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통통통이 [1178338] · MS 2022 · 쪽지

2024-02-02 16:16:43
조회수 3,210

연고랑 서성한 차이가 얼마나 있을까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7004283

일단 확실하게 차이가 있는건 분명한데,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문과 기준으로 로스쿨/교수 제외하면 서성한이라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게 있나요?


지금 가장 유의미하게 느끼는건 사회적 인식같은데

명문대/비명문대 논쟁이라던가...

근데 이런 사회적 인식이 앞으로의 진로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

아직은 잘 모르겠어요.


인풋은 어차피 머리랑 꼬리가 정시 한두문제 차이니까 거기서 거기같은데

학교 시스템이나 분위기가 달라서 아웃풋이 달라지는건가?

싶기도 하고

연고떨어지고 서성한 가서 이런 고민을 하는거같은데

삼반수해서 연고간다 쳐도 내 인생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

잘 모르겠슴다. 차라리 취준을 1년 더 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고...


인터넷엔 막 '서성한따위가 무슨 명문대냐', '스카이 미만 잡이다'

'서울대 미만 의미없다', '메디컬 제외 다 망했다' 이런 얘기들 도는데

정작 서연고,메디컬 가신분들은 그런 얘기 안하시고

서성한도 못가는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거같더라구요


그래서 서성한 졸업반 분들or졸업생 분들이 느끼시기에

'내가 연고대가 아니라서 도전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

이런게 혹시 있으신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이 글의 목적은 연고 내려치기/서성한 올려치기가 결코 아니며

학벌로 인한 차이가 실제로 뭐가 있는지 궁금해서 쓴 글입니다.

그리고 학벌과 무관하게 모든 학생들은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뒤집어진펭귄 · 1191610 · 02/02 16:19 · MS 2022

    사회적 인식/남의 인식 이거만 차이 있는거 같아요. 다니면서 결국엔 내가 잘해야 잘된다를 느끼게 되어가지고 학벌 상관없이 열심히 하는 사람이 성공하는거 같아요.

  • 가자고고00 · 1265478 · 02/02 16:52 · MS 2023

    한급간 차이면 본인 적성과 취업 전망을 보고 과 선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수험생과 취준생일때 관점도 많이 달라지겠죠.
    많이 등장하는 고시, 로스쿨 매우 어렵습니다.

  • Arrival · 597530 · 02/02 17:12 · MS 2015

    취준 1년 더 -> 이게 오히려 취준생 입장에서는 더 힘든 일인게 취업시장에서는 졸업 후에 1년 실패하고 다시 할수록 기회가 많이 줄어든다는 게 선배들 말이더라고요 중고 신입 말고 신입으로 1년 더 있다는건 이미 다른 회사들이 왜 안뽑았는지를 생각하게 만든다고.. 그래서 졸업 유예하고 취준하고 그러는 분들이 많은데, 이러면 오히려 삼반수 하는거랑 별 차이가 없어진다고 봅니다
    문과 입장에서는 높은 대학 낮은과 갈바에야 낮은 대학 상경계 가서 취업하면 된다 -> 이게 공대에서 말하는 취업 잘하는거랑 결이 완전 다른 이야기인거 에타 취업게시판 가서 보면 다 알 수 있습니다 취업 전망이라는 건 문과쪽에서는 솔직히 예측도 어렵고 to도 워낙 없어서 취업을 위해 문과 간다는 진짜 위험한 이야기인것 같아요 당연히 비상경보다는 기회가 많겠지만 그게 마치 보장된 것처럼 말하는 게 수험생 입장에서 취준생을 생각하는 일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4년 뒤에 취업시장이 어떻게 바뀌어 있을지도 모르는걸요 .. 오르비는 특히 취준생 입장의 사람들이 거의 없을텐데 취업 생각하면 어디~ 이런 댓글이 왜 이렇게 많이 달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성대 다닐 때 느낀 건데 학생들 분위기 차이는 확실히 납니다. 한 급간 차이라고 말하기에는 학교 간판이 내 발목을 잡는다고 아쉬워하는 친구들도 많았고요. 물론 잘 하는 사람은 잘 가지만, 한급간 차이로 더 잘되는 주변 동료를 훨씬 많이 볼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대학생 입장에서는 큰 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간다고 잘된다는 보장을 하진 못해도 그런 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는 것도 분명히 의미가 있으니까요
    고시 로스쿨은 연고뿐만 아니라 서성한도 많이 준비합니다. 서성한도 상경 비상경 다 이 진로들 꿈꾸는 분들 많아요 고시 로스쿨이 쉽다는 건 아니지만, 문과 입장에서는 고위 공무원이나 전문직이 큰 메리트가 있기에 당연한 인기라고 봅니다.

  • 통통통통이 · 1178338 · 02/02 18:57 · MS 2022

    요약하자면 잘하는 사람은 어디서나 잘하지만,
    환경/인재풀의 차이가 있어서
    스스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내가 성공할 확률이 올라간다

    요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일단 제가 문과고, 아직 진로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라서 조금 혼란스러운것같네요.
    현재로선 일단 학교를 다녀보고 학교가 나를 담기에 부족하다 느끼면 삼반수를 하고, 그게 아니면 열심히 학교
    다니려고 합니다.

    답변해주신 내용 고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Arrival · 597530 · 02/02 20:02 · MS 2015

    네! 그러니 지금부터 뭐가 안될거다 이런 생각으로 고르지 마시고, 뭔가 하고싶다! 의 마음으로 탐색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응원합니다!!

  • 큰거한장벌기 · 1111227 · 02/02 22:16 · MS 2021

    성서 상위과 둘다 다녀본 입장에서 기회가 원천 제한되는건 전략컨설팅 몇곳 알음알음 있다고는 들어봄. 로스쿨은 솔직히 입학시에는 그냥 서연고 지원자에 비해 정량(특히 리트)이 후달려서 그렇다뿐이지 입학 자체는 크나큰 차별이 있는지는 모르겠음. 필드 나가면 어떨진 주변에 법조인이 없어서 모르겠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