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rma [567416] · MS 2015 · 쪽지

2015-11-14 21:05:12
조회수 3,142

성대 사과 논술!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817167

2번 3번 둘 다 실재론 썼는데 맞겠죠??이거 하나라도 틀리면 타격이 클텐데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Lil Boiii · 589820 · 15/11/14 21:07 · MS 2015

    수만휘스러우십니다만 맞는듯보여집니다

  • karrma · 567416 · 15/11/14 21:08 · MS 2015

    오 수만휘있다와서그러네요 수정해야겠어요ㅋㅋㅋㅋ

  • Lil Boiii · 589820 · 15/11/14 21:09 · MS 2015

    사실 2,3번 모두 실재로 해서 맞는건가 싶었지만 명목론으로 쓰기에는 논거가 부족하다 보여서 줏대있게 갔어요 ㅋㅋ

  • karrma · 567416 · 15/11/14 21:11 · MS 2015

    저도 둘 다 실재라 당황했네요ㅋㅋㅋ

  • Stay2 · 603635 · 15/11/14 21:09 · MS 2015

    2번 실재론 어떤식으로 연결하심??

  • karrma · 567416 · 15/11/14 21:10 · MS 2015

    출신학교를 사회적요소로 보고 개인의 의지만이 아니라 사회적요소 즉 사회실재론적 요소를 고려한다고 썼어요

  • Stay2 · 603635 · 15/11/14 21:14 · MS 2015

    흠 그게 가장 무난해 보이긴 했는데 전 좀 다르게 써보고 싶어서 관점을 달리했는데 괜히 걱정되기도 하네요 ㅋㅋㅋ 괜히 욕심부렸나...

  • karrma · 567416 · 15/11/14 21:16 · MS 2015

    전 2번에서 크게 욕심 안내고 1번 욕심을 내서 그럴 수도 있어요

  • 대학좀가자 · 557228 · 15/11/14 21:33 · MS 2015

    3번에서 저는 스웨덴이 GDP대비 정부지원이 가장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비2010년에 OECD추세 그래프보다 아래잇엇고 이탈리아는 더 적음에도 1980년대비 2010년 OECD추세 그래프보다 위에있길래 국가의 재정 비용이 중요한게 아니라고 판단해서 저는 사회명목론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한국이 그중에서 가장 낮긴했지만...

  • karrma · 567416 · 15/11/14 21:46 · MS 2015

    전 원래 표해석할 때 예외적인 거는 논외로 하고 해석해서..심한 정도 아니면

  • TJZI8CrNYl0iey · 598922 · 15/11/14 21:40 · MS 2015

    이거 명목실재 둘다 가능해요
    성대는 항상 둘다가능하다고 해놓고 얼마나 논리적인지를 묻는다고 모범해제에 말해놓아요

  • 상향주의 · 594067 · 15/11/14 21:57 · MS 2015

    헣 저도 2번 명목 비판으로 해서 쫄렸었는데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