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수외탐1 [538937] · 쪽지

2015-07-08 17:37:04
조회수 2,108

한랭전선과 온난전선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218547

온난전선이 비교적 따뜻한공기로 이루어져있으니까 더 빨리 이동해야하는거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TS-V · 575971 · 15/07/08 17:43 · MS 2015

    왜 따뜻한 공기가 더 빨리 이동해야 되죠??

  • Lekahil · 463255 · 15/07/08 17:47 · MS 2013

    따뜻한 기체의 분자의 운동속도가 빠른것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Lekahil · 463255 · 15/07/08 17:43 · MS 2013

    한랭전선은 전선의 진행방향쪽의 따뜻한공기를 반대편의 차가운 공기가 파고들때 생기는 경계를 말하는 것인데, 차가운 공기가 이때 무겁기때문에 하강하므로 이때 줄어든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어서 전선의 이동속도가 빠르게 됩니다.

    또 온난전선은 전선의 진행방향쪽의 차가운 공기를 반대편의 뜨거운 공기가 파고들때 생기는 경계인데, 뜨거운 공기는 무겁기때문에 상승하므로 이때 위치에너지가 늘어나기 위해선 운동에너지가 줄어야 하므로 전선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됩니다.

  • Lekahil · 463255 · 15/07/08 17:44 · MS 2013

    좀더 정확한 이해를 위해선 각종 수식과 물리가 필요하니 지1 수준에선 이정도로 이해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언수외탐1 · 538937 · 15/07/08 17:46

    감사합니다!!덕분에 이해가 바로 가네요!!

  • CTS-V · 575971 · 15/07/08 17:48 · MS 2015

    지2수준에선 저걸 설명할 정도로 배우나요?? 2과목은 한번도 안해봐서,,,

  • Lekahil · 463255 · 15/07/08 17:53 · MS 2013

    아니요 이 내용은 지2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ㅎㅎ 오히려 물1과 관련이 있다고 말할수 있겠네요. 실제로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속도차를 정확히 설명할때는 질량=밀도x부피 인것과 물체가 충돌할때의 운동량보존의 법칙( m1v1+m2v2=(m1+m2)v )이 쓰이거든요.

  • 전경호 · 574817 · 15/07/08 17:56 · MS 2015

    님 지구과학이나 대기과학 전공이세요?? 왤케 잘 아시죠

  • Lekahil · 463255 · 15/07/08 18:01 · MS 2013

    전 그냥 지덕후인 수험생일 뿐이고 위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ㅎㅎ;

  • 전경호 · 574817 · 15/07/08 18:15 · MS 2015

    아하 그렇군요
    죄송한데 지2 질문 하나 해도 될까요??

  • Lekahil · 463255 · 15/07/08 18:18 · MS 2013

    예 아는범위내로 대답해드리겠습니다ㅎ

  • 전경호 · 574817 · 15/07/08 18:57 · MS 2015

    감사합니다
    3단원에서 이해 안 가는 내용 중 하나가
    키 큰 고기압하고 무슨 저기압
    이 두개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가 안 되네요.. 전자의 경우는 위도 30도나 극쪽에서 공기가 수렴하다보니까 얘네가 단열압축하면서 하강한다.. 요정도로 이해하고 있는데 맞나요?? 후자는 뭔가요??

    4단원에서 별의 질량이 일정 수준보다 작으면 별 내부의 구조가 세 층으로 나뉘고 일정 수준 보다 크면 두 층으로 나뉜다고 하는게 이때 일정 수준이 p-p반응이랑 CNO 순환반응의 우세를 가르는 기준이랑 같나요??? 아니면 전혀 별개인가요?

  • Lekahil · 463255 · 15/07/08 19:12 · MS 2013

    첫번째 질문은 키큰 고기압과 키작은 고기압을 말하는 것인가요...? 키큰 고기압은 온난고기압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공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과열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려 하는 현상 때문에 등압선 전체가 주변지역에 비해 위로 솟아있는 형태가 됩니다.

  • Lekahil · 463255 · 15/07/08 19:13 · MS 2013

    키작은 고기압은 반대로 과냉각된 지역에서 형성되는 고기압으로, 공기가 냉각되어서 한지점으로 수렴하려 하기때문에 수렴하는 지점 아래로는 등압선이 위로 솟은 고기압, 위로는 등압선이 아래고 푹 꺼진 저기압이됩니다. 키작은 고기압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죠..

  • 전경호 · 574817 · 15/07/08 19:17 · MS 2015

    그 냉각되고 가열되는 곳이 특정 위도랑 관련 있나요??

  • Lekahil · 463255 · 15/07/08 19:26 · MS 2013

    두번째 질문의 경우 천문학이라 저같은 학생신분으로는 알기가 굉장히 까다로운데요... 방금 찾아보니까 태양의 1.5배 질량이 되는 주계열성부터 CNO 순환반응이 더 우세하게 작용한다고 한답니다. 삼중구조가 이중구조로 바뀌는 순간이 태양의 2배시점인걸 생각하면 두 현상은 비슷하게 생각하셔도 될것 같네요..?
    그리고 정확히 따지자면 이중삼중구조는 질량에 좌우되는 개념이고 p-p연쇄반응과 CNO순환반응은 온도에 더 밀접하게 관련되는 개념입니다. CNO순환반응에서 더욱 과열되면 삼중알파과정이란것도 있고.. P-P연쇄반응도 사실 1단계부터 4단계 까지로 나뉘기도하죠

  • Lekahil · 463255 · 15/07/08 19:29 · MS 2013

    http://2.bp.blogspot.com/-u57YcTl54OY/T8DuqSjqygI/AAAAAAAAE5w/3KQH63A8WVk/s1600/ppvscno_jjy0501.png
    수특에도 이거랑 비슷한 그래프가 제시된 문제가 있는걸로 아는데,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ㅎㅎ

  • 전경호 · 574817 · 15/07/09 00:05 · MS 2015

    진짜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Lekahil · 463255 · 15/07/08 19:16 · MS 2013

    온난고기압과 한랭고기압의 형성요인은 바로 공기가 다른곳에 비해 과열되느냐 과냉각되느냐에 있지, 위도에 따라서 한정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다만 특정 지역의 경우 항상 따듯하거나 항상 차갑기 때문에 온난/한랭 고기압의 대표적인 예시가 되는것인데, 온난고기압의 예로는 북태평양기단을, 한랭고기압의 예로는 시베리아기단을 자주 들죠 ㅎㅎ

  • the sun · 501021 · 15/07/08 20:09 · MS 2014

    와...멋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