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식의 문단속 [1143343]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4-05-19 18:43:47
조회수 2,801

[정치와 법] 정법에 대한 선입견에 대해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8116826

1) 이 글을 적게 된 이유


요즘 이과분들 사이에서 사탐런이 유행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특히, 사탐 중에서도 등급컷과 표준점수가 후한 

일반사회 과목으로 많은 이과분들이 진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치와법 과목에서 다수의 사설 만점과 

수능 1등급을 맞아본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소 부족하지만 정치와법 과목에 진입하실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2) 정치와법 과목에 대한 선입견 


제가 아는 동생들(25수능 수험생입니다),

그리고 오르비의 非 정법러 분들께 

정치와법 과목에 대해 드는 생각을 물어본 결과로는


“암기량이 많을 거 같다”, “낚시가 심할 거 같다”,

“독해력이 좋아야 할 거 같다” 가 대표적이었고,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암기가 중요한 것도, 독해력이 필요한 것도, (보는 관점에 따라)

낚시가 있는 것도 맞지만 그래도 사탐에 불과할 뿐이니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전혀 없다- 가 결론이 되겠습니다.



3) 암기량이 많다?


(사회탐구 중에서는)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 정치와법 과목의 목차와 연관지어 설명을 하겠습니다..


정치와법 과목은 정치 파트, 법 파트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 정치 파트에서는 헌법의 의의, 헌법의 기본 원리, 

기본권의 내용, 기본권 제한의 요건과 한계, 

정부 형태, 대한민국의 통치 구조, 지방자치, 선거 등을 배우고


법 파트에서는 민법- 재산관계와 가족관계에 대한 기본적 내용, 

형법의 기본적 내용, 근로자의 권리, 국제 관계에 대한 

기본적 내용을 배웁니다.


물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이기에 

당연히 대학에서 배우는 심층적인 내용은 들어가있지 않지만, 

그래도 상기한 내용들에 대한

암기를 바탕으로 한 이해가 필수적인 과목입니다.


더더욱 최근 수능에선 기존의 킬러 문항(선거 파트에서 출제되던 선거 결과 계산하는 산수 문제)의 힘을 빼고, 

대신 세부적인 개념을 중요하게 물어보는 추세라 

암기를 할 필요성은 있는 듯 합니다.


그래도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것이, 

제 주변의 생지-> 일반사회로 넘어오신 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외울 것은 지구과학이 훨씬 더 많다고 합니다.

결국 사탐에 불과할 뿐이죠..


결론은 암기(를 바탕으로 한 이해)가 중요한 과목이 맞지만 

그래도 과탐에 비해서는 쉽다는 것이 되겠습니다.



4) 독해력이 좋아야 하고 낚시가 심하다?


어느 정도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정치와 법 시험지를 보시면 알겠지만 

과학탐구는 물론이고 웬만한 사탐보다 텍스트량이 많습니다.

이 시험지는 2024학년도 수능 정치와법 시험지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텍스트 양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 ‘미니국어’

라는 말이 종종 나오기도 할 정도입니다.


게다가 문제들을 분석해 보면, (텍스트로 이루어진) 보기를 주고

보기의 상황에 알맞은 법적인 상황 판단을 해야 하는 문제들이 꽤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A라는 인물이 특정한 행동을 하였는데

이 행동은 범죄의 구성 요건과 위법성을 갖추었지만 

A는 심신을 상실한 상태의 정신질환자라는 내용의 보기를 주고

선지에서는 “A의 행동은 위법성이 조각되어 

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 라고 적습니다. 


A의 행동은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 것은 맞지만

이는 위법성이 아니라 책임이 조각되어서이고

(A는 심신상실 상태의 정신병자입니다)

따라서 해당 선지는 틀리게 됩니다.


그리고 실제 수능에서는 제가 예시로 든 상황보다 

훨씬 복잡한 상황이 등장합니다.


해당 문제는 2024학년도 수능시험에 실제로 출제되었던 

문제로, 이처럼 보기의 상황에 알맞은 법적인 상황 판단을

해야 하는 문제들이 적잖게 출제되고는 합니다.


이런 문제들은 탄탄한 개념 암기를 바탕으로 한 이해가 없으면 

틀릴 수밖에 없고, 이러한 과목 특성상 정치와법은

“낚시”가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타 사탐 과목들도 변별을 위해 

이런 식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결론적으로 텍스트량이 많은 것은 사실이기에 어느 정도는

독해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고, 낚시의 경우에는

꼼꼼한 암기와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상황판단을 물어보는 과목 특성상

어쩔 수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과에서 문과로 넘어온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과학탐구에 비해선 확실히 난이도가 낮다고 합니다.


5) 글을 마치며


저는 과탐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 

주변의 이과 친구들에게 들어서 나름 잘 알고 있고, 

정치와법이 아무리 어려워봤자 과탐에 비해서는

아주 쉬운 난이도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문에서도 적었듯, 

정치와법은 암기가 중요한 과목이 맞습니다.

이를 다시 말하자면 달달 외우는 공부가 통한다는 것입니다.


이과 분들은 당연히 과탐보다 쉬울 것이고, 

다른 사탐에서 넘어오는 문과 분들도 겁먹지 마시기 바랍니다.

결국 사탐일 뿐입니다. 

여름에 시작해도 1등급 충분히 받는 사탐일 뿐입니다.

IQ가 90 언저리인 저도 1등급 맞는 과목입니다.




+ 추후 수능 1등급과  사설 만점 성적표들을 

인증하는 글을 올리겠습니다!

rare-서태지와 아이들 rare-서태지와아이들 4집 rare-서태지와아이들 3집 rare-서태지와아이들 1집 rare-한국교원대

0 XDK (+2,100)

  1. 1,000

  2. 100

  3. 500

  4.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