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배 [1298651]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4-06-23 14:46:57
조회수 374

수능 성공의 요인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68519893

지능 노력같은 당연한것 빼고,


뭐가 있을까요?


국어 수학 영어 물리 지구 외에 학습, 메타인지도 포함해서요


한가지로는,

저는 규율로 저를 묶어서 공부를 방해하는 요소는 그냥 하면 안되는 것으로 인식했고, 이걸로 의지력을 공부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역설적이게도 의지로 공부를 하는 건 필패 더라고요.. 그걸 깨닫고 의지를 공부와 분리해서 그냥 해야되는 것이라고 인식하는게 제가 느낀 점입니다..


양질의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능충죄송합니다 · 1126854 · 06/23 14:47 · MS 2022

  • 푸배 · 1298651 · 06/23 14:47 · MS 2024

    그쵸.. ㅈㄴ 중요한데 컨트롤 할 수 있는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siuu7 · 1298311 · 06/23 14:51 · MS 2024

    건강

  • Sy._. · 1310863 · 06/23 15:24 · MS 2024

    빡침? 이라고 말하기는 뭐한데 공부해서 이놈들 안보이는 곳으로 가야겠다 그런거 있으면 잘되던데요^^

  • 푸배 · 1298651 · 06/23 15:25 · MS 2024

    Sy._. 님은 그렇군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06/23 15:53 · MS 2019

    체력, 멘탈(학습태도, 타고난 성향/성격), 공부법, 커리큘럼 등이겠네요.

    멘탈적인 부분으로 한정해서 말하면 제 경험상 공부를 독기로 해내는 사람도 물론 공부를 잘 하지만 공부를 즐기는 사람들이 가장 쾌적하게 공부를 잘했습니다.

  • 푸배 · 1298651 · 06/23 15:55 · MS 2024

    정성추.. 감사함다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06/23 16:05 · MS 2019 (수정됨)

    아, 가장 중요한 한 가지 것을 말씀 못드렸는데 아랫분이 말씀해주셨네요.

    여러 의미로, 대입은 운이 가장 중요합니다.

    + 글에 있는 다른 댓글을 보니 수험 성패 자체에 많이 고민하시는 듯 합니다만 저도 최상위권/최하위권을 다수 봐오며 그런 고민을 많이 해왔고, 또 나름대로 그에 대한 제 생각을 정리&적립해왔습니다. 혹 그런 고민 자체에 많은 관심이 있으시면 따로 말씀해주시면 조금 더 이야기 나눠볼 수 있을 듯 합니다.

  • 푸배 · 1298651 · 06/23 16:07 · MS 2024 (수정됨)

    안되면 될때까지..! 트라이트라이

  • 푸배 · 1298651 · 06/23 16:08 · MS 2024

    오 감사합니당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06/23 16:10 · MS 2019 (수정됨)

    (이 글의 댓글로서는) 마지막으로 의견을 남겨드리면,

    제가 생각해도 공부머리가 중요합니다. 그게 선천적이든 후천적인 개발에 의해서든 간 공부머리가 수능에 미치는 영향은 말할 필요도 없이 너무 절대적이고..

    다만 공부머리가 대단히 뛰어난 것이 아니라면 공부머리'만'으로 원하는 목표 무엇이든 다 이루는 건 어렵지요. 그런 맥락에서, 수능은 사람마다 한계가 '명확'합니다.

    이는 당연하고 간단한 명제인 것이, 학습지능 상위 1%과 99%를 비교했을 때, 서로 한계가 같을 리가 없으니까요.

    또, 그런 맥락에서 가지지 못한 분이 한계를 극복하여 가진 사람을 이기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저 노력하지 않는 자신과 비교했을 때, 노력을 통해 그러한 자신을 극복하는 것은 가능할 뿐 애초에 노력&또는 어떠한 특정한 방법론으로 나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타인을 이긴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명제로 보입니다. 적당한 타인을 이기는 것이면 가능하겠지만요.

    만약 그 노력&또는 특정한 방법론을, 나보다 학습지능이 대단히 뛰어난 타인이 똑같이 행한다면 그 격차는 좁히지 않고 그대로 벌어지는 것처럼 말입니다.

    다만 수능은 종착지가 정해져 있는 시험인 만큼, 상황에 따라서는 실제로 극복한 것은 아니겠으나 극복한 '것처럼' 보일 수는 있을 듯 하네요.

  • 푸배 · 1298651 · 06/23 16:12 · MS 2024

    Goat. 글쿤요

  • Diminish · 1021874 · 06/23 15:59 · MS 2020

    좋은 환경에 있을 수 있는 운
    깨달음을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운

    모든 스탯은 행운에 박는게 맞다 ㅇㅇ

  • 푸배 · 1298651 · 06/23 16:00 · MS 2024

    깨달음 이라 함은 수능장에서 말하는건가용?

  • Diminish · 1021874 · 06/23 16:02 · MS 2020

    공부법 맥락 조건 등등 많은 상황에서 깨달음이 올 수 있죠

    다 중요합니다

  • 푸배 · 1298651 · 06/23 16:04 · MS 2024

    제 경험으로는 그 부분은 선천적인 “공부머리”의 차이가 결정적인 것 같습니다. 제가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은 선천적인 사람들을 관찰하며 카피하는 것 밖에 없을까요? 이 부분은 한계가 명확한 거 아닐까요?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그런 괴수들 만큼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을까요?

  • Diminish · 1021874 · 06/23 19:24 · MS 2020

    카피가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