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진짜 비문학 개꿀팁 인정? (feat. 정규반 공지)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7795269
---
독해 하수와 독해 고수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
독해 고수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인정하며 이해 함.
‘무슨 소리일까?’ ‘왜 그렇다는 거지?’ ‘이건 이거고, 저거는 저렇다는 거네.’ ‘그럼 당연히 ~겠네’ 요런 식으로.
독해 하수는 대충 읽고 정보를 튕겨냄.
‘아, 이거 무슨 소리야.’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거야~ 아 인생 ㅆㅂ X같다!’ ‘아.. 읽기 싫네..’ '이걸 다 어떻게 외워;;;'
가장 큰 본질적 차이는 이거임
독해 고수 - 정보를 최대한 이해&처리하려 함
독해 하수 - 그냥 글자만 읽고 외우다가 나자빠짐
실제 지문을 읽으면서 하수랑 고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예를 들어볼까?
------
2020.수능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어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식을 실시한다. 이때 이식으로 옮겨 붙이는 세포, 조직, 장기를 이식편이라 한다.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의 이식편을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의 이식편으로 ‘동종 이식’을 실시한다. 그런데 우리의 몸은 자신의 것이 아닌 물질이 체내로 유입될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키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면역적 거부 반응은 면역 세포가 표면에 발현하는 주조직적합복합체(MHC) 분자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다. 개체마다 MHC에 차이가 있는데 서로 간의 유전적 거리가 멀수록 MHC에 차이가 커져 거부 반응이 강해진다.
------
독해 하수의 생각:
아 ㅅㅂ 생물 지문인가? 약한데.. 일단 읽어보자.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면 이식해야 한다.... 이식하는 걸 "이식편"이라 한데.. 동그라미 치고 외워두자. 자기나 일란성 쌍둥이 이식 안 되면 동종 이식해야한다는데... 동종 이식? 이게 뭐야...;; 같은 종 이식하는 건가? 아 모르겠는데.. 이거 ebs 나온 건가? 배경지식 ㅅㅂ;; 일단 외우고 넘기자.. 물질이 체내 유입되면 거부 반응..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 아 뭔가 문제 나올 것 같은데.. <이식편 = 거부반응> 이라는 건가? 면역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주조직적..합..복합체? 뭔 단어가 이래 길어 아 썅 ㅠㅠ 엄마 보고 싶어ㅠㅠㅠ.... 아 침착하자...;;; 유전적 거리 멀수록.. 거부반응 강해짐...비례 관계니까 외워둘까? 아 머리 터질 것 같은데... 일단 옆에 써놓기라도 하자...아 이제 1문단 끝났네... 아 근데 나 뭐 읽은 거지..? 다시 한 번 읽어야 하나...?
(x100)
독해 하수는 정보를 '이해'할 생각이 전혀 없음.
그냥 글자를 어떻게든 머릿속에 욱여넣고 싶어 함.
하지만 뇌가 그렇게 해주겠음? 절대 안 됨. 쌩으로 암기하는 양에는 한계가 있음.
결국 어떤 정보도 확실히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고, 둥둥 떠다니는 상태로
멘탈이 날라가 더 이상 회생이 불가능해짐.
반면 고수는?
일단은 최대한 '이해'해보려 함.
------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어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식을 실시한다. 이때 이식으로 옮겨 붙이는 세포, 조직, 장기를 이식편이라 한다.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의 이식편을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의 이식편으로 ‘동종 이식’을 실시한다. 그런데 우리의 몸은 자신의 것이 아닌 물질이 체내로 유입될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키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면역적 거부 반응은 면역 세포가 표면에 발현하는 주조직적합복합체(MHC) 분자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다. 개체마다 MHC에 차이가 있는데 서로 간의 유전적 거리가 멀수록 MHC에 차이가 커져 거부 반응이 강해진다.
------
독해 고수의 생각: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면 다른 걸 이식해야 한다고? 당연하지. 손상됐는데 가만히 내비둘 순 없잖아. 이식하는 거를 이식편이라 한다고? 이제부터 ‘이식편’은 이식하는 거라고 읽어줘야겠다. ㅇㅋㅇㅋ.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한테 이식 못하면 다른 사람 걸로 '동종 이식' 받는다고? 당연히 자신이나 쌍둥이한테 이식 못받으면 다른 남한테라도 이식은 받아야 살겠지. 그렇게 남 거를 이식 받는 걸 '동종 이식'이라하는 구나. (아마 동종=같은 종, 즉 다른 인간 거 이식해서 '동종' 이식인 거겠지? ㅇㅈㅇㅈ.) 우리 몸에 다른 물질 들어오면 거부 반응이 일어난다고? 당연한 거 아냐? 이상한 물질 들어오면 막아야 할 거 아냐. ㅇㅈ? ㅇㅇㅈ 그런데 유전적 거리가 멀어지면 '주조직적합복합체'? 이거 차이가 커지구나. 뭐 유전적으로 다를 수록 뭔가 차이가 커지긴 하겠지 뭐. 이건 이름이 복잡하니까 표시는 해놓자. 어쨌든 당연히 유전적 거리 클수록 당연히 거부 반응도 커질 거야. 그만큼 다른 물질이니까.
1문단에 별 내용은 없네. 장기 손상되면 이식 실시하고, 이식하는 게 유전적으로 다를 수록 거부반응도 세진다는 당연한 얘기밖에 없었어. 뭐 외울 건 이식하는 물질을 '이식편'이라 한다는 정도?
차이가 느껴지심?
독해 고수는 정보를 최대한 ‘당연하게’ 여기려 함.
이게 바로 이해를 하려는 자세임.
난 이걸 '당위성 납득'이라고 부름
물론 이 방법만으로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는 없음.
고수도 특정 전문지식, 배경지식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정보는 '분명히' 있으며
그건 그것대로 또 처리를 해야 함.
하지만 이 글의 요지는
그 외의, 충분히 당위성을 납득할 수 있는 정보
이 것들을 어떻게 처리할 거냐는 거임.
결국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에도,
모든 정보를 글자대로 욱여넣으려는 하수는
절대 네버 에버
수월하게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으면 하는 거임.
예상 질문
Q. 아니 ㅆㅂ 형!!!!
실전에서도 이렇게 이해함? 시간 개 오래 걸리는데 어쩔티비???
두 가지 답변을 해주겠음
1) 놀랍게도 실전에서도 당위성을 납득하며 읽는 게 훨 빠름. 무작정 외우려 접근하면 튕겨져 나가던 정보들이 당위성을 납득하면서 읽으면 생각보다 빠르게 잘 읽힘. 평가원 지문은 꽤나 유기적인 글이기 때문에, 1문단에서 이해를 한 내용이 2문단에서, 3문단에서 계속해서 활용됨. 납득 없이는 산발적이었던 정보들이 납득을 하는 순간 모두 한 곳으로 모여 오히려 정보량 자체가 주는 거임. 쉽게 말해서 그냥 '쉬운 글'이 되는 거 ㅇㅇ
2) 물론 이게 하루 아침에 되는 일은 아님. 결국 <당위성 납득>하기 위해선 두 가지 층위의 준비가 필요함. 첫째, 배경지식. 이미 알고 있는 게 1도 없다면 새로운 정보에 대해 당위성을 납득하기는 거의 불가능함. 예를 들어 '분자'가 무슨 말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고체는 분자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다>라는 말에 대해 '당연하지'라 생각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물론 걱정마셈. 금환본위제가 뭔지, 헤겔이 뭔지 하는 정도의 깊은 배경지식을 말하는 건 아니니까. 내가 말하는 건 정말 기초적인 단어들을 말하는 거.) 둘째는 익숙함. 고기도 먹어 본 놈이 잘 먹는다고, 당위성 납득도 처음에는 걍 안 익숙할 거임. 근데 몇날 며칠 하다보면? 그냥 익숙해짐. 그리고 빨라짐. 그니까, 평소에 연습해두면 실전에서도 충분히 시간 안 걸리고 할 수 있다는 거 ㅇㅇ
---
(당위성) 납득은 제가 다루는
독서(비문학) 독해 도구 3가지중 하나에 해당하는 도구임다.
1) 납득/처리
2) 추상/구체 (재구성)
3) 연결/구분
비문학뿐 아니라 문학도 3가지 도구가 있는데요.
1) 표면/이면 (껀덕지)
2) 상황/심리 (주제)
3) 연결/구분
지난 칼럼도 이 도구들 중 하나를 다뤘습니다.
못 보신 분들은 한 번 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포브스 선정 현대시 쉽게 푸는 법 1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713773
이 도구들을 가지고 4/14부터 현장강의 정규반을 개강합니다.
최소한의 도구 x 최대한의 적용
국어 공부에 갈피를 못 잡으신 분들의 갈피를 확실히 잡아드리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어이~ 갈 땐 가더라도,
좋아요 하나 정도는 괜찮잖아?
0 XDK (+1,000)
-
1,000
-
시험 전날 공부하는 편인데 수2 시험이 마지막 날이라 롤을 하고 싶었음
-
선착순 76명.
-
걍 가서 고시공부만해도 이득이겟다 진심 엄몰의마렵네ㅅㅂ
-
현타온다 16
-
그래도 7
작년에 공부하던게 헛되진 않아서 다행이다
-
국가장학금 중단 2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러시로 ‘국가장학금 II(2) 유형(대학연계지원형)’의 혜택을...
-
비밀게시판에서 맨날 남자애들이 한결같이 여자를 찾고있음 '~할 여자 쪽지해'가...
-
수능 날 계획표 4
3시 기상 대충 어쩌고저쩌고 수능 만점 끝나고 전화 돌림 9시 수면 3시 기상 후 새르비
-
여행끝났다 2
공부하기싫다 ㅅ1ㅂ
-
이거보고 1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서강대 25][자취방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행복하세요
-
더도 덜도 말고 딱 2배속으로 살고싶다
-
물1 공부중인데 0
다들 뭐이리 잘하능거야.. 복테 나만 1-2개 틀리는구같네
-
칼럼을 쓴다면 2
근데 현역 밥통대가뤼라 제대로는 못 씀
-
ㅇ
-
반도체트랙 3
서강대 전자공학, 화생공, 기계공, 컴공, 물리, 화학, AI자전, 사이언스자전,...
-
170만덕 정도
-
현재 내 상황 7
어싸 풀다가 뽕찬 상태
-
내 차단목록 2명 중 한 명이 댓글에 ㅈㅅㅎㄴㄷ ㅈㅅㅎㄴㄷ 바로 쳤던 기억이 있음 무서웠음
-
2개가 판도라의 상자였는데 하나는 확인했고 하나는 무소식이라 확인하고자 합니다 쪽지주세요
-
음...... 0
메
-
원트에 맞혀야함 마감 있음
-
어디 다들 퓨즈가 빠진거 같음
-
누가ㅜ가져갔어
-
시비 걸려서 싸우고 있는데 소주병 꺼내서 대가리 깬다 하면 거기로 시선이 가지 응
-
brevity: 짧음 modicum : a small amount of...
-
레어사세요레어사세요 10
좋은 매물 많아요
-
지금 워마 수능2000 외우고 있는데 하이퍼2000이나 비슷한 난이도의 단어장도...
-
질문글 올리니까 0
너무 낯간지럽네 보통 대답해주는 입장이었는데
-
재수 선택좀 도와주세요 31
수능 성적은 대충 지방약좀 넘게 나왔고 내신 1.3정도라 교과로 지거국의 현역으로...
-
죽을맛 2
아
-
성균관대 소프트웨어 서울대 지구과학교육 혹시 점수 컷과, 예상 예비 점수......
-
공군은 빨리가는게 불가능함 자격증 따고 헌혈하고 봉사하는데만도 시간 걸리고 그러고...
-
걍 서울대 좀 다녀보고 아니다 싶으면 기숙으로 런할까
-
컨텐츠비까지 무료면 걍 가출하고 강대들어가도되는거아님? 만약에 하면 4수짼데 진심 마려워짐(안함)
-
장학금컷이 빡세네 나도 250밖에 안됨., .아니 여기도 화1이 발목을 잡는다고?
-
나를 눈물짓게 만들어
-
교육청이랑 평가원이랑 성적 훅 달라지는 케이스 많다 고2때에서 고3때 역변도하고 ㅋㅋ
-
얼부기 2
-
예비중3인데 노베 공수 1 하고 있슴다 나중에 노베 공수1 끝난다음에 노베 공수2...
-
[속보] 트럼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 2
[파이낸셜뉴스]
-
자꾸 쓸데없는 상상만 ㅈㄴ해서 공부 집중 엄청 깨짐..
-
6번 같은 트랩 수능&모평에 등장했으면 또 치고박고 싸웠겠군.
-
[속보] 백악관 "美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내달 4일부터" 1
[서울경제] [속보] 백악관 "美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내달 4일부터"
-
시발점 다음에 2
시발점 워크북 풀고 바로 뉴런 가도 ㄱㅊ나요..시발점 뉴런 사이에 유형코드...
-
담임쌤과 컨설쌤의 환상콜라보로 정시에서 3최초합 받았는데 제가 정말 쓰고싶었는데...
-
나는야 사기꾼
-
ㄷㄷㄷ...
-
오늘 밤새는사람 0
ㅈㄱㄴ
특강 때 들은 내용이네요 잘 봤습니다!
열심히 들어주셨군요 ㅎㅎ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항상 도움 많이 받고 있어요!!맞아여 저는 제 언어로 바꿔서 이해한다고 표현하는데
당위성 납득이라니 ㄷㄷ 멋있는 말이네영
나의 말로 바꾸기 요거 중요하죠. 저는 재구성(추상/구체)로 부릅니다 ㅎㅎ
이해는 다 해도 세부정보에서 나가리되면 어쩌죠...ㅠ
머리에 안 남았다 = 제대로 이해가 안 갔다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세부 정보 -> 표시메모 처리
머릿속에 안남아있다면, 이해를 한 것같은 느낌이 든 거지, 제대로 이해한 게 아닐 거예요. 전 이해가 안 가는(머리에 안 남을 것 같은) 세부정보에는 표시나 메모를 동원하여 처리하시고, 필요할 때 돌아와 보는 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