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칠 [423466] · MS 2012 · 쪽지

2016-03-08 19:44:27
조회수 13,593

[박수칠] 함수 f(x)g(x), f(x)/g(x)의 그래프 개형 (미적분2)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8113793

미적분2에서 미분법의 활용 단원의 문제들은


대부분 함수의 그래프와 연결됩니다.





특정 함수의 그래프 특성을 물어보는 문제도 있고,


접선 문제, 최대·최소 문제, 방정식·부등식 문제를 풀기 위해


그래프를 그려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파악하려면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미적분1처럼 함수의 증가·감소와 극점 파악은 기본이요,


아래로 볼록·위로 볼록과 변곡점, 점근선까지 알아야 하죠.


특히 아래로 볼록·위로 볼록과 변곡점에 대한 조사는


이계도함수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귀찮습니다.





그런데 도함수나 이계도함수를 이용하기 전에


함수식의 특성만으로 그래프 개형을 어느 정도 짐작할 있다면


그래프를 그리거나, 그래프 관련 문제를 상당히 유리하겠죠.





글에서는 함수식이


f(x)g(x) 또는 f(x)/g(x) 꼴로 표현되는 함수에 대하여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거치지 않고 그래프 개형을 파악하는 법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도함수나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지 않고 그래프 개형을 파악하는 과정은


다음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단계함수식으로부터 다음의 요소들을 조사


     우함수, 기함수 같은 그래프의 대칭성


     정의역과 x절편


     y값의 부호


     점근선





  (2)단계: (1)단계에서 찾은  요소들을 좌표평면에 표시





  (3)단계: (2)단계에 표시된 요소들을 곡선으로 부드럽게 이어주기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예가 필요하겠죠?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0 1


     e^x > 0 이므로 y 부호는 x(x-1) 부호와 같음


        구간 (-∞, 0)에서 y > 0, 구간 (0, 1)에서 y < 0, 구간 (1, ∞)에서 y > 0


     x -∞ y 0 이므로 x -∞ 점근선 y = 0


        




        x y 이므로 x 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향함





  (2)단계


    x 위에 x절편을 표시한 다음,

    y 부호에 맞춰 그래프가 지나는 모양을 표시


    점근선의 위치도 y 부호에 맞춰 표시




    



  (3)단계


    (2)단계에서 표시한 요소들을 곡선으로 부드럽게 이음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정도면 비슷하죠? ^^

계속해서 다른 예도 살펴봅시다.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1 2


     (x-2)² ≥ 0 이므로 y 부호는 lnx 부호와 같음


        구간 (0, 1)에서 y < 0, 구간 (1, 2), (2, ∞)에서 y > 0


     x  0+  y  -∞이므로 점근선 x = 0


        x  ∞  y  ∞이므로 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향함





  (2), (3)단계




     




    (함수식에 (x-2)²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프가 x=2 x축에 접함을 예상할 있음)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0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1 2


     y 부호는 x(x-1)(x-2) 부호와 같음


        구간 (-∞, 0)에서 y < 0, 구간 (0, 1)에서 y > 0,


        구간 (1, 2)에서 y < 0, 구간 (2, ∞)에서 y > 0


    ④  -∞  y  -∞이므로 그래프는 왼쪽 아래로 향함

        x  ∞  y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위로 향함

        x  0- -∞이므로 점근선 x=0


        x  0+ 이므로 점근선 x=0




        (분자 차수) ≥ (분모 차수)이므로 분자를 분모로 나누면


        y = x -3 + 2/x 가 되고,


        x  ±∞  2/x  0이므로 y x-3 으로 있음


        따라서 ±∞  점근선 y = x-3





  (2), (3)단계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1 2


     e^x > 0 이므로 y 부호는 (x-1)(x-2) 부호와 같음


        구간 (-∞, 1)에서 y > 0, 구간 (1, 2)에서 y < 0, 구간 (2, ∞)에서 y > 0


     x  -∞  y  ∞이므로 그래프가 왼쪽 위로 향함


        x  ∞  y  0이므로 점근선 y = 0





  (2), (3)단계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2 제외한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1


     y 부호는 (x-2) lnx 부호와 같음


        구간 (0, 1)에서 y > 0, 구간 (1, 2)에서 y < 0, 구간 (2, ∞)에서 y > 0


     x  0+  y  ∞이므로 점근선 x = 0


        x  ∞  y  0이므로 y = 0




  (2), (3)단계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그래프 대칭성 없음


     정의역은 1 제외한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x절편은 2


     y 부호는 (x-2) lnx 부호와 같음


        구간 (0, 1)에서 y > 0, 구간 (1, 2)에서 y < 0, 구간 (2, ∞)에서 y > 0


     x  0+  y  0이므로 x  0+ 그래프가 원점으로 향함


        x  1-  y  ∞이므로 점근선 x = 1


        x  1+  y  -∞이므로 점근선 x = 1


        x  ∞  y  ∞이므로 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향함





  (2), (3)단계




      




위 함수의 실제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간 (0, 1) 변곡점이 존재하지만 개형에서는 확인 불가능)


 








지금까지의 예를 보면 방법이 통하는 같은데


그럴싸한 함수만 예로 들어서 그런 것이지

절대 만능은 아닙니다.





그럼 어떤 함수가 통하는가?


f(x)g(x), f(x)/g(x) 꼴에서 f(x), g(x) 각각이


실수 범위에서 예쁘게 인수분해되는 다항함수

또는 간단한 지수함수, 로그함수여야 합니다.





여기에 맞지 않다면


증가·감소와 극점, 아래로 볼록·위로 볼록과 변곡점을


파악하기 위해 도함수, 이계도함수에 대한 조사가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다항함수 부분이

실수 범위에서 인수분해되지 않으면


x절편과 점근선만으로 극점의 위치를 예상할 수 없습니다.





다음은 함수 의 그래프입니다.








이 함수의 분자 5x²+3x+1 실수 범위에서 인수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x절편, y의 부호, 점근선만으로 그래프 개형을 그린다면

극대, 극소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니 잘 활용하되맹신하지는 마세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반가운이름 · 580251 · 16/03/08 19:46 · MS 2015

    ㅗㅜㅑ
    개꿀 팁 사랑합니다

  • 박수칠 · 423466 · 16/03/08 19:53 · MS 2012

    와 2분만에 첫플!
    감사합니다 ^^

  • 긴짱 · 562951 · 16/03/08 20:33 · MS 2015

    이거 삽자루센세가 기출이랑 해모 해설할때 쓰시던 것이네요 ㅎㅎ 유툽에서 보고 신기해서 배워뒀네요

  • 박수칠 · 423466 · 16/03/08 21:34 · MS 2012

    2014학년도 수능 30번 문제 풀 때 진짜 쓸만하죠~

  • 갓태호 · 590433 · 16/03/08 20:44 · MS 2015

    난만한씨의 곱함수의 그래프 개형이 기억나군요 ㅋㅋ

  • 박수칠 · 423466 · 16/03/08 21:38 · MS 2012

    한완수 최신판도 본문처럼 설명되어 있나요?

    2012년에 나온 한완수 가지고 있는데
    거기서는 f(x), g(x) 각각의 특성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그래프를 그렸던 것 같거든요. (좀 어렵...)

  • 갓태호 · 590433 · 16/03/08 21:58 · MS 2015

    네 지금도 f(x),g(x) 로 각각 나누어서 각각의 특성을 이용하여 간단한 개형을 추론하는식으로 나와있을꺼에요 . 저는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지않고 개형을 추론해보는것에 주목해서 생각난다고 말한듯 ㅎ

  • 박수칠 · 423466 · 16/03/08 22:05 · MS 2012

    아~ 그렇군요.
    좀 어렵긴 하지만 확장성 면에선 한완수에 기술된 방식이 더 좋죠.
    본문의 방식은 x절편이 없으면 망이라... ^^;

  • 제헌이 · 473636 · 16/03/09 00:24 · MS 2013

    t->inf t^2/e^t =0인건 어떻게..아나요??

  • 박수칠 · 423466 · 16/03/09 00:47 · MS 2012

    1. ∞/∞꼴이고 분모·분자가 모두 미분가능하기 때문에 로피탈 정리를 2번 씁니다. 로피탈 정리 적용 결과가 수렴하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2. e^t을 테일러 급수로 전개합니다. 그럼 차수가 무한대인 다항식이기 때문에 위 극한이 0으로 수렴함을 알 수 있습니다.

    3. 고등학교 과정 내에서 설명하려면 세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1) n → ∞일 때 e^n / n² →∞의 증명

    e=1+h로 두면 이항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합니다.

    e^n = (1+h)^n = nC0 + nC1·h + nC2·h² + nC3·h³ + ···
    = 1 + n·h + { n(n-1)/2 }·h² + { n(n-1)(n-2)/6 }·h³ + ···

    e^n / n² = 1/n² + ( 1/n )·h + { (n-1)/2n }·h² + { (n-1)(n-2)/6n }·h³ + ···

    여기서 네 번째 항 때문에 n → ∞일 때 e^n / n² → ∞입니다.

    (2) (1)로부터 n → ∞일 때 n² / e^n →0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2)로부터 x → ∞일 때 x² / e^x →0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제헌이 · 473636 · 16/03/09 03:04 · MS 2013

    ㅎㅎ 이항정리 방법일 것 같았습니다. 미2 내용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ㅡ?
    +1. 에서 로피탈..? 정리 적용 결과가 수렴하면 문제없나요?

  • 박수칠 · 423466 · 16/03/09 08:01 · MS 2012

    이항정리로 보이는 방법 알고 계셨나요?
    전 어떤 분이 이항정리로 증명하는 건 어떻겠냐고
    아이디어 던져줘서 알아낸건데... ㅡㅡa

    로피탈 정리에 대해선 다양하게 찾아봤는데
    '로피탈 정리 적용 후에도 수렴해야 한다'라는 조건까지
    붙이는 것이 가정을 제일 tight하게 적용하는 경우더라구요.
    http://mathworld.wolfram.com/LHospitalsRule.html

    이 이상의 제약 조건이나 반례는 아직 못찾았습니다.

  • 제헌이 · 473636 · 16/03/09 13:30 · MS 2013

    이전에 학생들 가르칠 때, 어디 학원에서 배워왔다고 하더군요 ㅎㅎ
    미적분내용이아니어서 그냥 넘겼었는데..

    로피탈 정리 적용 결과가 0이 아닌 값에 수렴해도 되나요?

  • 박수칠 · 423466 · 16/03/09 15:06 · MS 2012

    그랬군요 ^^;

    로피탈 정리는 적용 후에 0이든, 0이 아니든
    상수로 수렴하기만 하면 문제 없습니다.

    lim_(x→∞) { (x+sinx) / x } 처럼
    분모·분자 미분 후 발산하면 로피탈 정리를 적용할 수 없구요.

  • SNU9707 · 605419 · 16/03/09 12:07 · MS 2015

    대칭성의 유무는 어떻게확인하나요..?

  • 박수칠 · 423466 · 16/03/09 12:39 · MS 2012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1) f(-x)=f(x)가 성립하면 y축에 대해 대칭 (우함수)
    (2) f(-x)=-f(x)가 성립하면 원점에 대해 대칭 (기함수)
    (3) f(a-x)=f(a+x)가 성립하면 직선 x=a에 대해 대칭
    (4) f(a-x)=-f(a+x)가 성립하면 점 (a, 0)에 대해 대칭
    등이 있습니다.

    그래프 그릴 땐
    (1), (2)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걸로 충분하구요.

  • 우진쌤삑사리 · 569401 · 16/03/09 13:15 · MS 2015

    헐 개꿀... 감사합니드..♡

  • 박수칠 · 423466 · 16/03/09 15:08 · MS 2012

    저도 감사드리고,
    꼭 써먹을 기회가 왔으면 좋겠네요~ ^^

  • 지으니미니스이 · 560799 · 16/03/10 07:34 · MS 2015

    이관데 박수칠 미적12둘다샀는데 미적1은 어느정도 깊이로 하면될까요 ?기본문제위주로하고 수능모위기출까지는풀지말까요?

  • 박수칠 · 423466 · 16/03/10 08:59 · MS 2012

    최소로 잡아도 본교재에 실린 기출은 모두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직접 출제 범위는 아니지만 발상이나 해법이 미적분2와 연결되니까요.

    최대로 잡으면 여기( http://orbi.kr/0005897498 )에 있는
    부교재 연습문제까지 다 푸는 거구요.

    아울러 정오표도 꼭 참고해주시구요.

    교재 구입 감사드리고,
    오류/오타 때문에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