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xh [1166905] · MS 2022 · 쪽지

2023-08-26 22:56:18
조회수 1,437

한수 파이널 3회 언매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4200256

편찮다가 높임의 특수어휘라고 해설하던데…


이게 맞는지….ㅋㅋ 따로 정오사항 없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망수잘 · 1245407 · 23/08/26 23:06 · MS 2023 (수정됨)

    특수어휘로 보는 견해가 있고 그러지 않은 견해가 있습니다. 다만 국국원은 특수어휘의 경우 'X의 높임말'로 풀이하고 있는데 '편찮다'는 'X의 높임말'로 풀이되지는 않아서 표국대 기준으로는 특수어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 trenxh · 1166905 · 23/08/27 00:03 · MS 2022

    맞아요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한수 문제에서 특수어휘라고 해설하더라고요..

  • 한수 연구조교 · 829113 · 23/08/28 11:55 · MS 2018 (수정됨)

    안녕하세요, 한수모의고사입니다.

    '편찮으시다'가 '계시다, 주무시다' 등과 달리 표준국어대사전에 높임말도 등재되지 않은 것은 맞으나, 일부 문법서 및 교과서에서는 높임의 특수 어휘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지학사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교사용 지도서) 191쪽에서는 '높임을 나타내는 특수한 어휘'에 '편찮으시다'를 포함한 바 있습니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본 연구소에서는 이 교과서와 같은 견해를 채택하여 문제를 출제하였음을 안내 드립니다.
    '편찮으시다'를 높임의 특수 어휘로 보는 견해에서는 높임의 특수 어휘는 간접 높임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근거로 듭니다. 일례로 '선생님은 따님이 있으시다.'라고는 쓰지만 '선생님은 따님이 계신다.'라고 쓰지는 않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편찮으시다'의 경우 그러한 제약이 덜하나, 대체로 간접 높임 표현에서는 '어머니는 무릎이 아프셔서 병원에 입원하셨다.'처럼 '아프-'에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를 결합하는 것이 더욱 자연스럽다고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편찮으시다'는 '돌아가시다'와 같이 '편찮다', '돌아가다'와는 또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편찮다'는 '몸이나 마음이 거북하거나 괴롭다'의 의미를 가지지만, '편찮으시다'는 '병을 앓고 있다'의 의미를 지닙니다. 일반적으로 '-(으)시-'는 주체 높임의 문법적 기능만 가질 뿐 특별한 의미를 더하는 기능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편찮으시다' 자체를 주체 높임의 특수 어휘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습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