴리가 굉장히 심하기 때문에 평가원 문학을 푸는 느낌을 구현해낼 수 없어요. 평가원 문학의 느낌을 구현하려면 ‘깔끔한 어려움’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실모는 ‘깔끔함’과 ‘어려움’ 두 마리 토끼를 잡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깔끔하게 내자니 너무 쉬워지고, 어렵게 내자니 소위 말하는 더러운 문제들 내지는 문제 오류가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평가원의 시간 분배를 연습하기는 살짝 애매해요.
다만 그럼에도 평가원과 비슷한 형태의 시험지를 45문제 단위로 풀어보는 경험은 의미가 있고, 실전모의고사만의 특징은 분명히 존재하기에 저는 잘 활용하는 게 가능하다면 많이 풀어보는 것도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실전모의고사를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우선 실모를 푸는 과정은 전제되어야 하겠죠. 실모는 평가원이 아니기에 문제와 지문에 대한 분석을 하는 건 부질없다고 봅니다. 기본적으로는 실모도 사설이니 2-3번에서 언급한 것처럼 진행하시면 되는데, 거기에 한 가지만 추가해주시면 실모를 온전히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문제 및 지문에 대한 분석은 무용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그럼에도 실모에서 분석해야 할 부분은 있습니다.
바로 시험 운용에 대한 분석입니다.
실모를 풀기 시작했다면 80분의 시간 동안 온 힘을 다해 점수를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건 당연한 거겠죠? 그 과정에서 여러분들의 시간을 앗아가는 쓸모없는 동작들이 분명 존재할 겁니다.
간단히 저를 예시로 들자면 저는 문제가 막힐 때 넘어가는 걸 작년 6평 이전에 시도해본 적이 없어서 23번 문제 하나에서 50분을 쓴 경험이 있거든요. 지금 생각해보면 미친 행동인데, 충분한 연습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수능 당일에 이런 짓을 할 수 있으므로 실모를 통해 거슬리는 동작들을 최대한 줄여나가는 걸 목표로 학습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기출 이해도가 높다는 걸 전제로 추천하고 싶은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시간 운용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사설 비문학 문제의 원본을 직접 찾아내서 풀어보는 것인데요. 약점을 찾았으니 이걸 극복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연관 기출을 풀고 행동영역을 점검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설을 기준점으로 잡고 풀면 우리가 만들었던 평가원을 기준으로 한 ‘생각의 틀’이 무너질 수 있기에 기출로 행동영역을 점검하라고 말씀드리는 거고요. 혹시 이 과정을 혼자 하기 버겁다고 느끼신다면 강사 실모의 경우 관련 기출을 수록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그걸 활용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 이 과정에서 어느 영역을 몇 분 안에 끝내겠다는 기준을 잡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직관적인 예시로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는데요. 당시에는 화작은 날로 먹는 파트라는 인식이 팽배해서 화작은 N분 컷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당해 수능에서 화작이 어렵게 나오자, 많은 조상님들이 시간 관리에서 실패했다는 압박 때문에 전반적인 시험 운영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고요. 특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그거에 맞춰서 푸는 게 아니라, 풀다 보니 일정한 시간에 맞춰진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문제풀이 순서를 시험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해진 순서는 없습니다. 대신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안정적으로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방식을 택하세요. 수능은 운의 비중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시험이지, 행운이 올 거라고 자신하고 도박을 걸 만큼 만만한 시험이 아닙니다. 상한선을 끌어올려서 나올 수 있는 점수대를 높인다는 발상도 좋습니다만, 우리의 시험은 단 한 번이고 그 하루에 모든 게 결정되기에 결코 운에 의존할 수 없습니다. 정말 현장에서 운이 좋아서 잘 보면 이상적인 결말이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유감스럽게도 수능을 망쳤다고 말하는 사람들 중 하나가 되어버립니다. 그래서는 안 되겠죠?
요약하자면, 실전모의고사는 우리에게 남아있는 쓸모없는 동작들을 걷어내고, 최종적으로 필요한 행동영역을 점검하면서 실전에서 마주할 수 있는 변수들을 최대한 줄여나가기 위해 활용하는 공부 재료입니다.
적절히만 사용한다면 하한선을 높이기에 가장 유용한 콘텐츠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경제를 쓰지 않은건 너 자신의 선택이다 26수능으로 증명해라
-
이번분기 신작인데 재밌다고 들었네요 저도 볼 예정
-
저능부엉이 어색한약초들 비상식량 설댕이 망령이들어버린인터넷망령 Greenlime...
-
맥북 에어 사줌....ㄷ
-
다들 수학 실전개념 강좌는 아무나 들어도 상관없다 생각하시나요? 0
누구는 뉴런듣고, 올해 범준T 새로 인강 데뷔하셨다고 하셔서 한 번 들어봤는데 너무...
-
나만 평균이하지
-
기분이 좋네요 오랜만에 술마셔서 그런가 술이 잘 받네
-
최초합 막차 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꼭 할게요
-
빨리가져가라 쉬는시간마다 상자에서 오리비가 쳐다보는데 부담스럽다
-
연고대 점공 봐드린분들 서울대 추합 가능한지 확인해달란 의미입니다 너무 많아서...
-
또 나만 공부 못하지 ㅜㅜㅜ
-
육군) 이병 일병부터 밥먹고 바로 개인공부하면 개 폐급 취급받죠?
-
이번에는 제가 버립니다. 법학부 예비1번은 안심하세요
-
다시 책 폈다 이따온다
-
진짜 하루는 조발 해줄만하잖아
-
내년에 같은 학교에서 보자고 과만 바꾸기로 약속했어
-
663.42 점공 1등 탈락 652 합격 진짜 여긴 뭐지
-
점공상 64등이고 중간에 CC하나 있어서 이쪽도 역시나 결대로입니다
-
그냥 잠수타면됨?? 등록포기 따로 해야되나
-
인데ㅅㅂ이거맞음? 겨우5분걸었음 집까지 10분더남았는데
-
비서울대라 울었어 14
-
짜증나네 과기대 쓸걸
-
붙을 수 있을까용..??
-
아침 5시에 일어나서 공부하다가 아침 7시쯤에 가루커피 3개 타서 마심 아침...
-
어떰? 외모도 귀엽고 성격도 밝고 싹싹에 모임가면 분위기 메이커 혼술이나 술...
-
50명 뽑는 과이고 2024 62명 선발 추합 244번 2023 52명 선발 추합...
-
개멋있네 진짜
-
이거 왜 {(x-k) + (6k-x)}/2 하면 5k/2 나오나요..? 지금까지...
-
죽어도 조발을 안하네
-
그럼 이제 연대 다 발표난 거?
-
흠
-
뭔가 조금 깨달음을 얻은거같음 경제가 수능이랑 6,9월이랑 차이가 좀 심하네.......
-
문과 사범대입니다 10명정도 뽑는데 추추추추추추합으로 붙을 수 있을까요?ㅠㅠ 걸고...
-
최초합 했어요 9
숙대이긴 한데 장학도 받았어요 어디 자랑 하기에는 좀 그래서 여기라도 올려봅니다
-
화2하고싶다 5
내년 물리가 감당이되질않아
-
지금도 하루 1시간만 하는데 뭔가 좀 아까움 그냥 집에다 연필통 두고 학원 오기전...
-
드디어 이뤘습니다
-
서울대 합격 5
합격증 깔롱진거봐라 ㅋㅋ 성불합니다
-
제로로 나왔구나
-
이렇게 큰 관심은 살면서 처음 받아봤어
-
개정 전이랑 개정 후 두개 있던데 커리큘럼 영상에서는 개정 후 들으라 하는데 지금...
-
인문자전 51번은 ㅅㅂ 내앞으로 몇명이나 들어온거야
-
이쁜 마녀
-
고대는 조발하라 0
솔직히 고사국은 조발해줄수있자나..
-
안녕하세요? 오르비는 현역때 이후로 처음 들어와보네요 ㅎㅎ 현재 국어 강의와 과외를...
-
항상 수학 개념 인강으로 듣고 문제응용해서 풀려는데 자꾸만 어떻게 해야하나 모르겠고...
-
서울대가 가고 싶은 저녁이다...
개추
네네 대신 얽매일 필요는 없어요 특히 문학
...근데 반수하세요?
그냥 오답해라는 말이 없길래 읽으면서 생각난거
적은거예요
실모 오답은 당연히 할 거라고 생각해서 안 넣었어요
설마 채점했는데 오답을 안하겠어요...?
옙. 19를 학교다니며 친 조상으로, 저는 당시 화작이 안넘어가져서 "아, 공부를 안했더니 이렇구나"하고 넘겼던 기억이있어요. 오히려 열심히 했던 친구들은 더 당황했을것 같더라구요.
그럼에도 원점수 97점을 쟁취해내신 국어황
뭐는 몇분 그런틀에 얽메이지않아서 잘 볼수있었던거 같습니다ㅇㅇ..
글이 직설적이라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