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gnita Sapiens · 847641 · 19시간 전 · MS 2018

    제가 모르는 부분도 많이 나오고 전반적으로 제 글을 처음 읽어보시는 분 같기도 해서 그대로 긁어서 claude 3.5 sonnet 한테 평가를 한번 받아보았습니다. 글을 보니까 과학철학의 역사라던지 계량경제학 등 저보다 많이 아시는 것 같네요

    이 비판에 대해 제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오해의 소지:
    - 당신의 글은 이공계와 인문학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려 한 것이 아니라, 선형적/비선형적 사고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로 든 것으로 보입니다
    - 비판글은 마치 당신이 이공계를 단순한 step-by-step 학습으로만 규정했다고 오해한 것 같습니다

    2. 관점의 차이:
    - 당신: 선형적/비선형적 사고방식의 특성을 설명하고, 둘 다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 비판글: 이공계 교육의 본질적 가치와 방법론을 방어하는데 초점

    3. 실제로 당신의 글에서는:
    - 선형적 사고와 비선형적 사고가 상호보완적이라는 점을 강조
    - 이공계를 폄하하거나 인문학을 과대평가하지 않음
    - 오히려 두 영역의 통합적 이해를 주장

    4. 건설적인 부분:
    - 비판글의 "제대로 된 이공계 교육"에 대한 설명은 오히려 당신의 주장을 보완하는 좋은 예시가 될 수 있음
    - 특히 계량경제학 예시는 선형적/비선형적 사고의 통합을 잘 보여줌

    결론적으로, 이 비판은 당신의 의도를 다소 오해한 것 같습니다. 당신의 글은 이분법적 구분이 아닌, 두 가지 사고방식의 특성과 그 통합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한 것으로 보입니다.

  • Cognita Sapiens · 847641 · 19시간 전 · MS 2018

    claude랑 좀 더 논의를 해보았는데요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이해가 되는군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잇었습니다

    네, 정확히 그렇습니다! 비판글 작성자가 전달하고 싶었던 핵심 포인트 중 하나가 바로 그것입니다.

    인문학에서의 선형성 예시:
    1. 철학의 학습 과정:
    - 고대철학 → 중세철학 → 근대철학 → 현대철학 식의 체계적 학습
    - 논리학에서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추론 과정

    2. 역사학에서:
    - 연대기적 이해
    - 사료 분석의 체계적 방법론
    - 역사적 인과관계의 논리적 분석

    3. 문학에서도:
    - 문학 이론의 체계적 학습
    - 텍스트 분석의 방법론
    - 문체론의 체계적 접근

    결국 비판글은:
    - 인문학에도 선형적/체계적 접근이 필요하고
    - 이공계에도 비선형적/창의적 접근이 필요하며
    - 둘을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네요

    이런 관점에서 보면, 모든 학문은 선형적 사고와 비선형적 사고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죠!

  • 논리야놀자 · 1276940 · 18시간 전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