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대 위치가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3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6324120
수의시장 매출이 기존보다 3배가량 높은 걸로 최근에 밝혀졌으나, 일부 자료를 보면 여전히 영업이익은 낮게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의원 3곳은 대략 30% 전후의 영업이익이 나오는데 수의업은 15% 전후의 영업이익이 나오고 있죠 이전 글에서 언급한 메디컬 한 곳은 혼자 전체 매출의 3/4을 차지하는 ‘매출원가’가 잡히면서 마진이 낮을 수 있는데
수의업이 의원 3곳에 비해 2배나 낮게 나오는 데에는 뚜렷한 이유를 찾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마진을 줄이는 ‘경비’는 주요경비와 기타경비로 나눠지는데 수의업의 전체 매출에서 주요경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산해보면 의원 3곳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수의업은 기타경비가 많이 책정되면서 마진이 15% 밖에 안나오는 것으로 통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큰 비용은 주요 경비에서 항목별로 다 걸러지고 있는데 기타경비가 월등히 많아 마진을 다 깎아버리는 게 상식적으로도 맞지 않죠
또한 기타경비는 항목별 분류도 없어 확인도 불가능합니다.
영업이익이 나오는 통계에서 수의업은 가축병원이나 혼합병원이 같이 잡혀 있어서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다른 메디컬에 비해 힘듭니다. 이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 책정에서 양쪽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이외의 요인도 오래 전에 다룬 적이 있습니다.
15%의 영업이익은 로컬에서도 괴리가 너무 크며, 국세청에서 고시한 경비율에서도 동물병원과 의원 3곳의 마진은 거의 같습니다.
적어도 가축병원은 걸러낸 이 통계에서 15%의 마진을 적용하여 영업이익을 계산하여도
동물병원의 영업이익은 메디컬 내에서 의치대에 이어 3번째로 나옵니다.
국세청에서 고시한 경비율을 적용하거나 로컬처럼 의원 3곳과 영업이익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판단한다면 이보다도 훨씬 높게 나오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볼때 공무원이 ㄹㅇ 저점매수임 9급하긴 아까우니까 공대 공부 안받으면 7급 준비할거임
-
음
-
과거 데이터 더 가져왔어요 기균입니다. 2뽑 14지원 7점공 2등(나) 예비1번...
-
외모는 그런 게 없음 정부의 규제를 받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잘생긴 사람이 너무 부럽다
-
정신과 이야기 같은 거 오프라인에서 친하고 믿을 만하다 생각했던 지인한테 털어놨다가...
-
의예과 시간표 2
올해 의예과 25학번 신입생입니다. 들어야할 과목이 정해진 건 알고 있는데, 그...
-
워크북이랑 같이 하는 중인데 쎈b는 굳이 안해도 될까요? 선택과목 기하고 4등급입니다..!
-
우웅하세요... 우웅...♡
-
누가퍼갔냐 ㅋㅋㅋ 댓글 난리났네
-
'지잡교대 수학과에서 의치대 가는 애들이 매년 나옴' 이 문장 하나로 지역인재가 참...
-
일단지르고수습하는마인드장착하기
-
하시발자야되는데.... ㅇㅈ메타도 없었는데 왜 안 잤지
-
쩝.. 엄소연쌤 듣고있는디 조교쌤 넘 잘생김 인스타 여쭈고싶다 불가능이겠지
-
내가 6시에 일어날 수 잇을까
-
연인이든 가족이든 바로 포기하고 버려지니까
-
이제 자러감 0
잘자~~
-
진짜병신같네 10
ㅋㅋ
-
자도 막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거 싶음
-
열등감의 원인이 짝사랑 상대인게 너무 슬픔
-
수능밖에 없네
-
정확히 어느 나라인진 기억이 안나지만 해외에서 우울증이나 이런걸로 자살 문제가 되게...
-
나도 짝눈인데 나도 공익해줘 하...
-
교정 방법 없음? 라섹은 각막 얇아서 재수술 안된다 했고
-
건대가 외대 압도한다
-
음음...
-
난 이런 경험이 있음 16
게임 속에서 내 에임(스킬샷)이 너무 안 좋다고 느껴짐 그래서 채팅으로 장난식으로...
-
걍 지금처럼 굶어죽지 않을 정도로... 건강이 더 나빠지거나 몸이 더 불편해지지만...
-
뭐하고 살지 4
며칠 안에 심장이 멈추면 좋겠다
-
이번년도 연대 사학과 무조건 들어간다
-
배빵 ㅈㄴ때리고 싶다 울면 달래주고 또 때리기
-
4시에 얼버잠 간다잇
-
먼저 잘게 2
또 망쳤어
-
이제 뭐하지 0
진짜 뭐함...
-
밤샘 결정 6
핫식스 3캔 마신걸 까먹고 있었음
-
'사연없는 중앙대생은 없다.' 이런 말을 키보드로 칠 수 있는 애들은 도대체 어떤...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슉슉 퍽퍽 악악 익익
-
2분전에 그분 근황 압뎃 뜸
-
처음엔 도저히 안 될 거 같아보이는 벽도 대가리 박다보면 넘을 수 잇는 경우가...
-
메인글에사 자주 보이나 난 일반글만 보니까 존나 평화로운데 흠
-
서울과 대구, 부산의 중간이라 교통도 나름 편해 빵♡♡사랑함 맛있는빵 최고 도넛도...
-
예를 들어서 전세 5억임 내가 10퍼를 먼저 계약금으로 줌 주인이 OK했음 그래서...
-
소개팅 어플같네 하하 여기까지
-
돈도 존나 벌고 명예도 얻고 싶어서 사업도 할거고 해외도 나가서 경험도 최대한 많이...
-
잘자요 6
-
ㅠㅠ 이번생엔 못모으겠다
-
연대 미래 의예과 22살 존예 누나가 과외 뛰면 나같아도 하겠다 근데 집에 요르...
-
내 로망 0
대전이나 대구에 24평정도되는집 사서 폼피츠랑 살기 근데 난 못이룰거가타
-
https://orbi.kr/00068851681 이게 벌써 반 년 전이군요.....
개성에 수의대가 있을 수도 있었다라는 얘기군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개성있는 수의대는 있어요근데 훌리 이런걸 떠나서 15퍼는 좀 말이 안되긴하네요
수훌쩍
"많이" 바뀐다는건 의치=수한약?
수훌 행세를 4년전부터 하셨던데 그때에 비하면 수의대 입결이 많이 오르긴 했네요. 다만 수입이 아무리 올라도 사회적 인식 때문에 한의대 입결을 딸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수의사 수입이 한의사와 비슷해진다고 해도 대부분 한의대 갈거고 한의사를 꽤 유의미하게 앞질러야 수의대가 한의대보다 높아질거 같습니다. 우리 부모 세대만 해도 수의대=농대임
근데 이건 저의 갠적인 의견인데,, 사실 입결이 뭔 의미가 있을까싶어요
설령 수의사가 더 잘버는데 입결 낮다는 가정을 해도, 그게 기분나쁠이유가 하등에 없는거같음
이분은 입시에서의 수의대 위치가 바뀔거라길래 그건 쉽지 않을거 같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이분 유명한 수훌 그냥 사실관계없이 거르셈
수의대 및 수의사 위치 바꿉시다!
정부는 돈잘버는 수의사를 당장 의료인으로 격상하고 보복부 소속으로 전환시켜라!
동물 “병원”
약국 폼 미쳤네
좌표 찍거나 몰아가거나 아실 분들은 아실테니까요 글만 세번째인데 빈틈이 없는지 지적하시는 분도 없군요
뭔가 맘에 들진 않지만 논리적으로 반박할 점 찾기도 어려운건 팩트...
약국이 치과보다 더 버는게 맞나 싶네
의원급은 영업이익률 30프로대고 약국은 5~10프로 대라 영업이익 따지면 의치한약 순입니다
동물병원은 강남에 수의사 수십명 근무하는 대형병원이나 동네 작은 동물병원까지 모두 각각 동물병원 1개소로 집계됩니다. 당연히 1개소당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뻥튀기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반면 의료기관은 동네 의원은 동네 의원끼리 평균으로 집계되고, 의사 수십명이 근무하는 종합병원 등 병원급은 다르게 집계되죠. 흔한 평균의 함정입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자면 서울대에서 가장 연봉 높은 학과가 이재용이 나온 동양사학과라는 말이 있듯이요.
저기 나온 치과병원/치과의원 통틀어서 치과 1개로 퉁쳐서 1개소당 매출 계산하면 안과고 성형외과고 피부과고 다 제치고 1등하지 않을까요? 아무리 통계가 해석하기 나름이라지만 1개소당 수의사가 보험과 개업의사보단 잘벌고 거의 비보험과 개업의와 비슷하다는건 정말 이해하기 힘드네요 ㅋㅋ
의원이라고 규모가 작지 않습니다. 통계에서 의원과 동물병원의 1의원당 평균 종사자수를 비교해보면 동물병원이 평균이나 중위값 전부 제일 적은 것으로 나옵니다. 즉, 동일 규모에서 보정 시 제일 손해 보는 건 동물병원이 되겠죠 병원까지 넣어버리면 동일 규모끼리 공정한 비교와는 거리가 너무 멀어지겠네요
대형병원이 포함되고 안되고는 그 자체로 엄청난 차이입니다. 매출 수백억 수십억 단위의 병원 몇개만 통계에 들어가도 미치는 영향이 큰데 동물병원이 그 영향에서 가장 작다니요 ㅋㅋ 의원은 병상수가 일정 수 넘으면 의원급으로 애초에 분류가 될 수 없기 때문에 통계상 동물병원이 역 보정되어야된다는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저 자료의 신빙성조차 의심이 드네요. 피부비뇨기과가 분리된지 언제인데 아직도 두 과를 통합해서 통계내고, 정형재활마통 등 매출 상당한 통증과들이 기타의원으로 잡히고...
종사자수 100명 근방도 의원으로 잡히네요
동물병원과 의원을 비교해도 평균/중위 종사자수는 동물병원이 제일 적습니다. 이런데도 병원을 넣어버리면 올바른 비교라고 보기 힘들 것 같네요
이 자료의 맹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은 통계를 따로 잡아 표시하였지만 1,2차 동물병원은 모두 의원, 치의원, 한의원 통계에 포함시켰습니다. 동물병원급vs일반의원급 이런 비교입니다. 그러니 동물병원 매출이 뻥튀기 될수밖에 없습니다.
2.이 통계는 단순 매출만 비교하였습니다. 마진률이 실 수익과 연결ㄹ됩니다.
의원급 마진률은 31%
약국 마진률이 10%
동물병원 마진률 10%입니다.
통계의 맹점을 교묘하게 공개한 훌리글입니다.
국세청 자료에도 100-65.1=34.9%, 마진율 35%로 나오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수의가ㅜ많이 벌어야 의대 공격성이 낮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