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는소년 [515854] · MS 2014 · 쪽지

2015-03-18 18:16:33
조회수 7,965

국어]독해란 글을 읽는 것이 아닙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812357

모 신문의 교육 관련란에 정기 기고중인 제 글입니다.

수험생활의 초기에 필요한 글이라 올립니다.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이런 부분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는 학생들이 안타깝습니다. 사실 지금 고3인 학생들도 안스럽습니다.

---------------------------

독해란 글을 읽는 것이 아닙니다. 이 궤변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독해(讀解)를 풀어 말하면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 됩니다. 이 말을 엄밀하게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이 분석하게 됩니다.

독해 = 글을 읽고 이해한다 = 글을 읽는다 + 그리고 ‘읽은 그것을’ 이해한다

심리학에서는 이해를 ‘언어 정보를 자신의 인지 과정에 의해서 의미적으로 해석하고 표상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글 이해에서 가장 중요한 인지과정은 추론인데, 추론은 ‘알려진 사실로부터 새로운 사실을 추출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국어 교육과정에서도 ‘글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정보로부터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얻는 것’을 추론적 이해라 하면서 매우 중시하고 있습니다. 어떤 학자는 독해란 추론의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하기까지 하였습니다.

그런데 독해에서 그렇게도 추론이 중요하다면 ‘글’을 읽고 ‘읽은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오히려 ‘글에 제시되지 않은’ 어떤 것을 어디에선가 가져와야 합니다. 글을 이해하려는데 글에 없는 것을 가져온다? 도대체 어디서 무엇을 가져온다는 말인가요? 정말 독해가 그런 것일까요? 혹시 잘못 생각한 것은 아닐까요? 글인 듯이, 글이 아닌 듯이... 이런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다시 심리학의 도움을 받겠습니다. 언어심리학에서 글은 ‘생각의 단서’라고 말합니다. 글은 우리가 무엇을 연상할지를 인도해 줍니다. ‘부산’이라고 써놓은 표지판은 목적지인 부산으로 가는 길이 어느 쪽인지를 가르쳐 주지만 목적지는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글을 읽지만 글로 인해 어떤 관념을 떠올렸을 때 비로소 글을 이해했다고 말합니다. 아래 문장을 읽을 때 어떤 관념을 떠올리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콩나물의 가격 변화에 따라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1. 단어를 읽고 기억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떠올린다.
2. 단어 주변에 저장된 지식들이 함께 연상한다.
3. 문장(글)이 구성하는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연상한다.

위 문장을 읽으면서 , , 등에 대한 개념 지식을 떠올립니다. 더불어 는 문장에 없는 ‘물가’에 대한 지식이 떠오르게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경험에 따라 ‘물가’에 대한 지식이나 와 관련된 경험을 연상을 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콩나물이나 다른 반찬거리 또는 물건의 가격이 올라서 그것을 사려 할 때 머뭇거리거나 반대로 가격이 내려서 주저없이 샀던 경험이 있다면 그런 경험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런 경험에 관한 기억은 이라는 개념 지식을 만나 다시 하나의 상황을 구성합니다. 상품의 가격 변화에 따라 구매 의사가 달라졌던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도 겪을 수 있다는 생각을 통해 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말에 동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기억은 두 가지 면으로 기여를 했습니다. 기억은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정보인 단어의 의미(콩나물, 수요량)를 저장하였다가 내어주고, 문장에서 발견한 상황(콩나물 가격 변동 ~ 수요량 변화)과 유사한 상황의 경험(어떤 상품의 가격 상승/하락이 자신의 구매에 영향을 줌)을 저장하였다가 내어주는 저장 창고로서의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기억은 여러 단어들을 조합하여 문장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각 단어들로부터 연상한 단어 지식이나 경험들이 만날 수 있는 심리적 장이 되어주었습니다. 전자를 장기기억(long term memory)라고 하며, 후자를 작업기억(working memory)라고 합니다.

추론은 글을 읽고 장기기억에서 작업기억으로 불러낸 관념을 ‘읽고’ 그것으로부터 다시 장기기억에서 지식이나 경험을 불러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독해란 글을 읽음으로써 1차적으로 그리고 2차적으로 떠오르는 관념이 맺히는 작업기억을 읽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만약 글을 읽되, 추론하지 않는다면 다시말해서 작업기억에 맺힌 관념을 읽지 않는다면 이해를 할 수 없고 단지 나열된 단어들을 기억할 뿐입니다. 무엇이라고 적혀 있는지를 기억하는 것은 이해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글 기억을 글 이해라고 오해하고 있고 이렇게 잘못된 읽기 또는 이해로 독해와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독해력이 학습의 기본이라고 말을 합니다. 저는 이 말에 동의합니다. 기본기를 정확하게 쌓기를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우원규 · 528747 · 15/03/23 13:03 · MS 2014

    그러면 글을 읽으면서 단어의 의미를 생각한 다음 자신의 기억과 연관하여 생각하면서 글을 읽으면 되나요?

  • 글읽는소년 · 515854 · 15/03/23 16:34 · MS 2014

    의도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자동적, 반사적으로 연상되어야 됩니다 기억속의 지식과 연결해서 글에는 제시되지 않은 지식체계의 한 부분에 닿으면 그 체계를 글 이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추론을 말하는 것입니다

  • 글읽는소년 · 515854 · 15/03/23 17:31 · MS 2014

    저의 예전 글을 좀 더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