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18 [1127598] · MS 2022 · 쪽지

2022-11-16 07:11:51
조회수 12,800

생명황 분들 생체량, 생물량 차이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9428100

각자 정의가 뭔지, 생산자 -> 1차 -> 2차 -> 3차로 넘어갈 때 양이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해요

그리고 '생체량(생물량)은 초원에서보다 음수림에서 더 크다'는 선지를 봤는데 이것도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석찐 · 843612 · 22/11/16 07:13 · MS 2018

    생체량 생물량 같은 개념이에용

  • 김석찐 · 843612 · 22/11/16 07:14 · MS 2018

    둘다 생물의 총 몸무게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대요
    천이가 일어날수록 더 커지는 느낌

  • 0418 · 1127598 · 22/11/16 07:23 · MS 2022 (수정됨)

    수특에서 영양 단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생물량(생체량)이 생산자 -> 1차 -> 2차 이렇게 갈수록 일반적으로 피라미드 형태가 된다고 했는데 혹시 얘도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ㅠㅠ

  • 김석찐 · 843612 · 22/11/16 07:26 · MS 2018

    일반적으로 1 2차로 갈수록 그 수가 줄어들어요
    호랑이 사자 독수리 등의 수랑 풀 나무의 수 비교하면 풀 나무가 훨씬 많잖아요
    근데 이것도 특수한 경우가 있어서 잘 보고 풀어야 할거에요

  • 0418 · 1127598 · 22/11/16 07:29 · MS 2022

    아 개체의 수를 고려해야하는군요......
    그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척자~극상까지는 생체량이 커지고, 반대로 영양 단계에서는 점점 작아진다고 정리했는데 맞을까요?

  • Pierre-Simon Laplace · 1043392 · 22/11/16 07:13 · MS 2021

    누적된거임요 생물들이

  • Pierre-Simon Laplace · 1043392 · 22/11/16 07:14 · MS 2021

    음수림이 더 나중에 나오니 그 동안 더 많이 자랐겠죠

  • 효녀 · 1060293 · 22/11/16 07:15 · MS 2021

    말 그대로 생물량이라서 생장량 그래프 적분한게 생물량이고 따라서 생장량이 0이 될때까지는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