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김 [645324] · MS 2016 · 쪽지

2016-07-20 23:50:11
조회수 3,115

기공학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8793031

오랜만에 들어왔더니 기공으로 한의대 태그가 핫하군요..
기공이라는 게, 기(氣)라는 단어가 들어가니 무언가 굉장히 형이상학적이고 뜬구름 잡는 소리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기공 자체는 그런 게 아닙니다.
기공에는 크게 조심(調心), 조식(調息), 조신(調身)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한자로 써 놓으니 그럴듯한데 풀어서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조심(調心) : 심리활동의 조절. 쉽게 이야기하면 명상입니다.
조식(調息) : 호흡운동의 조절. 역시 넓은 의미의 명상에 포함됩니다.
조신(調身) : 신체의 자세와 동작 조절. 운동의 개념에 포함됩니다. [1]

그러니까 정리하면 기공이라는 것은 스스로 정신과 신체를 단련시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굳이 기(氣)라는 단어가 들어가느냐? 이것은 단순히 과거 동양사상의 영향입니다. 옛날 사람들도 명상하고 운동하니 몸이 좋아지는 건 알겠는데, 그게 "왜" 좋아지는가. 그걸 과거에는 '기'때문이라고 생각한 거죠. 그래서 명칭도 '기공'으로 붙인 것이고요.

어쨌든, 기공 이야기가 나왔으니 몇 마디 더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기공을 '명상'과 '운동'으로 인식해 본다면, 이게 효과가 없을 이유가 없습니다. 양방에서도 뇌졸중이나 기타 질환으로 운동능력에 손상을 입었거나 상실되었을 때 재활치료 중 하나로 운동치료-보바스 같은 것들-가 사용되는데, 그것과 별다를 게 없는거죠.

여기에 한 가지 더 추가되는 게 있다면, 앞서도 언급했듯이 기공이라는 게 운동치료뿐만이 아니라 명상의 개념도 포함하고 있는 만큼, 정신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고요.

특히 기공 중에 연구가 가장 많이 된 건 태극권(Tai Chi)이라는 건데(PubMed에 Tai Chi라고 검색하면 연구들도 꽤 많이 뜹니다), 2012년에는 태극권을 이용한 치료가 파킨슨 환자의 자세 안정성을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RCT 연구가 NEJM에 실리기도 했습니다.[2] 또, 균형감각과 낙상 예방에도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고요.[3]

위와 같이 태극권에 대해 연구한 여러 RCT나 SR 논문들을 모아서, 미국 재향군인원호부라는 기관에서 다시 한번 체계적 문헌 고찰을 한 적이 있는데, 해당 연구에서는 태극권이 고혈압, 낙상, 인지, 관절염, COPD, 통증, 몸의 균형, 우울, 근력 등에 효과적이라고 결론내린 바 있습니다.(물론 포함된 연구의 질이 낮은 경우가 있어 이 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다는 제한점이 붙긴 했지만 말입니다)[4]

뭐 어쨌든....슬슬 글 마무리를 해야겠네요.
기공이라는 게, 딱히 뜬구름 잡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냥 명상+운동치료라고 생각하면 되실 거 같습니다.

1. 안현국 외 2인. 기공양생과 노인보건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177-187.
2. Fuzhong Li. et al. Tai Chi and Postural Stabilit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 Engl J Med. 2012;366:511-519.
3. Gao Qao. et al. Effects of Tai Chi on balance and fall prevention in Parkinson's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4 Feb; 28(8):748-753.
4. Hempel S. et al. Evidence Map of Tai Chi. Washington (DC):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US); 2014.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5년 응애 · 453954 · 16/07/20 23:52 · MS 2013

    자기가 태극권하고 돈 받는 한의사는 ㅈ살충동 안 오나

  • 하늬사 · 625503 · 16/07/20 23:59 · MS 2015
    블라인드 처리된 댓글입니다.
    -
  • 95년 응애 · 453954 · 16/07/21 00:04 · MS 2013

    그래서 내가 수식어로 잘 붙여놨음 흥분 ㄴㄴ

  • 하늬사 · 625503 · 16/07/21 00:11 · MS 2015

  • 둥근하늘 · 682051 · 16/08/23 00:09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둥근하늘 · 682051 · 16/08/22 23:50 · MS 2016

    오르비 정말 ##이네요.
    학생들의 표현할 자유는 있지만..
    그래도 태그를 넣고 쓰는 글은.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은 생각안하시는지..
    그리고 이곳이 ..제대로 배워서 이 땅을 이끌고 가야할 학생들의 공간이라면 더욱더..

    한의학을 사랑하고 서양의학을 사랑하는 많은 분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줄 것 같아 부족하지만.. 글을 올립니다.
    국제 통합암센터에서 의료기공은 가장 기본적으로 통용되어지는 세계가 인정하는 치료랍니다.
    그리고
    서양의학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에너지 세라피 , 접촉치료라고 해서 합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치료이기도 하구요
    세계가 다 인정하는 치료를 기공하면 ~~ . 기 = 장풍이라고 보고 장풍쏜다라고 말하고 다니는 무식한 놈들도 있던데..
    ㅎㅎ
    통합의학의 시대에 통합의학을 추구하는 의료인로서 가히 한심할 따름입니다.

    세계의학의 흐름에서 보면 ~~ 우리나라가 얼마나 환자들의 입장에서 협진이 되어지지않는 후진적인 의료를 하고 있는지..
    서로 밥그릇 싸움 할것이아니라
    자기가 모르는 부분은 배우려고하는 자세가 학자의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얼마전 kbs에서 방영된 동의보감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어찌 된것이 한의학의 근원지인 우리나라보다 더
    서양의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협진하고..또 열린 마음으로 공부해 가는지
    정말 부러운 환경이었습니다.

    동쪽에서 동쪽을 보면 동쪽이 잘 안보인답니다.
    서쪽에서 동쪽을 봐야지만 잘 보이는 법이지요.
    내가 아는 지식이 전부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늘 염두하고.. 공부해 같으면 합니다.

    앞으로의 시대는 T자형 인재가 아닌 A자형 인재가 필요한 시점이랍니다.
    내가 아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타인의 학문을 무시하면..
    그리고 동양의학이던 서양의학이던 의학에는 장.단점이 있답니다.
    그리고 참고로
    정형추나에는 정골추나, 경근추나, 도인추나가 있답니다.

    도인이라는 개념은 최근에 일반에게 많이 알려진 기공과 같은 개념이구요
    즉 도인추나는 기공추나와 같은 용어로 사용되어지고 있답니다.
    단지, 어느 나라에서 통용되어 사용하느냐에 따라 용어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요.

    도인추나에 대한 논문이 나와 있으니 꼭 찾아보세요.
    그리고 기공추나역시 많은 논문들이 있답니다.
    제발 우리나라만 보시지 마시고 세계의학의 흐름을 보시길 바랍니다.

    도인은 호흡과 운동을 표현하는 말이고

    기공은

    기를 단련하여 생명력을 높이는 말로 인식 할 수 있습니다.

    즉, 도인은

    인체 생리적 현상을 강조한 표현이고

    기공은

    체내에서의 기 활용에 촛점을 두어 표현한 말이지만

    결국 같은 내용이라 할 수 있답니다

    도인(導引)의 도(導)는

    드릴 導로 숨을 쉬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고

    인은 잡아드릴 인으로 운동과 관련되어지구요.


    인이란 인체내의 굴신작용을 뜻하는 것입니다.

    본래 골과 인대는

    인체의 동작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골과 골을 연결하는 인대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인체의 동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신축작용은 곧 생명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동시에 성장시키는데 중요한 소인이 된다.

    인체의 성장은

    호흡과 체내의 기혈을 활발히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굴신작용은

    기혈을 순환을 촉진시킨다.

    인은 곧 인체내의 기혈의 촉진을 돕는다는 의미가 되는것이다.




    도인의 도는 드릴 도로 숨을 쉬는 것을 말하고,

    인은 잡아드릴 인으로 운동과 관련이 있다.
    (동의 재활의학과학)

  • 둥근하늘 · 682051 · 16/08/22 23:50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감귤미나 · 564618 · 16/07/20 23:55 · MS 2015

    어차피 이렇게 상세하게 써 주셔도
    누군가에겐 그냥 빼애액 무당!이럽니다

  • 하늬사 · 625503 · 16/07/21 00:03 · MS 2015
    블라인드 처리된 댓글입니다.
    -
  • 감귤미나 · 564618 · 16/07/21 00:06 · MS 2015

    저희학교도 진작에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서 듣도보도 못했는데ㅠ

  • 둥근하늘 · 682051 · 16/08/22 22:20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둥근하늘 · 682051 · 16/08/23 00:02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둥근하늘 · 682051 · 16/08/23 00:05 · MS 2016

    자랑아닙니다. 거의 모든 한의과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답니다. 의료인의 심신수양으로서의 기공수련은 중요하답니다. 열공하세요^^

  • 둥근하늘 · 682051 · 16/08/23 00:07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