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움 [484764] · MS 2013 · 쪽지

2015-08-22 00:09:13
조회수 1,349

[윤리와 사상] 렌즈 모의고사 : Secúndus 문제 수정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416993


16번 3번 선지를 보다 더 정확하게 바꾸었습니다. 

-현재 08월 22일 오전 12시. 오르비큐에서 시행되는 모의고사는 변경이 완료되어
이상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수능특강 윤리와 사상 146쪽 3번 문제의 2번 해설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전원 정답 처리는 힘들 것 같습니다. (관리자분과 상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주신 덴마크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시험 후기에 대한 논의는 아래의 링크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제젲제 · 569156 · 15/08/22 00:14

    혹여나 전원정답처리라면 치킨과는 더더욱 멀어지겠구나...

  • 덴마크 · 440898 · 15/08/22 00:18 · MS 2013

    어정쩡한 8910위보단 11 13 17위가 나아요ㅎㅎㅎ

  • 덴마크 · 440898 · 15/08/22 00:19 · MS 2013

    수고하셨어요~

  • 임수민(치킨킬러) · 591614 · 15/08/22 00:19 · MS 2015

    사실 이전 선지에 아무런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슈바이쳐가 생명체 섭취(잡아먹긔) 같은 상황을 어쩔 수 없이 허용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생명 가치에 대한 위계 질서를 인정한 것은 아니니까요.

    고퀄 모의 고맙습니다.

  • 덴마크 · 440898 · 15/08/22 00:21 · MS 2013

    제 기억으론 인강에서 위급시엔 위계질서 인정한다고 들어서요....ㅋ
    저만 16번 붙잡고 있었나봐요

  • 임수민(치킨킬러) · 591614 · 15/08/22 00:25 · MS 2015

    음..

    이지영샘께서는

    강물에 이지영과 제리(지영샘 강아지), 이지영샘이 기르는 작은 화분

    3가지 생명이 빠졌는데

    딱 한 생명만 구할 수 있다면,

    슈바이처의 입장에서는

    작은 화분을 구한다 해도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

    라고 하셨었거든요.

    따라서 이지영샘 설명에 따르면 위급시에도 위계질서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되는건데..

    음... 수능에서 나오면 해깔릴듯..

    위급시엔 위계질서 인정한다고 하신 인강샘이 어느분이신가용??

  • 덴마크 · 440898 · 15/08/22 00:36 · MS 2013

    김성묵쌤이요! 성묵쌤도 물에 빠지는 비유 들어주셨는데 사람 동물 식물 물에빠지면 사람부터 구하는게 맞다.라고하시면서 위급상황시에는 위계질서를 인정한다고 하셨어요. 대신 그에따른 책임은 저야한다고 하셨어요.

  • 임수민(치킨킬러) · 591614 · 15/08/22 00:50 · MS 2015



    성묵샘이랑 지영샘이랑 같은 비유에서 정 반대로 설명하셨네요.

    성묵샘이 틀리실 분이 아닌데..
    그렇다고 지영샘도 ㅠㅠ

    이걸 어쩌징..

    ---
    정수환 T 께 여쭤봐야겠네요...

  • 덴마크 · 440898 · 15/08/22 00:51 · MS 2013

    전 최진기쌤하고 안상종쌤께 여쭈어보고올게요ㅋㅋㅋㅋ

  • 제움 · 484764 · 15/08/22 01:00 · MS 2013

    EBS 수능완성 98쪽 하단을 보면, '모든 생명은 신성하며, 불가피한 경우, 예컨대 두 생명 가운데 한 생명을 살리기 위하여 다른 생명을 희생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명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네요.

    덴마크님 말씀을 듣고 확인 과정에서 저도 이거보고 흠칫했습니다만, 수능특강 해설에는 객관적 위계질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더군요.

    저는 이를 통해서 객관적으로는 위계 질서가 존재하지 않지만, 주관적인 상황(선택해야하는 상황 등)에서는 위계 질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판단하여 위와 같이 정정을 한 것입니다.

    저도 정확한 답변이 듣고싶군요. 기대해봅니다. ㅎㅎ

  • 뿌르뿌꾸 · 441182 · 15/08/22 17:38 · MS 2013

    ㅇㄹㅇ

  • zz12 · 521254 · 15/08/27 22:15 · MS 2014

    뒷북이지만 베이컨문제도 고쳐야하지 않을까요??

  • zz12 · 521254 · 15/08/27 22:18 · MS 2014

    베이컨은 선악분별 안하는데...
    베이컨은 진리 인식론의 시조일 뿐이고요
    베이컨의 사상을 이어받아 선악개념을 최초로 상대론적으로 파악한 최초의 학자는 홉스잖아요
    따라서 상대론적윤리의 시초도 홉스구요

  • 제움 · 484764 · 15/08/27 23:58 · MS 2013

    흠.. 베이컨도 선과 악의 개념을 나눠서 쓰기에 출제 과정에서 질문하신 부분에 대한 내용을 심도있게 따지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EBS 문제에서는 장자와 베이컨의 공통점을 파악하는 유형으로 출제가 되었었는데, 해당 선지는 장자만 되는 입장이라, 공통점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zz12님의 입장에 따르면 해당 선지 또한 장자와 베이컨의 공통적 입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조금 더 확인을 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이 되네요. 문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 표명은 EBS 측에 문의도 해보고, 관련 내용을 확실히 파악하고 정리가 되는대로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서일 · 498607 · 15/08/30 02:47 · MS 2017

    제움님 쪽지 확인해주세요!!

  • aI1if2m8vqHVyp · 587873 · 15/09/18 01:17 · MS 2015

    님 모의고사 덕후입니다.. 한참 깝쳤을때 렌즈모의고사보고 마음을 다시 잡았습니다.. 요즘같은 난이도에 딱이라고 생각함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