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nielJeoung · 1318896 · 06/17 20:54 · MS 2024

    On the grounding day, the remaining length of winter is predicted when the grounding is observed springing from its burrow.
    형태에서는 2가지 정도로 이유를 삼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로는, 분사구문 형태로 (while it is)가 내포된 것으로 보거나,
    혹은 5형식의 수동태 형태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관찰하는 주체(주어)를 we로 상정해보았을 때, 해당 문장을 능동문으로 바꿔보면,
    We observe the grounding springing from its burrow.
    형태였음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수동형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목적보어인 현재분사 springing이 그대로 따라 붙은 것이고요. 이는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바꿀 때 꽤나 흔한 현상이랍니다 ㅎㅎ
    능동문에서 Springing이 쓰일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다면 추가로 질문 부탁드립니다!

  • DanielJeoung · 1318896 · 06/17 20:59 · MS 2024

    많이 들어보셨을 법한 수능 영어의 표현을 빌리자면,
    We observe the grounding springing from its burrow.
    형태에서 observe는 지각동사입니다! 지각동사일 때는 목적보어자리에 동작(동사)를 사용하고 싶을 때, 원형 혹은 현재분사를 사용할 수 있었죠! 그래서 해당 문장에서도 spring 으로 쓸 수 있습니다만, 이는 능동문에 한정해서이고, 수동일 때는 다소 어색할 수 있습니다. 원형을 쓸 때와 현재분사를 쓸 때 뉘앙스에도 차이가 있기도 하고요!

    다른 오답 선지를 보자면 (a)는 위와 같은 이유로 불가능, 아니더라도 아님을 잘 눈치 채셨으리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b)는 spring의 단순 과거형입니다. 앞서 is observed 형태로 동사와 분사 형태가 주어진 상황에서 이런식으로 사용될 수는 없겠지요?
    (d)는 과거분사 형태이긴 합니다만, 해당 문장에서 the grounding은 Spring이라는 동작의 주체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능동 상황에 어울리는 현재분사 (c)를 답으로 고를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