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5ZUtghMJEyOwn [672153] · MS 2016 · 쪽지

2016-09-26 21:20:53
조회수 465

국어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9239733

시간 되시면 문제 하나 풀어보시고
답과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좀 설명해주세요

지문

(전략)

 그리고 정당화의 맥락에서도 귀납적인 방법으로는 과학적 지식을
정당화할 수 없음을 주장했다. 예를 들어 과학적 법칙으로 사용되
고 있는 (가)'모든 백조는 희다.'라는 명제는 (나)'어떤 백조는 희다.'
라는 명제들이 모여 형성되었으며, '어떤 백조는 흴 것이다.'라는
미래 예측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백조들의 깃털 색깔은
진화에 다르게 변할 수도 있고 흰색이 아닌 백조가 새로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귀납적으로 이 명제를 완전하게 정당화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귀납적 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지적한 후에 포퍼는 그 대
안으로서 반증주의 방법을 제시했다. 반증주의 방법은 포퍼가 과학과
비과학을 나누는 기준으로 제시한 것으로서, 과학적 지식은 [반증]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해야만 하며, 반증되기까지는 과학적 지식은 추측에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바꾸어 이야기를 하면 과학적 지식은 검증 가
능한 명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적 지식에 포함되는 명제들 중 만
약 하나라도 모순이 되는 사례가 발생하면 그 과학적 지식은 더 이상
과학적 지식이 될 수 없게 된다.

(하략)


문제

(가)와 (나)를 이용하여 [반증]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할 때,
<보기>에서 필요한 명제를 모두 찾으시오

<보기>
ㄱ. (나)는 (가)에 포함된다.
ㄴ. (가)가 아니면 (나)도 아니다.
ㄷ. (나)가 아니면 (가)도 아니다.
ㄹ. (나)가 아닌 사례가 충분히 많아야 (가)가 아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호구마 · 632432 · 16/09/26 21:26 · MS 2015

    ㄱ. ㄷ 욤. 맞나용?

  • m5ZUtghMJEyOwn · 672153 · 16/09/26 21:27 · MS 2016

    ㄷ 에 대해서 설명해주실수 있으신가요?
    일단 답은 맞습니다

  • 프로 재수러 · 673610 · 16/09/26 21:31 · MS 2016

    (나)가 아니면 즉시 (가)라는 과학적 지식(모든이란 말이 섞여있죠?)의 모순이 되는 사례가 되서 그런거같아요. 갠적으로 오답선지 근거찾기가 더 빡센듯.......

  • m5ZUtghMJEyOwn · 672153 · 16/09/26 21:45 · MS 2016

    아직도 잘 모르겠네요
    지문에서 명제가 증명되기 전까지는 추측에 머물러야 한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와 (나)를 반증하려 한다는 것에서
    (가), (나)는 아직 증명이 안된 '추측'의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추측'의 단계에 있는 명제를
    반증의 사례, '하나라도 모순이 있으면 과학적 지식이 아니다' 라는 것을 적용하라는 건데,
    '하나라도 모순이 되는 사례'가 (나)에 대한 반례가 될 수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고로, (나)가 틀린 명제라는것이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ㄷ은 틀린 명제이고,
    이 때문에 ㄷ을 이용하여 반례의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호구마 · 632432 · 16/09/26 21:55 · MS 2015

    '하나라도 모순이 되는 사례' > (가)에 대한 반례.

    (나)를 모으는 것 = 어떤 백조(백조1, 백조2 ...)가 희다고 발견하는 것=사실 확인=귀납적 과정의 지속 > 이후 2099년까지 이어지다가 2100 백조진화, 희지 않은 다른백조 확인 ( 단 하나라도) > (가)는 깨짐.
    따라서 포퍼는 이러한 '가능성(진화 등)의 존재'를 지적, 고로 어떤 명제를 '귀납적'으로 정당화 하다는 시도는 불가능, 불완전하단 의견.

  • m5ZUtghMJEyOwn · 672153 · 16/09/26 22:03 · MS 2016

    음.. 그러니까 '모순사례 발견'에서
    (가)가 거짓이라는건 이해하겠는데 (나)가 거짓이 아니라는거죠

    (나)가 거짓이면 (가)도 거짓이라는 것도 알겠습니다
    그런데 (나)가 거짓인지 아닌지를 판별 할 수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판별이 불가능하면 발문에서 하고자 하는 반증의 과정 설명으로
    ㄷ을 함부로 가져올 수 없지 않은가요?

  • 호구마 · 632432 · 16/09/26 22:15 · MS 2015

    (나)가 아니면 (가)가 아님에 동의하시고,
    (나)의 참/거짓 판단 자체를 놓고, '(나)가 아니면' 이라는 언급흘 할 수 없다'라는 걸 지적하시는 거죠?

    //바꾸어 이야기를 하면 과학적 지식은 검증 가

    능한 명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적 지식에 포함되는 명제들 중 만

    약 하나라도 모순이 되는 사례가 발생하면 // 에서,

    [' (나) 어떤 백조는 희다 ' 가 아니다] 이 자체를 새로운 명제 (다)로 설정해 보세요.
    그럼 (다) 이면 (가)가 아니다 라고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 m5ZUtghMJEyOwn · 672153 · 16/09/26 22:31 · MS 2016

    명제 (다)를 '어떤 백조는 희다가 아니다'라 하면
    (다)는 '검증 가능한 명제'이므로 언급이 가능하고,
    (다)이면 (가)가 아니다 가 성립하는데,
    (다)는 발문의 '(나)가 아니면' 에 해당하므로
    ㄷ은 예시로 사용가능하다 가 되네요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프로 재수러 · 673610 · 16/09/26 21:58 · MS 2016

    이렇게보니 정말 어렵네요 ㄷㄷㄷ 오르비 강사님들 소환해야할듯

  • 호구마 · 632432 · 16/09/26 21:43 · MS 2015

    첫째문단 중간, 전 : (나) '어떤(일부)' 백조가 희다. 라는 명제를 귀납적으로 모아서 (가) '모든' 백조는 희다 라는 명제를 정당화 하는 시도.
    중간 이후 : 그러나 (나) 가 아니면 (어떤 백조는 희지 않다) - > (가)도 아님. ('모든' 백조가 흰 건 아님)
    'A 라는 명제를 a=귀납적으로 정당화 한다'는 건 'a=운동장에서 모래를 한 톨 한 톨 줍는 과정을 통해 A=내가 모은 것은 모래이다'를 일반화 하는거고, 이 과정에서 자갈을 주우면,( = (나)가 아니면, =어떤 백조는 희지 않은 사실이 밝혀지면) A 정당화 불가. (반증사례 귀납적으로 확인)

  • 호구마 · 632432 · 16/09/26 21:47 · MS 2015

    쉬운 말을 어렵게 썼네요.
    프로 재수러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 문제는 오답분별하는데에 무게가 있는 듯해요.
    ㄹ은 확실히 아니고, ㄴ선지 판단할 때 ,'반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발문이 원하는 방향이므로 이를 놓치면 ㄴ에 낚일 듯.

  • waterford · 670171 · 16/09/26 21:40 · MS 2016

    ㄱ,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