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진짜 비문학 개꿀팁 인정? (feat. 정규반 공지)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7795269
---
독해 하수와 독해 고수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
독해 고수는 적극적으로 정보를 인정하며 이해 함.
‘무슨 소리일까?’ ‘왜 그렇다는 거지?’ ‘이건 이거고, 저거는 저렇다는 거네.’ ‘그럼 당연히 ~겠네’ 요런 식으로.
독해 하수는 대충 읽고 정보를 튕겨냄.
‘아, 이거 무슨 소리야.’ ‘그래서 뭐 어쩌라는 거야~ 아 인생 ㅆㅂ X같다!’ ‘아.. 읽기 싫네..’ '이걸 다 어떻게 외워;;;'
가장 큰 본질적 차이는 이거임
독해 고수 - 정보를 최대한 이해&처리하려 함
독해 하수 - 그냥 글자만 읽고 외우다가 나자빠짐
실제 지문을 읽으면서 하수랑 고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예를 들어볼까?
------
2020.수능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어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식을 실시한다. 이때 이식으로 옮겨 붙이는 세포, 조직, 장기를 이식편이라 한다.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의 이식편을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의 이식편으로 ‘동종 이식’을 실시한다. 그런데 우리의 몸은 자신의 것이 아닌 물질이 체내로 유입될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키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면역적 거부 반응은 면역 세포가 표면에 발현하는 주조직적합복합체(MHC) 분자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다. 개체마다 MHC에 차이가 있는데 서로 간의 유전적 거리가 멀수록 MHC에 차이가 커져 거부 반응이 강해진다.
------
독해 하수의 생각:
아 ㅅㅂ 생물 지문인가? 약한데.. 일단 읽어보자.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면 이식해야 한다.... 이식하는 걸 "이식편"이라 한데.. 동그라미 치고 외워두자. 자기나 일란성 쌍둥이 이식 안 되면 동종 이식해야한다는데... 동종 이식? 이게 뭐야...;; 같은 종 이식하는 건가? 아 모르겠는데.. 이거 ebs 나온 건가? 배경지식 ㅅㅂ;; 일단 외우고 넘기자.. 물질이 체내 유입되면 거부 반응..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 아 뭔가 문제 나올 것 같은데.. <이식편 = 거부반응> 이라는 건가? 면역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주조직적..합..복합체? 뭔 단어가 이래 길어 아 썅 ㅠㅠ 엄마 보고 싶어ㅠㅠㅠ.... 아 침착하자...;;; 유전적 거리 멀수록.. 거부반응 강해짐...비례 관계니까 외워둘까? 아 머리 터질 것 같은데... 일단 옆에 써놓기라도 하자...아 이제 1문단 끝났네... 아 근데 나 뭐 읽은 거지..? 다시 한 번 읽어야 하나...?
(x100)
독해 하수는 정보를 '이해'할 생각이 전혀 없음.
그냥 글자를 어떻게든 머릿속에 욱여넣고 싶어 함.
하지만 뇌가 그렇게 해주겠음? 절대 안 됨. 쌩으로 암기하는 양에는 한계가 있음.
결국 어떤 정보도 확실히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고, 둥둥 떠다니는 상태로
멘탈이 날라가 더 이상 회생이 불가능해짐.
반면 고수는?
일단은 최대한 '이해'해보려 함.
------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어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식을 실시한다. 이때 이식으로 옮겨 붙이는 세포, 조직, 장기를 이식편이라 한다.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의 이식편을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의 이식편으로 ‘동종 이식’을 실시한다. 그런데 우리의 몸은 자신의 것이 아닌 물질이 체내로 유입될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키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이식편에 대해 항상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면역적 거부 반응은 면역 세포가 표면에 발현하는 주조직적합복합체(MHC) 분자의 차이에 의해 유발된다. 개체마다 MHC에 차이가 있는데 서로 간의 유전적 거리가 멀수록 MHC에 차이가 커져 거부 반응이 강해진다.
------
독해 고수의 생각:
신체의 세포, 조직, 장기가 손상되면 다른 걸 이식해야 한다고? 당연하지. 손상됐는데 가만히 내비둘 순 없잖아. 이식하는 거를 이식편이라 한다고? 이제부터 ‘이식편’은 이식하는 거라고 읽어줘야겠다. ㅇㅋㅇㅋ. 자신이나 일란성 쌍둥이한테 이식 못하면 다른 사람 걸로 '동종 이식' 받는다고? 당연히 자신이나 쌍둥이한테 이식 못받으면 다른 남한테라도 이식은 받아야 살겠지. 그렇게 남 거를 이식 받는 걸 '동종 이식'이라하는 구나. (아마 동종=같은 종, 즉 다른 인간 거 이식해서 '동종' 이식인 거겠지? ㅇㅈㅇㅈ.) 우리 몸에 다른 물질 들어오면 거부 반응이 일어난다고? 당연한 거 아냐? 이상한 물질 들어오면 막아야 할 거 아냐. ㅇㅈ? ㅇㅇㅈ 그런데 유전적 거리가 멀어지면 '주조직적합복합체'? 이거 차이가 커지구나. 뭐 유전적으로 다를 수록 뭔가 차이가 커지긴 하겠지 뭐. 이건 이름이 복잡하니까 표시는 해놓자. 어쨌든 당연히 유전적 거리 클수록 당연히 거부 반응도 커질 거야. 그만큼 다른 물질이니까.
1문단에 별 내용은 없네. 장기 손상되면 이식 실시하고, 이식하는 게 유전적으로 다를 수록 거부반응도 세진다는 당연한 얘기밖에 없었어. 뭐 외울 건 이식하는 물질을 '이식편'이라 한다는 정도?
차이가 느껴지심?
독해 고수는 정보를 최대한 ‘당연하게’ 여기려 함.
이게 바로 이해를 하려는 자세임.
난 이걸 '당위성 납득'이라고 부름
물론 이 방법만으로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는 없음.
고수도 특정 전문지식, 배경지식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정보는 '분명히' 있으며
그건 그것대로 또 처리를 해야 함.
하지만 이 글의 요지는
그 외의, 충분히 당위성을 납득할 수 있는 정보
이 것들을 어떻게 처리할 거냐는 거임.
결국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에도,
모든 정보를 글자대로 욱여넣으려는 하수는
절대 네버 에버
수월하게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으면 하는 거임.
예상 질문
Q. 아니 ㅆㅂ 형!!!!
실전에서도 이렇게 이해함? 시간 개 오래 걸리는데 어쩔티비???
두 가지 답변을 해주겠음
1) 놀랍게도 실전에서도 당위성을 납득하며 읽는 게 훨 빠름. 무작정 외우려 접근하면 튕겨져 나가던 정보들이 당위성을 납득하면서 읽으면 생각보다 빠르게 잘 읽힘. 평가원 지문은 꽤나 유기적인 글이기 때문에, 1문단에서 이해를 한 내용이 2문단에서, 3문단에서 계속해서 활용됨. 납득 없이는 산발적이었던 정보들이 납득을 하는 순간 모두 한 곳으로 모여 오히려 정보량 자체가 주는 거임. 쉽게 말해서 그냥 '쉬운 글'이 되는 거 ㅇㅇ
2) 물론 이게 하루 아침에 되는 일은 아님. 결국 <당위성 납득>하기 위해선 두 가지 층위의 준비가 필요함. 첫째, 배경지식. 이미 알고 있는 게 1도 없다면 새로운 정보에 대해 당위성을 납득하기는 거의 불가능함. 예를 들어 '분자'가 무슨 말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고체는 분자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다>라는 말에 대해 '당연하지'라 생각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물론 걱정마셈. 금환본위제가 뭔지, 헤겔이 뭔지 하는 정도의 깊은 배경지식을 말하는 건 아니니까. 내가 말하는 건 정말 기초적인 단어들을 말하는 거.) 둘째는 익숙함. 고기도 먹어 본 놈이 잘 먹는다고, 당위성 납득도 처음에는 걍 안 익숙할 거임. 근데 몇날 며칠 하다보면? 그냥 익숙해짐. 그리고 빨라짐. 그니까, 평소에 연습해두면 실전에서도 충분히 시간 안 걸리고 할 수 있다는 거 ㅇㅇ
---
(당위성) 납득은 제가 다루는
독서(비문학) 독해 도구 3가지중 하나에 해당하는 도구임다.
1) 납득/처리
2) 추상/구체 (재구성)
3) 연결/구분
비문학뿐 아니라 문학도 3가지 도구가 있는데요.
1) 표면/이면 (껀덕지)
2) 상황/심리 (주제)
3) 연결/구분
지난 칼럼도 이 도구들 중 하나를 다뤘습니다.
못 보신 분들은 한 번 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포브스 선정 현대시 쉽게 푸는 법 1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713773
이 도구들을 가지고 4/14부터 현장강의 정규반을 개강합니다.
최소한의 도구 x 최대한의 적용
국어 공부에 갈피를 못 잡으신 분들의 갈피를 확실히 잡아드리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8/l
어이~ 갈 땐 가더라도,
좋아요 하나 정도는 괜찮잖아?
0 XDK (+1,000)
-
1,000
-
뭐하고 살지 4
며칠 안에 심장이 멈추면 좋겠다
-
이번년도 연대 사학과 무조건 들어간다
-
배빵 ㅈㄴ때리고 싶다 울면 달래주고 또 때리기
-
4시에 얼버잠 간다잇
-
먼저 잘게 2
또 망쳤어
-
이제 뭐하지 0
진짜 뭐함...
-
밤샘 결정 6
핫식스 3캔 마신걸 까먹고 있었음
-
'사연없는 중앙대생은 없다.' 이런 말을 키보드로 칠 수 있는 애들은 도대체 어떤...
-
슉슉 퍽퍽 악악 익익
-
2분전에 그분 근황 압뎃 뜸
-
처음엔 도저히 안 될 거 같아보이는 벽도 대가리 박다보면 넘을 수 잇는 경우가...
-
메인글에사 자주 보이나 난 일반글만 보니까 존나 평화로운데 흠
-
서울과 대구, 부산의 중간이라 교통도 나름 편해 빵♡♡사랑함 맛있는빵 최고 도넛도...
-
예를 들어서 전세 5억임 내가 10퍼를 먼저 계약금으로 줌 주인이 OK했음 그래서...
-
소개팅 어플같네 하하 여기까지
-
돈도 존나 벌고 명예도 얻고 싶어서 사업도 할거고 해외도 나가서 경험도 최대한 많이...
-
잘자요 6
-
ㅠㅠ 이번생엔 못모으겠다
-
연대 미래 의예과 22살 존예 누나가 과외 뛰면 나같아도 하겠다 근데 집에 요르...
-
내 로망 0
대전이나 대구에 24평정도되는집 사서 폼피츠랑 살기 근데 난 못이룰거가타
-
https://orbi.kr/00068851681 이게 벌써 반 년 전이군요.....
-
벌싸 3시임;
-
모두들 마음의 평안을 찾으시갈 기원합니다
-
나보다 수학 1
500배 잘하는 08한테 재능충 소리 들엇음 기분 좋게 자러감
-
한양대 기계 정모들 좀 가보니까 사람들도 되게 좋고 재밌던데 다군에 성대 반도체...
-
어디서든 친목을 다지려는 게 본능임 안 그러면 죽었으니까 그런 욕구가 없는 게...
-
주간은 전날 저녁에 확정문자주는데 야간은 당일 3~4시간전에 확정문자주는거 너뮤 ㅈ같긴하네
-
해볼까
-
잡바구리먹고 좌파가될개
-
유일무이하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그 외에는 다 개형추론에 서브 조건으로 들어가서
-
05만 들어와보셈 19
너네 뭐하고 살고 있음
-
나는 머리가 5
많음
-
결혼하고 싶어짐 휴
-
지금 왜 이렇게 오르비나 벅벅 하고 앉았냐.... 역시 사람은 현재가 중요하다
-
헐 갑자기 4
맢42하고 싶다 예전에 꽤나 고렙이었는데… 많이 바뀌었겠지…..?
-
전글 메인에 올려줘 11
제발 지 스스로 까내리는 멍청한 짓 좀 하지 마 평소에 손에 관절염 올만큼 ㅈㄴ...
-
걍 국민연금 좀 아야하고 길거리에 노친네 많아진거 말건 별 차이 앖는거 같은데
-
야식추천 ㄱㄱ 7
배고픕니다.
-
이거 못들으면 2학기것도 밀리는데
-
현우진이 말하길 19
우리는 제법 똑똑하다 라는 생각을 갖고 공부에 임해라 실제로 그렇고 그렇지 않고가...
-
모 칼럼겸똥글러 오르비언께 감사를…
-
등록금 넣어도 상관없는건가 붙자마자 계좌있길래 넣었는데
-
사하라사막 입갤
-
나만 모름
-
내가 이 상승곡선으로 전과목 1.3이 안돼서 장학을 못받아야겠냐? 앙?
-
잔다 안 잔다 0
-
수능판 n년 있다 보면 12
글 보고 아 얘는 좀 힘들 수도 있겠네 싶은 친구들 보임 물론 작성자도 탈출 못...
-
정육면체를 칠하는 경우의수를 구하는 확통 문제를 보고 흥미를 느껴서 정다면체를...
-
제가진짜11월더프성적은인설의안정권이였는데엌저구저쩌구 9
수능때만망해서정말수능은운빨좃망겜실수유발어쩌구저쩌구서바20회만점이였는데표점150이라도받...
특강 때 들은 내용이네요 잘 봤습니다!
열심히 들어주셨군요 ㅎㅎ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항상 도움 많이 받고 있어요!!맞아여 저는 제 언어로 바꿔서 이해한다고 표현하는데
당위성 납득이라니 ㄷㄷ 멋있는 말이네영
나의 말로 바꾸기 요거 중요하죠. 저는 재구성(추상/구체)로 부릅니다 ㅎㅎ
이해는 다 해도 세부정보에서 나가리되면 어쩌죠...ㅠ
머리에 안 남았다 = 제대로 이해가 안 갔다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세부 정보 -> 표시메모 처리
머릿속에 안남아있다면, 이해를 한 것같은 느낌이 든 거지, 제대로 이해한 게 아닐 거예요. 전 이해가 안 가는(머리에 안 남을 것 같은) 세부정보에는 표시나 메모를 동원하여 처리하시고, 필요할 때 돌아와 보는 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