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의 돌 [594793] · MS 2015 · 쪽지

2015-09-20 22:51:03
조회수 7,056

(국어) 논리적 사고를 통한 수능 국어의 접근 (+실제 사례)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551113

예전에 6평때 쓴 글인데, 지웠다가

국어를 논리적으로 푼다는 것이 무엇인지 예시를 들기 위해서 다시 백업합니다.

=========================================


논리적 사고와 선지 분석




논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논리적 사고란 결론이 도출되는 과정을 따박 따박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논리적 사고의 대표적 예시인 삼단 논법을 보자.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이를 기호로 나타내면




B->C


A->B


그러므로 A->C




즉,




A->B->C




이것이 실 생활이나 길고 복잡한 글 혹은 영문 글로 들어간다면.


그리고 수능 문제로 들어간다면 또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래도 한번, 수능 국어 비문학에 논리적 사고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예를 통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5번이 답이 아닌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해보자.




밑의 내가 쓴 답을 보기 전에 스스로 도전하라.




*밑에 내가 쓴 답은 지문을 읽고 문제를 읽자마자, 즉흥적으로 바로 써내려간 답이다.


물론 글을 쓰기 전, 간략하게 논리적 관계들을 요약적으로 정리한 개요를 짜고 쓴 답이다.


그것 포함 총 작성 시간은 5분~10분 정도였다.





답:


===========================


5번이 답이 아닌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시오.




0. 5번이 답이 아닌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가) 선지 판단




공장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이 Qb일 때, 생산량을 줄일 경우와 늘릴 경우 모두 공장의 이윤은 감소한다.




줄일 경우: 줄여서 공급시 -> 시장 수요 100% 충족X -> 이윤 극대화 불가능


늘릴 경우: 늘려서 공급시 -> 시장 수요 보다 많은 공급 -> 시장 가격 하락 -> 이윤 극대화 불가능




따라서 (가)는 '늘리면' 도 맞고, '줄이면'도 맞다.






2. (나), (다) 선지 판단




그러나




사고1.


a. 본문의 [A]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공장의 이익이 감소하는 것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그 감소된 이익의 양 보다, 주민의 이익의 증가량(피해 감소량)이 '커야한다' 따라서 (나)는 '크다면'이 되야한다.




b. 그런데, 본문 (ㄱ)에 따르면, 공장이 제품을 생산하면, 강물을 오염시킨다. 


즉, (가)가 '늘리면'이 될 경우, 공장의 이익은 줄어들며, 주민의 이익까지 감소되므로, 사회 전체의 이익의 총합은 감소한다. 즉, [A]에 따르면 공장 생산을 늘리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이다.




그러므로, (다)는 '줄이면'이 들어가야한다.




사고2. 한편, 이를 역으로 추론해봐도 이러한 논리는 성립한다.




b'. 본문의 [A]의 입장을 전제할 때, (보기)에 따르면, 




(가)로 인하여 공장의 이익이 줄어든 것 보다,  선지 (나)는주민의 피해 감소(+)의 증가폭이 더 커야만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는 '크다면'이 합당하다.




a'. 그런데 본문의 (ㄱ)에 따르면 공장 생산량과 주민의 피해량은 서로 비례한다. 따라서, 주민들의 피해 감소를 위해서는 공장의 제품 생산량을 '늘리면'안되고 '줄이면'된다. 




따라서, (다)는 '줄이면'이 들어가야한다.




(다)가 '줄이면' 일 때, 이 명제는 필요 충분조건을 만족하며 참이다.


따라서, 평가원이 글과 문제를 잘 만들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


+a :




한편, (가)에 '줄이면'이 들어가야하는 이유는 1~5의 구성이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이지, (가)는 줄이면,늘리면 모두 가능하다. 즉 (가)가 '줄이면'인 것은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다.






따라서


A.'(가):늘리면 , (나): 크다면, (다): 줄이는'


혹은 B.'(가):늘리거나 줄이면 , (나): 크다면, (다): 줄이는'


또한 논리적으로'만' 보았을 때, 둘다 답이 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 보기에 넣었을 경우 표현이 어색하지만, 


후자의 경우 보기에 넣었을 때, 약간의 어색함이 있기는 하지만, 그럴듯하다.




뭐, 애초에 출제자들이 보기를 작성할 때, 줄이면/크다면/줄이면 을 정답으로 정해두고 빈칸을 뚤은 후, 1~5 선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A. ,B.가 논리적으로 말이 된다고 해도, 표현상으로는 어색한 것이 당연하다.




-끝-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