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는소년 [515854] · MS 2014 · 쪽지

2015-03-18 18:18:35
조회수 1,525

국어] 독해는 추론을 필수로 한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812363

읽는 행위에는 목적이 있습니다. 읽는 것은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해하기 위해 추론이라는 사고과정을 필요로 합니다. ‘사고과정’이기 때문에 열심히 생각하는 것으로만 생각할 수 있지만 읽기에서 추론은 대부분 반사적, 즉각적이어서 마치 습관화된 무의지적 행위 같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여러 읽기 상황의 목적은 ‘이해’이며 ‘이해’를 목표로 한 추론에 성공해야만 ‘읽었다’고 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간단한 몇 가지 ‘읽는 행위’를 살펴보겠습니다. 상자에 적힌 글자, 중학생의 교복 명찰의 이름, 도로 표지판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상자에 적힌 ‘책’을 우리는 어떻게 읽습니까? 물론 ‘책’이라 읽습니다. 그리고 무엇을 하나요? 상자 안에 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명찰 위의 이름은 어떻게 읽습니까? 이름을 읽습니다. 그리고는 그 학생의 이름이라고 받아들입니다. 상자가 ‘책’이라거나 명찰이나 교복 안에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춘천’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보면서 표지판 자체가 춘천이거나 춘천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길을 따라 가면서 춘천이라고 하는 지역의 경계에 들어섰다거나 춘천을 향해 나아가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읽을 때 부가적으로 지식을 하활용해야만 글을 읽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단어를 읽고서 단어의 의미를 연상하는 것 이외 단어의 의미(개념)와 연관된 지식을 떠올리는 것을 추론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추론이란 글이 단서로 작용하여 기억에 저장된 지식이나 경험을 불러내는 것입니다. 추론을 주된 수단으로 하여 글의 사용 의도를 실현하는 것을 이해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해’는 글자나 표현과 같은 표면적 정보를 기억하는 것, 쉽게 말해서 글자 그대로를 기억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하지만 단어, 문장 또는 글의 내용을 단순히 기억하는 것을(‘이 글에는 이런 저런 내용이 있다’) 두고 글을 이해했다거나 글을 읽었다고 말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콩나물의 가격 변화에 따라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위 문장은 크게 <콩나물의 가격 변화에 따라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에 대해 그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앞의 <>안을 이해하고, 뒤의 <>도 이해해야 합니다. 후자가 좀 더 간단하기 그것부터 보겠습니다. 후자의 <>는 ‘일반적’이라는 단어와 ‘현상’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충분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적이라는 말은 현상이 일반적인 것과 성격이 일반적일 때 다른 어감을 줍니다. 성격이 일반적이라는 표현은 무난하다, 평이하다 또는 개성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현상이 일반적이라는 표현을 그렇게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이처럼 단어는 어떤 단어와 조합하느냐에 따라 기능곧 의미가 달라집니다.

이번에는 앞의 <콩나물의 가격 변화에 따라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을 보겠습니다. 우리는 이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 문장 구조를 참조하여 [콩나물의 가격변화 |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 이렇게 나누지 않습니다. 가격이 수요-공급 곡선에 따라 가격이 변화한다는 기초적인 경제학 지식을 연상하여 문장으로부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변하는 일반적 원리를 뽑아내고 콩나물이 그 원리에 해당한다는 말을 하고 있다는 두 가지 정보를 받아들입니다. 만약 읽은 사람이 경제학적 지식을 일반적인 원리로 받아들이고 있다면 그리고  콩나물도 이런 원리에 부합한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 문장이 타당하다고 여길 것입니다.

이렇게 읽는 행위는 추론이라는 사고과정을 주로 사용하면서 이해에 도달합니다. 흔히 이해한 줄 알았던 많은 사례들을 언급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겠습니다만 오늘은 이해란 단지 표면적인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는 선에서 마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