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동 [153577] · MS 2006 (수정됨) · 쪽지

2022-11-18 04:36:27
조회수 10,883

2023학년도 수능 영어 총평by 신동훈T(+리플릿)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59511764

(2.1M) [305]

2024학년도 신동훈T 리플릿 인터넷 업로드용.pdf

안녕하세요. 대치동에서 수능 영어 가르치고 있는 신동훈 강사입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수능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올해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진심으로 기원하겠습니다.


■ 총평

소신 발언을 하자면 언론에서 (혹은 학생들은) 어려운 시험이었다고 이야기를 많이 할 것 같지만 시험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봤을 때 평이한 시험이었습니다.


킬러 문제(34, 37)의 난이도는 매우 높았으나 준킬러 문제들은 평이하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평가원 시험들에 비해서 시간 압박이 덜했을 것입니다. (1등급 비율이 16%일 만큼 역대급으로 쉬웠던 올해 9월 영어와 비교는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킬러 문제(34, 37번 총 6”)의 난이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의 숫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꾸준히그리고 열심히영어 공부를 해온 학생들은 90 중반의 점수를 받기 상대적으로 수월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영어 공부의 효율성을 추구한 학생들의 경우 89점의 함정에 많이 걸렸을 것 같습니다

ex) 오답률이 가장 높은 문제들인 빈칸 1문제(34), 순서 1문제(37), 삽입 1문제(39), 어법 1문제(29)를 틀리면 귀신 같이 89이 나옵니다...(절대평가 영어에서 딜레마 같은 부분이죠....)


1등급 비율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2등급 비율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쉽게 1등급을 놓친 학생들도 많을 것이고, 준킬러 문제들이 평이했기 때문에 영어 기반이 조금은 부족하더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영어 공부를 한 학생들은 충분히 2등급을 쟁취해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영어 공부를 해온 상황이 아니라면 2등급 진입 역시 쉽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아는 단어낯선 의미가 발목을 많이 잡았을 것입니다.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되면서 1~2등급 구분을 짓고 싶은 만큼 2~3등급의 경계도 확실하게 나누고 싶어하는 평가원의 의도가 엿보입니다.


■ 문항별 분석(준킬러 파트)

□ 듣기(1~17) : 기존의 시험과 다르게 듣기에서 어려움을 겪은 학생들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기존의 평가원 시험에서는 정답률 90% 미만 듣기 문제가 거의 없는데 이번에는 정답률 80% 언저리의 문제가 3문제나 존재합니다. 평가원에서 집중력 지속 기간이 짧은 요즘 학생들의 약점을 철저히 공략한 것 같습니다.

9(77%) : 내용 일치를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문제

10(83%) : 내가 좋아하는 것 VS 내가 원치 않는 것 정확하게 구분해야 하는 문제

13(81%) : 성급함을 주의해야 하는 문제 (3번 선지도 그럴듯 하지만 4번 선지가 정답! 끝까지 집중하지 않았으면 틀릴 수 있는 문제


□ 기본유형(18~20, 25~28, 43~45) : 대체적으로 평이하게 출제 되었으나 20번을 주목해봐야 합니다.

20(80%) : suboptimal라는 영어 단어를 차선의라고 각주로 뜻을 줬지만 최선의라는 뜻과 혼동한 학생들이 일부 존재했던 것 같습니다. (한국어 어휘력 역시 공부의 범위입니다.)


□ 대의파악(21~24, 40~42) : 지문이 쉽게 읽히는 편은 아니었지만 지문에서 대략적으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는 파악하기 수월했습니다. 다만, 정답 선지의 어휘력이 결정적이었을 것 같습니다

21(68%) : 쉬운 21번 / reflect “반영하다라는 뜻 뿐만 아니라 성찰하다라는 뜻인 것을 아는지?

22(78%) : 무난한 난이도

23(69%) : 무난한 난이도 / publicize “공개하다라는 뜻인 것을 아는지?

24(78%) : 무난한 난이도

40(76%) : 쉬운 난이도

41~42(57%, 62%) : 무난한 난이도


■ 문항별 분석(킬러 파트)

□ 어법어휘(29~30) : 가뜩이나 효율성이 중요한 영어 학습 환경에서 어법의 디테일한 포인트를 물어봤기 때문에 오답률이 높았을 것 같습니다. (어법 문제를 굳이 이렇게 디테일하게 출제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 오답률 TOP3 29(40%) : 문법의 중요 포인트를 출제한 것이 아니라 재귀대명사라는 조금은 구석진 테마를 출제하였습니다. 출제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 의문사한 친구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89점을 만드는데 어법 문제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30(59%) : adapt라는 단어가 적응하다라는 뜻 뿐만 아니라 “change”라는 뉘앙스를 가진 것을 아는지?


□ 빈칸(31~34) : 34번에서 엄청난 힘을 주고 나머지는 무난한 난이도로 출제되었습니다.

31(47%) : 정확한 근거를 잡지 않고 대충 + / - 뉘앙스로 풀었으면 틀리기 쉬운 문제.

32(69%) : 쉬운 빈칸

33(47%) : 선지를 구별하는 능력이 중요한 문제. (1번과 3번이 헷갈렸을 수 있음. 2번 찍은 친구들은 잘 모르겠음...)

★ 오답률 TOP1 34(21%) 최고난도 빈칸 문제 / 소거법으로 푸는 것 외에는 현실적으로 방법이 없을 듯합니다... 실전에서 정답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을 문제...


□ 간접쓰기(36~39) : 최근 변화한 간접쓰기의 트렌드를 여실히 보여주는 문제들이었습니다. 간접쓰기 유형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너무나 절실합니다.

36(61%) : 쉬운 순서

★ 오답률 TOP2 37(33%) : 최고난도 순서 문제 / 순서 문제 풀이에 대한 일관된 원칙이 매우 중요그냥 읽고 그냥 풀었으면 틀리기 쉬운 문제.

38(55%) : 쉬운 삽입 / 박스 안의 단서로 쉽게 풀 수 있음.

39(56%) : 최고난도 삽입 문제 / 대략적인 느낌으로 풀 수 있어서 정답률은 생각보다 높지만 문제 풀이의 단서가 부족해서 채점할 때까지 답을 확신하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 정답률은 메가스터디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입시에서 영어가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영어라는 과목을 챙겨야 한다면


결론은 꾸준히 하면 됩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수능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ommon tangent · 777376 · 22/11/18 05:24 · MS 2017

    짝수형 34번문제 5353535353535353 계속 고민하다 3 갔는데 틀렸네요 ㅠㅠ 그래두 95맞아서 만족힙니다 ㅎㅎ

  • 신동동 · 153577 · 22/11/18 13:27 · MS 2006

    이번 짝수형에 그런 비밀이 있었군요...ㅎㅎㅎ 시험장에서 멘탈 잡기 쉽지 않으셨겠습니다. 1등급 축하드리고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빌겠습니다.^^

  • 서울대엥아니 · 1089272 · 22/11/18 06:30 · MS 2021

    아무래도 듣기에서 영향을 많이받은거 같아용..ㅠㅠ

  • 신동동 · 153577 · 22/11/18 13:28 · MS 2006

    평가원에서 듣기를 이렇게 노리고 낸 적이 없었는데... 듣기 속도도 그렇고 문제의 함정 포인트들도 작정한 것 같네요... 고생많으셨습니다^^

  • 2등급 판독기 · 1058628 · 22/11/18 06:53 · MS 2021

    34번이 it is not that과 it is that의 병렬 비교 구조로 나와서 많이들 풀 거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많이 틀렸네요 의외였습니다.

  • 신동동 · 153577 · 22/11/18 13:29 · MS 2006

    그냥 딱 답만 고르겠다고 들어갔으면 조금은 수월했겠으나 전체적인 시험 상황에서는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34번은 학생들 입장에서 정말 어려웠겠더라구요...

  • 나조코비 · 892930 · 22/11/18 07:05 · MS 2019

    저 맨날 80점대이다가 수능에서 처음으로 95점 맞았어요

  • 신동동 · 153577 · 22/11/18 13:31 · MS 2006

    축하드립니다^^ 어차피 수능 점수만 기억하는거 아니겠습니까ㅎㅎㅎ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