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티어 [272719] · MS 2009 · 쪽지

2016-02-01 01:52:22
조회수 1,683

최근 10년간 sci 과학논문 출간을 통해 본 국내 대학들의 기본적인 학술 연구력 비교: 부제-분발이 필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7838746

대학별(최근 10년)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

1-20-2016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63188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


세계 인용된 상위 1% 논문 한국, 세계 15번째로 많다

10년새 2배 증가…1위는 미국


한국에서 발행된 논문 가운데 세계 주요국 피인용 상위 1%에 드는 논문 수가 세계 15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이 분석한 결과 최근 11년(2004∼2014년)간 게재된 SCI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모두 12만 8498건이고 이 가운데 한국 논문은 3302건으로 15위를 차지했다. 2.6%의 점유율이다. 미국이 전체의 52.1%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이 영국(14.8%), 독일(11.9%), 중국(11.7%), 프랑스(7.8%), 캐나다(7.5%), 일본(5.2%) 등의 순이다.


한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2004년 1.7%에서 2014년 3.3%로 10년 새 배 가까이 늘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3.5%까지 올랐다 최근 조금 주춤한 상태다. 분야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재료과학(6위)과 화학(8위), 수학(10위), 물리학(13위)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 컴퓨터과학과 미생물학 분야는 전체 논문 수에 비해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각각 2.2%, 0.9%)이 낮다. 대학별(최근 10년)로는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등의 순이다.


최근 SCI급 논문 수는 크게 늘고 있지만 피인용 횟수가 많은, 다시 말해 학술적 가치가 큰 논문의 비중이 아직 많지 않은 건 과제로 남았다. 최근 11년간 한국이 발표한 전체 SCI 논문 실적 중 상위 1%의 고 피인용 논문 비중은 0.78%로 세계 주요국 평균(1%)에 못 미친다.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확대와 국제협력 연구 확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연구재단은 분석했다.


다음은 의과대학 소속 대학병원들 연구력을 조명해주는 자료 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으로 꼽히고 있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5 병원이라는 취지에 걸맞지 않게 특허보유 건수와 기술경쟁력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병원은 모두 정부가 3년마다 평가를 통해 선정하는 국가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향후 심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지식재산 전문기업 윕스(WIPS) 최근 국내 연구중심병원의 국내외 의료특허 등록 현황을 조사한 결과 등록된 의료특허 건수가 3~4 병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 밝혔다. 상위 4 병원의 특허 점유율이 국내 특허에서 84%, 미국 특허에서 85% 차지했다.


국내특허를 보면 서울대병원의 의료특허 건수가 1122(35%) 연구중심병원 가장 많았고, 2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656 / 21%), 3위는 고려대병원(구로·안암, 571 / 18%), 4위는 경북대병원(392 / 12%) 5위는 분당차병원(129 / 4%)이었다.


이어 6 아주대병원(112 / 4%), 7 삼성서울병원(97 / 3%), 8 가천의대 길병원(66 / 2%), 9 서울아산병원(35 / 1%) 순이었다.


미국 의료특허 등록 현황도 대체로 국내와 비슷했다. 서울대병원이 78(46%)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고려대병원(28, 16%), 3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23, 14%), 4위는 경북대병원(13, 8%) 순이었다.


5위는 가천의대 길병원(10, 6%), 6위는 아주대병원(9, 5%), 공동 7위는 분당차병원(3, 2%) 서울아산병원(3, 2%), 9위는 삼성서울병원(2, 1%)이었다.


 


 

IP(지적재산권) 경쟁력 역시 비슷한 양상이었다. 서울대병원은 21 의료기술분야 높은경쟁력을 확보한 분야가 7, ‘중간경쟁력 확보 분야 11개였으며 낮은 경쟁력은 2 분야에 불과했다.


고려대병원은높음’ 3, ‘중간’ 7, ‘낮음’ 5개였고,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높음’ 2, ‘중간’ 13, ‘낮음’ 5개였다.


삼성서울병원은 '인체 또는 표면에 매체를 도입하는 장치' 분야에서만 높은 경쟁력을 보였고, 중간 경쟁력 1 분야, 낮은 경쟁력은 17 분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은 높은 경쟁력을 가진 분야가 전무했고, 중간 경쟁력 1 분야, 나머지 18 분야가 모두 낮은 경쟁력을 보였다.

 


 

  

출처: 중앙일보 헬스 미디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