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EBS 학습의 방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18814
** 좋아요와 팔로우는 더 나은 칼럼을 쓰는데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
EBS 수특이 열심히 나오고 있는 시기입니다. 간단하게나마, 과목별 수특 문제집을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글을 써봤습니다. 연계 학습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르는 학생들을 위해 쓴 글이니, N수생에겐 이미 모두 아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0. 풀어야 하나요?
수학과 탐구과목은 다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지1, 물1 !!)
국어는 언매는 필수적으로, 독서와 문학은 내용 정리는 하되 문제는 시간이 남으면 풀어보시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영어의 경우에는 N제, 또는 주간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재이기에 꾸준히 풀 교재가 필요하시다면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국어 수특/수완
사실 이 내용에 대해 이미 잘 정리해둔 글이 있습니다.
https://orbi.kr/00066028652/%5B칼럼%5D%20국어%20고득점을%20위한%20태도%20(2)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앞의 글에서 썼던 내용들를 조금은 컴팩트하게 정리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국어의 경우에는 푸는 학습이든, 정리하는 학습이든 어느 정도 기출 정리가 다 된 4월 말, 5월 초부터 시작하시길 권합니다. 기출으로 충분히 피지컬을 쌓지 않은 상태에서 수특, 수완을 푸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기출 학습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신다면 하반기로 미뤄두셔도 괜찮아요. 일반적인 경우에는 6평 전에 수특을 마무리하고, 7월 말부터 9평 전까지 수완 1회독을 마무리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후에는 수능 전까지 수특과 수완을 회독하세요.
학습 방법을 간단히 소개드리겠습니다. 언매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 완결성이 있는 N제입니다. 그리고 EBS에서 나오는 낯선 소재들(올해 수능의 초성자 용자례나, 작년 EBS에 나왔던 사동주, 피사동주 등..) 또는 낯선 단어의 케이스들(파생어, 형태소 분석 등등..)이 수능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지점들에 조금 더 유의하여 학습해주시면 좋겠어요. 낯설면 낯설수록, 더 많은 것을 배워갈 기회라고 생각하고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필요하다면 강E강 언매와 같이 컴팩트하게 EBS에 나오는 신유형을 정리한 강의를 들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본인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어려운 부분은 여러 번 학습하고 필요하면 암기하기도 하며 분석하셔야 합니다.
언매와 다르게 독서는 글의 구성이(너무 길고, 초점이 확실히 보이지 않아요.) 문학은 선지의 구성이 불만족스러운 부분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교재 자체를 푸는 것에 대해선 ”선택“으로 남겨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곳에 초점을 맞춰 학습해야 할까요?
독서는 문제를 풀진 않을지라도, 반드시 EBS 원본 지문들은 꼭 스스로 읽어보고, 내용을 정리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시간이 얼마나 많이 걸리는지는 상관 없어요. 배경지식을 쌓는다고 생각하고 가볍게, 여러 번 읽어보세요. 올해는 작년보다 더욱 독서 분석 컨텐츠가 발전되어 출시될 것이라고 예상되는데, 그런 컨텐츠들에서 다루는 연관 배경지식들도 같이 보는 것도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해보세요. (작년 우기분처럼..) 참고로, 경제의 경우에는 전반적인 Flow를 알고 있는 것이 연계 뿐만 아닌 전반적인 지문의 독해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될 때가 있는데, 아래의 링크에 있는 영상을 보시면 거시적 경제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크게 기를 수 있어요. 승리쌤이 추천해주셨던 영상인데.. 누군가에게 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공유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e4AJZ9U-kg
문학은 작품 정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현대운문은 작품 자체의 독해에 집중해주세요. 주제까지 꼼꼼하게 알 필요는 없고, 작품의 핵심적인 정서-태도를 잘 가져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전 운문은 핵심적 정서-태도와 더불어, 중요한 고전 단어들이나 고사들은 정리해두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여기에서 익힌 어휘력들이, 다른 고전시가를 읽는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비연계이지만 EBS에 나온 표현들이 포함된 작품이 출제되기도 하고요. (이는 2309에서 비연계로 나왔던 소유정가의 한 대목이, 그해 연계 지문이였던 “선상탄“에 나온 대목과 매우 흡사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죠.)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해당 시를 썼던 작가의 문체, 생활 환경 등을 봐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작가 연계도 굉장히 많이 되고 있고, 한 작가의 스타일은 글에 따라 드라마틱하게 변하지 않으니까요.
산문의 경우에는 전반적인 인물 관계와 줄거리를 정리해두시기 바랍니다. 줄거리를 몇 개의 대목으로 나누어서 정리하고, 핵심적인 대목들은 강사들, 또는 이전의 기출들에서 발췌해둔 부분들을 여러 번 읽어보시는게 좋아요. 산문이든, 문학이든 작품에 대한 학습은 혼자 하시긴 버거울 수 있으니 강사들이 찍어주시는 강의를 참고하시는 쪽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하반기 N제와 모의고사는, 당해의 연계가 반영된 경우가 많을건데, 이런 문제들은 하나하나 풀고 분석한다는 태도보다는 그냥 풀고, 눈에 익히고, 치운다는 느낌으로 다뤄주세요. 분석할 시간이 있으면 기출에 그 시간을 쏟아주시길 바랍니다.
2. 수학, 과탐, 영어
수학의 경우에는 하나의 N제로 생각해주시면 되는데, 다른 N제들에 비해 늘 쉬웠었고 특히 올해는 더 쉽다는 평을 봐서,, 기출이 끝난 후 첫 N제로, 아니면 4의** 정도 풀어보신 후에 2~3번째 N제로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싸면서 도움이 되는 N제는 잘 없으니 상반기에 꼭 풀어보시고, 작년부터는 꽤나 유의미한 연계가 되고 있는 경우도 많으니 실력이 좋으신 분들도 풀어보시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거에요. (작수 29번은 괘나 유의미한 연계였죠.)
과탐은 특히 물리와 지구과학에서 유의미한 연계 효과를 받을 수 있는데, 물리의 경우에는 매 해 파동이나 특상 등에서 새로운 자료들이 많이 제시됩니다. 이런 자료들이 수능에서 나오는지와 상관없이 모든 경우의 수를 생각하고 꼼꼼하게 학습해주세요. 많은 강사님들이 변형 문제들을 만들어 주실텐데, 연계와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된 문제라면 과하다 생각하지 마시고 그냥 풀어보시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지구과학 역시나 수특에 나오는 여러 자료가 유의미하게 연계되는데, 유자분이나 실문풀 등에서도 많이 다루니, 원본 문제와 변형 문제 모두 꼼꼼하게 풀어주세요.
영어(독해/영독연)의 경우에는 수, 탐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N제로 활용해주시면 되는데, 만약에 EBS를 반영한 주간지를 풀고 계신다면 굳이 풀지 않아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꾸준히 풀고 있는 문제집이 없다면, 그냥 EBS 교재를 주간지처럼, 하루에 4~6지문이라도 좋으니 조금씩, 꾸준히 풀어주시길 추천드립니다.
EBS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 럼에도 불구하고, 본질은 기출입니다 ㅎㅎ 학습의 포커스를 너무 EBS로 틀지 말고, 늘 그 중심에는 기출이 있어야 함을 계속 상기해주세요!!
0 XDK (+21,000)
-
10,000
-
10,000
-
1,000
-
서울 라이프 살아볼래
-
유전이나 역학이나 거기서 거기 아님? 어차피 뚫어야 한다면 연습으로 확실하게 고득점...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본바탕 추천해요 10
생각보다 꽤 정갈하다고 느꼈어요 근데 문제가 아쉽..
-
처음 가입했던 때와는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과거에 비해 뭔가 많이...
-
행복한가요?
-
뭐하면서 쉬시는지궁금합니다
-
쌈무 4
test
-
나도 국어 푼 거 19
고1때 매삼비 현역 피램 생각의전개 이감10회 재수 강케이전회차+이감456 간쓸개는...
-
중대 이대 11
중대 상경, 이대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 ㅈㄴ고민중 공대가 좋긴하겠지만 문과성향이기도...
-
야 수학 30번 답 17임? 나 17로 찍었는데 ㅋㅋ
-
사탐런하라는 사람 왜이리 많음? 다 사탐런 한 사람들인가? 바이럴인지 찐인지 모르겟다
-
여자들아 3
기죽지마라
-
기생충 명대사 "수능은 기세야" << 이거 맞는말임?
-
정법 기출 5
몇년도까지 보는게 좋을까요?
-
새터 때 가방 0
그냥 운동할 때 쓰는 더플백 가져가도 괜찮겠져?
-
근처에 고등학교(남고2 여고1) 있어서 ㄹㅇ 모든 거리에 싹 다 수험생이랑...
-
현역 39 93 4 61 78 재수 61 96 3 89 71 쌩삼수 하려는 건...
-
겨울방학 내내 개똥꼬쇼를 벌인 생1보다 잘나오면 어떡하자는걸까
-
화1은 학실히 망했다는 인식이 있어서 애들이 안하는데 물1은 뭔가 만만해 보이나봄...
-
주식으로 부자 되서 12
놀고 먹는 개백수 되고 싶다
-
내 이미지 어떰 7
갑자기 궁금해짐
-
499점대 표본이 궁금해요
-
강기원 김현우 0
둘 다 들어보신분 있나요?? 후기좀 알려주세요.. 대기 동시에 풀려서 풀커리...
-
정치인이나 고위공직자 재산신고 내역 보면 어디 부동산을 킵해야 할 지 보이긴 하죠. 3
이분들이 어디를 들고 있고, 어디를 내놓는지만 봐도 노른자가 어디인지는 훤히 보이긴...
-
데이터센터 규모의 최소화에 성공시키면 떼돈벌지 않을까
-
새터 주관하는 학생회 분들 중 상당수가 저랑 동갑일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괜히 기분이 묘하네요
-
무슨 물리망한다, 화학 망한다고 하는거임 ㅋㅋㅋ 이미 싹다 망했음.
-
만약 잃었다면 계속 말리지 마시고 한 번 심호흡을 한다던가 해보세요 그게 결과적으론...
-
아가 자야지 13
낼 아침에 운동가야됨...
-
님들 저 누군지 아심? 12
전 닉
-
수능잘볼걸tv 3
한번더볼까
-
닉값하고싶은데 1
막상 가져갈 것도 없어 보이노
-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수학 미적 기출분석하고있는데 몇개년정도까지 보는게 좋을까요...
-
다들 망한다 망한다 하니까 진짜로 망하나 싶네요
-
언 3->1 미 3->2 영 2->1 과탐 3->2 6->2
-
엄청 몰입해서 본듯.... 하...
-
연고대 높어문(영문 국문) 성대 글로벌 계열 ㅇㄷ가더높음
-
한 두번 해봤는데 그 기간에는 행복했어요
-
핵 만들어서 지구멸망시켜야지 서울대 원자핵공 가기 위해 다시 과탐리턴한다.
-
ㅎㅎ 1
오르비언들 잘 지내길 바라요
-
있나요?
-
기본프사: 옯창 애니프사: 옯창 대학프사: 옯창 디시콘: 옯창 페페: 옯창 동물:...
-
진지하게 내가 올해 화작을 결심한 순간부터 일단 따놓은 당상이라고 할 수 있음 8
언매라는 족쇄를 벗어나 화작으로 간다
-
님들 목표있음? 20
일단 전 단기적으로는 26학년도 설경 정시 따내고 내 실력+ 학벌+외모+ + 말빨로...
-
1.대치동 학원 갈려고 하는데 다들 두각이나 시대인재같은 대형 학원들 개강이...
-
쉬움(진짜쉬움)
-
하 ㅅㅂ 되겠지? 작년도 추합이 100% 까지 돌더만.
-
2411 5개찍고 1찍맞 푼거0틀 2506 5개찍고 1찍맞 푼거2틀 2509...
-
드디어 한명 차단함뇨 10
히히
선상탄 아닌가요...?
으앗 죄송합니다 ㅠㅠ
N제 중 하나로 대하는 게 제일 속편한 느낌..
과탐 투과목은 자료가 적다보니 과년도거도 찾아푸는게 좋습니당
참고하겠습니당
항상 고마워 자기야
감사합니다!
혹시 국어랑 사탐 영어 수특은 하루에 어느 정도 분량으로 풀어야 적당할까요???
감사합니다
독서 내용정리를 한다는게 어떻게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ㅠ
감사합니다
학습에 많은 도움주셔서 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