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기출분석 잘하고 있나 자가진단할수 있는 글 (기출 분석의 방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622419
AB특수형문제.pdf
저번 글들에 이어서 이번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기출의 틀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진짜 기출 분석의 의미>
사실 우리가 기출을 보는 이유는 과거의 문제들이 미래에도 같은 경향성을 가지고 출제될거란 믿음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기출을 보면서 각 문제 유형들에 대한 분석을 해야합니다.
이 문제는 출제의도가 무엇이고 어떻게 선지를 구성하고 어떻게 난이도를 조절하는지를 연구하고 그에 따른 대비책을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단순히 문제를 풀고 채점하고 단순히 글을 읽고 막연한 독해력 향상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시험장에서 어떤 문제를 보고 아 이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가장 효율적인 풀이 방식이야~/저번 기출에서 예고했던 난이도 조절방식을 썼구나~등등의 반응으로 대응하는 사람과
그냥 막무가내로 푸는 사람은 큰 차이가 나겠죠.
아래는 2020년 6월 문제입니다. 이 문제가 올해 수능에서 어떻게 발전이 되었고 이를 분석하고 대비하면
어떤 차이가 나는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각각의 단락인 A와B에 대해서 물어보는데 선지의 핀트가 각 단락을 연결시켜서 물어보고 있습니다.
즉 단락간의 관계를 물어보는게 출제의도인거죠.
그런데 단락간의 관계를 물어보려면 반드시 글은 상황이 변화되는 시에서만 가능합니다.
시가 모두 같은 상황이라면 선지 5개가 모두 같은 관계의 선지들 즉 비슷한 선지들 밖에 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단락 간 관계를 물어보려면 평가원은 상황이 변화하는 시. 즉 상황의 변화를 기점으로 전후를 나눠 다양한 선지를 만드려고 합니다.이렇게 되면 선지구성이 다채로워집니다. 동질적 관계/인과관계/대립적관계등을 모두 물어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왜 A와B를 저기에 표시했는지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수미상관으로 같은 구조의 글이나 상황이 변화하면서 완전히 대립적인 내용을 가진 첫 번째와 마지막 단락을 잡을 수 밖에 없었던 거죠.선지를 보시면 1235가 전부 같은 걸 말하고 있습니다.
A에 대해선 상황이 변하기 전에 대해선 생명력이 회복하기 전 고통받는 상황들에 대해서, B에 대해선 전부 상황이 변한 후 생명력이 회복한 이후의 상황들에 대해서 선지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둘을 연결시켜 말하고 있습니다.
올해 수능입니다. 선지를 보시면 마찬가지로 선지를 따로 따로 물어보는게 아니라 ~은 `를 형성한다와 같이 두 개의 단락을 연결해서 물어보고있죠.
그리고 이 시도 역시 아니나 다를까 C를 기점으로 상황이 변화하는 시입니다.
이 문제는 단락을 여러 개로 나눠 놓으면서 상황이 변하기 전과 후를 명확하게 나눠봐라가 문제의 출제의도입니다.
1번을 보시면 상황이 변하기 전이므로 A와B는 서로 같은 관계에 있습니다. 그러나 순환적 관계는 상황이 변했음을 내포하는 단어이므로 성립이 불가능합니다.
2번을 보시면 C를 기점으로 상황이 변화하니 B와 C에 대한 선지를 순차적 관계라고 써준 겁니다.
3번을 보시면 C와 D는 상황이 변화한 후로 같은 관계니 대립적 관계라는 말은 들어갈 수 없습니다.
4번을 보시면 인과적 관계는 C가 들어가야만 성립이 됩니다. C가 상황이 변화한 기점이니
5번을 보시면 난이도 조절을 한 선지인데 C를 기점으로 상황이 변화했으나 예외적으로 주변에 '덮을 길 없는'이라는 단어로 동질적 관계가 아님을 드러냅니다.
<대비책이 있는 사람이 가지는 차이점>
BEST한 풀이는 이 문제에 대한 대비책을 설립해놨다면 글을 읽을 때 상황이 변화하는 기점을 잡고 선지를 바라볼 때 상황 변화 전후 인과적 관계를 기준으로 본다면
지문으로 굳이 돌아가지 않아도 바로바로 선지를 쳐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문으로 돌아가서 1대1로 봐야하지만 C가 변화기점임을 알고 있다면 지문으로 돌아가지 않아도
바로 풀이가 가능하죠.
<정리>
출제의도: 글의 상황 변화를 잡기
난이도 조절방식: 난이도 쉬움: 단락을 상황 변화 전 후로만 설정/ 선지를 동질적 관계와 대립적 관계 두 개에 한해서 물어봄/
난이도 어려움: 단락을 여러 개로 설정/인과관계에 대해서도 물어봄/기본적인 내용문제의 판단방식을 이용해 디테일하게 물어봄
대비책: 글을 읽을 때 상황의 변화지점 잡기/ 선지의 상황변화 지점을 기준으로 지문으로 가지 않고 선지에서 바로 판단
기출에서 수능으로의 변화
단락을 여러 개로 설정하여 본질적으로 글의 상황변화를 명확하게 잡는 것으로 발전
인과관계에 대한 선지를 물어보며 정확한 상황변화 지점 잡기
5번선지와 같은 디테일한 선지 요구
<마치며>
사실 수험생과 학생의 입장에서 이를 발견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런 특수문제들을 쭉 분석해보면 새로 나오는 문제들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풀이를 사용하고
난이도가 어렵게 나왔을 때도 미리 분석하고 예측한 대로 나오니 시험장에서 변수 없는 대비가 됩니다.
제 교재에선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한 분석을 수록해놨으니 그걸 보고 기출문제들에 여러 방면으로 적용한다면
기출분석을 했던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래 해당 내용에 대한 교재 수록해놓겠습니다. 무료로 배포하는 만큼 한 명의 학생에게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쪽지로 국어 관련 상담이나 질문해주시면 성실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시 준비 중이고요 등급은 21112 나와요 집 근처 수의대 가고 싶은데 목표는...
-
헬스장가기싫어잉 1
우웅
-
아무리 군외라서 빠질 곳이 가나다군 3군데나 있어서 여러바퀴 돈다해도 4차까지 있는...
-
저도 나름 사탐 잘 봐서 원점수 48 50인데 백분위 97 100임 사탐 5050 존나 어려움 ㅜㅜ
-
저랑 맞팔해요 28
팔로우 왕창 하기 ~
-
성대 복전하면서 조기졸업하고 싶은데 난이도 높나요???
-
스블 수2 미방부등식 마지막문제 풀고 개지렸다 생각했는데 허들링 문제였네;; 이런...
-
230명 뽑는과입니다. 1차에서 예비 27번까지, 2차에서 40번, 3차에서...
-
3번에 ㄷ b=루트식이 안풀려서 자연수가 안되서 틀린거 맞지?
-
수학 상하 느낌 많이 나지 수학 상 하 복습 해야하나
-
궁금한 게 많은데 좀 뭐 물어봐도 될까요??
-
딱대라
-
지방러라서 수학1,수학2 라이브로 들을려고하는데 들으면 안가람,박종민,장재원쌤 중에 추천해주세요
-
한양대설캠이라고만안하면 될듯
-
의식의 흐름대로 말하기 17
헤헤
-
신고 완료 4
저렇게 써서 데스크 위에 살포시 올려놨습니다 당직 직원 분이 가끔 오시는데 아마...
-
안녕하세요, 정경대학 다람쥐로 활동 중인 윤준수입니다. 최근 바쁜 일정으로 인해...
-
뉴런 통통이 0
시발점 1회독하고 가는건 좀 아니라 해서 쎈까지 한번 쭉 풀고 뉴런 중인데 그냥...
-
죽고싶은데어캄 4
우우우우우ㅜ
-
서럽다 서러워
-
여상진 수리논술 2
1달에 얼마인가요?
-
건벳은 3시간만에 오더니.. 이건 왜 안줌
-
체스는 컴공정도인듯
-
계산실수 21
어케줄임뇨
-
성대 인과계 들어가는데 성적이 너무 아깝습니다. 22때랑 24 때 수능 국어 1...
-
그냥 계산 ㅈㄴ해라가 의도임
-
자랑하는건 뭔심리임
-
아 2
이고
-
국어 기복 7
기복 너무 심한데 어떻게 하죠.. 방법 없을까요
-
그렇나요?
-
성대 공학계열 2
3차 4차 컷 몇임
-
인기글보고 궁금해짐 4년제, 대학간 동맹맺기가능하면 어느 대학이 이길까.. 그냥...
-
1년안에 됨??
-
기출한번 빨리보고 n제하는게 낫겠지??(공통)
-
원래 노예비여서 버릴려햇는데 4차끝나고 보니 중앙대 기계 예비...
-
푸앙대 붙었어요 12
재수 너무 힘들었어서.. 중앙대로 성불합니다!
-
가입 기준으로 보면 꽤 많지 않을까?
-
수학 공통 기출해야댐 n제해야댐 ㅠ 기출내용 다 알긴해
-
경상도 사는 사람은 부산경북가는게 정배임
-
흐흑 도와주세요 1
4만원쓰고 스피또 2만원됬어요
-
AZ바꿔치기로 논란엄청있었는데... (=바꿔치기하고 본인은 화이자맞음)
-
한화한테 질순없다... 쉬다 온 젠지 시발 진짜 하....
-
공통은 자신있는데 미적아 딱대라 너 뒤졌다
-
작별인사 2
큰별인사
-
겨울은 너무 추워
-
인설의/지방의 빅5/기타 의대 빅5/인설의/지방의 설연/나머지
-
집 증축 만원, 닭장건설 4천원 집못지으면 닭장사서 거기서자면되지 뭐
-
공통은 그나마 평균보다는 잘하는걸까? 22번 실수 아직도 뼈아프다 ㅠㅠ
-
?? 많이 어렵나요?? 22111로 가기에는. 국어는 22 24 다 1이었고 작년에 미끄러짐.
파일이 열리지 않습니다. 확인바랍니다.
파일이 열리지 않습니다.
파일이 열리지 않아요 ㅠ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