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06/23 15:32 · MS 2022

    암흑물질과 공통물질의 비율은
    항상 일정한비를 이룸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2 · MS 2021

    수완에 보통물질>암흑물질인 자료가 있어요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06/23 15:33 · MS 2022

    우리우주인데도요?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3 · MS 2021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06/23 15:33 · MS 2022

    머징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06/23 15:37 · MS 2022

    우리우주란말은 없긴하네요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7 · MS 2021

    아 그러네요 그러면 그럴 수도 있을 듯.. 문제를 잘 안 읽어서 지구를 못 하나봐요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41 · MS 2021

    그러면 그냥 궁금증인데 우리 우주가 아니라고 하면 시점과 구성 요소는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 건가요? 다른 우주는 가속 팽창이 아닐 수도 있지 않은 건가요?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06/23 15:46 · MS 2022

    일단 암흑에너지가 있는건 확실하니 가속팽창을 전제로한다고 보는게맞을거같네요

    특정두시기 잡고 같이 증가or감소 하는것 2가지가 보통,암흑물질 그리고 혼자 그거랑 반대로가는걸 암흑E로 판단하면됨요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47 · MS 2021

  • 한양대 호소인 · 1212081 · 06/23 15:33 · MS 2023

    저게 수완에있음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5 · MS 2021
  • 민초한입해 · 1266049 · 06/23 15:35 · MS 2023

    이게 그 문제인가요?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6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5 · MS 2021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2 · MS 2021

    이거 저도 큐브에 질문했는데 교과서에 없는 내용이라 그냥 넘어가라 그러던데

  • 정시의벽 · 1094679 · 06/23 15:32 · MS 2021

    저도 그거 때문에 모순 나와서 다른 경우 해봤는데 다 안 되길래 뭔가 해씀

  • 한양대 호소인 · 1212081 · 06/23 15:33 · MS 2023

    오 그게맞겠죠? 연구소에서도 저렇게 답변주시긴했어요

  • 대 해 린 · 1211921 · 06/23 15:33 · MS 2023

    나 지금까지.일정한줄알았는데

  • 한양대 호소인 · 1212081 · 06/23 15:33 · MS 2023

    근데 그게 수완에있어요

  • 연. ​ · 1309850 · 06/23 15:40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국스퍼거호소인 · 1271032 · 06/23 16:46 · MS 2023 (수정됨)

    언제나 암흑물질이 더 많았던걸로 알고있음
    수완 자료가 이상한것같은데

  • 국스퍼거호소인 · 1271032 · 06/23 16:48 · MS 2023

    이건 지피티 피셜

    우주 초기부터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많았다는 주장은 다양한 관측과 이론적 모델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그 근거들입니다:

    1. **우주 배경 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 관측**:
    - 플랑크 위성이나 WMAP 같은 실험에서 관측된 CMB 데이터는 초기 우주의 밀도 변동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이 데이터는 ΛCDM(람다 냉암흑물질) 모델을 지지하며, 암흑물질이 초기 우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암흑물질은 우주의 질량-에너지 밀도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2. **중력 렌즈 효과(Gravitational Lensing)**:
    - 은하와 은하단이 만드는 중력 렌즈 효과를 통해 암흑물질의 존재와 분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많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중력 렌즈 효과를 통해 측정한 질량 분포는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훨씬 많은 양으로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3. **은하와 은하단의 회전 곡선(Rotation Curves)**:
    - 은하 내의 별들이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회전 속도가 일정하거나 증가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이는 뉴턴 역학으로는 설명되지 않으며, 암흑물질의 존재를 가정해야만 설명 가능합니다. 이 회전 곡선 데이터는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많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4. **대규모 구조 형성(Large Scale Structure Formation)**:
    - 우주의 대규모 구조 형성에 대한 시뮬레이션은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많아야 현재 관측되는 은하와 은하단의 분포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암흑물질은 중력을 통해 보통물질이 응집하고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핵합성(Big Bang Nucleosynthesis, BBN)**:
    - 빅뱅 핵합성 이론은 초기 우주의 원소 비율을 예측합니다. 이 예측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관측과 일치하며, 이를 통해 초기 우주의 보통물질 밀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암흑물질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으면 현재 관측되는 원소 비율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측들과 이론적 모델들은 모두 초기 우주에서부터 암흑물질이 보통물질보다 많았음을 지지합니다.

  • djkdkj · 1257590 · 06/23 17:13 · MS 2023

    암흑 물질이랑 보통 물질의 양이 일정한 상태로 암흑 에너지 증가 때문에 비율이 바뀌는 건데 보통 물질보다 많을 수는 없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