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섭] [605020] · MS 2015 · 쪽지

2016-05-18 12:11:25
조회수 6,053

[염태섭] 영어, 최소한 1-2분은 시간 단축시켜드릴게요.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8440160

[염태섭] - 영어, 최소한 1-2분은 시간 단축 시켜드릴게요.

 

 

반갑습니다. 오르비 및 이곳저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어 강사 염태섭(색시한)입니다.

 

오늘은 다름이 아니라,6평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여러분들에게 Tip하나를 전해드리려고 칼럼을 작성합니다.

  

글이 상당히 기니까 선-좋아요 후-감상 부탁드립니다. 

ㅎㅎㅎㅎ 천천히 읽어보세요.~


이 독해 방법을 알고 있으신 분들은 그냥 지나치시면 되고, 혹시나 모르고 있는 학생들은 글 한번 읽고 팁 하나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독해시간을 1-2 분 정도는 단축시켜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여러분 보통 영어 선생님들이, 부연 설명.. 이건 사례 자나!! 읽을 필요가 없다고!!! 라고 한 적이 많이 있죠??.. 근데 우리는 문제 풀다가 어느 순간 멘붕에 빠집니다.

 

어느 문제를 보면 사례를 통해서 정답을 도출하는 것이 있고,

 

어느 문제에서는, 선택지를 보면서 이 예시는 사례 자나!! 그래서 정답이 안 돼!! 라고 설명을 하십니다.

 

 

제가 전해드릴 팁은, 여러분들이 무시해도 되는 사례, 무시하면 안 되는 사례입니다.

 

글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어서 오늘은 무시해도 되는 사례에 대해서 쓰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칼럼은 무시하면 안 되는 사례에 대해서 작성해보려 합니다..

 

       

 

1. 사례 2가지가 있는데, 2번 사례가 1번 사례의 내용이랑 비슷한 사례.

내용이 어려워도 앞 문장이랑 같은 내용이니 무시하고 까고 시원하게 넘어가면 됩니다.

 

 

* 다음 글을 읽고, 무시해도 되는 사례를 고르시오.(주관식)

* 문제를 푸시오(주제 문제)

 

A certain kind of humor depends on the juxtaposition of two contrasting ideas or feelings. Because of the various dimensions of oral language, a storyteller can convey such contrasting ideas and feelings simultaneously with different elements of oral expression. Imagine a humorous story about parachute jumping. If a character says, “Yes, I’m ready to jump,” while walking backwards away from the supposed jump door, he is expressing a willingness to perform a scary action through one dimension of oral language (words), and unwilling fear through another (movement). Or suppose a character is on the phone with her mother, whom she does not want to visit. As she says with a pained tone, “I am so sorry I can’t come to see you,” she wipes her brow in an exaggerated gesture of relief. The strong,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ese two contrasting attitudes creates a humorous effect. *juxtaposition 병치, 병렬

More Talent, More Jokes

Humor Through Contrasts

The Variety of Expressions

Do’s and Don’ts in Wordplay

Contrasting Ideas Make Juxtaposition Possible

 

 

 





 

---------------------------------------------------

 

문제 풀이

 

A certain kind of humor depends on the juxtaposition of two contrasting ideas or feelings. 주장 1

 

Because of the various dimensions of oral language, a storyteller can convey such contrasting ideas and feelings simultaneously with different elements of oral expression. 부연

 

Imagine a humorous story about parachute jumping. If a character says, “Yes, I’m ready to jump,” while walking backwards away from the supposed jump door, he is expressing a willingness to perform a scary action through one dimension of oral language (words), and unwilling fear through another (movement).

구체적 사례 

 

Or suppose a character is on the phone with her mother, whom she does not want to visit. As she says with a pained tone, “I am so sorry I can’t come to see you,” she wipes her brow in an exaggerated gesture of relief.

구체적 사례 2

 

 

The strong,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ese two contrasting attitudes creates a humorous effect. (주장 2)

 

 

Humor Through Contrasts

 

 

일단 : 주장 1, 주장 2 종합하면 그게 주제임.

 

 

여기서 구체적 사례 2는 무조건 쌩까도 됩니다. 왜냐? 구체적 사례 1랑 정확히 똑같은 내용이기 때문이죠. 읽어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반대로 내가 만약 구체적 사례1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구체적 사례 2를 이해했다. 그러면 서로 비슷함만 문맥적으로 느꼈다면 시원하게 넘어가면 됩니다. 어감의 비슷함만 느끼셨다면 시원하게 넘어가주세요.

 

구체적 사례1이랑, 구체적 사례2는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이죠. 글의 내용이 전환되지 않는 이상 사례의 내용이 갑자기 바뀌는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

 

그리고 구체적 사례1,2는 모두 주장 1’을 받는 내용임을 이해했다면 사례 따위는 한 번 빨리 읽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다만 주장1을 이해 못했다면 사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을 확률이 높음. 그래서 주장에 대한 해석은 완벽하게 하면 할수록 지문을 이해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구체적 사례 2를 이해했다면, 이를 토대로 구체적 사례1이 전달하려는 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는 구체적 사례1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 사례 2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례는 주장(첫 문장= 위 문제에서는 첫 문장이지만, 모든 첫 문장이 주장 문장은 아님)’ 의 부연 설명임을 이해한다면 모두 이해할 수 있구요.

 

 

예를 들어 사례1을 볼게요.

 

 

Imagine a humorous story about parachute jumping. If a character says, “Yes, I’m ready to jump,” while walking backwards away from the supposed jump door, he is expressing a willingness to perform a scary action through one dimension of oral language (words), and unwilling fear through another (movement).

 

여기서 he is expressing a willingness to perform a scary action through one dimension of oral language (words), and unwilling fear through another (movement).를 주목해주세요. 직역해보면 말이 무슨 말인지 살짝 헷갈릴 수도 있으나 이 두 가지가 전달하려는 것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주장을 봐주세요.

 

two contrasting ideas입니다.

1. words

2. movement

 

two contrasting ideas

 

이해가 조금 가시나요?

 

 

-----------------------------------------------------------------------

 

 

다음은 여러분들이 스스로 풀어보세요~

 

 

** 다음 글을 읽으면서, 무시해도 되는 사례를 찾아보시오. (주관식)

 

** 밑줄 친 문장의 문맥적 의미를 서술하시오.(주관식)

 

** 사례가 아닌 일반적으로 필자가 전달하려는 주장도 모두 골라보시오.(둘 다 댓글로요)

Some people, in saying thanks, actually end up making the giver feel as if he or she did something wrong or inappropriate. One I’ll never forget is: “Thanks for the cake. Although I’m allergic to chocolate, I took my medicine and hoped for the best.” Even something as “polite” as “Oh, you shouldn’t have done this,” or “I feel terrible that you went to so much trouble” can send a mixed message. It’s fine, however, to acknowledge that someone went to considerable effort. Just keep the focus on .________________ For example, instead of “Oh, you shouldn’t have,” say, “I know how hard you must have worked on this lovely afghan. It will always be special to me.”

 

What if you really hate the gift, or just have no use for it? For example, what if a colleague presents you with a gift for the holiday, say a scarf, but the scarf is not your style and you can’t imagine actually wearing it? Or you already have floral arrangements all perfectly arranged when someone shows up for your dinner party with a bouquet in hand? In such cases, try to concentrate on the motivation, and focus the thanks around the thoughtfulness of the gesture rather than the item itself. Don’t let the giver know that you are less than thrilled with the gift. Instead, focus on the act of giving and thank the person for his or her thoughtfulness.

 

위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Honesty Beats All

Say Sorry and Mean It

Receive Gifts Graciously

Economics of Gift Giving

What Makes Your Gift Special

 

위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your mood

the positive

being objective

the practical value

the opportunity cost

 

 

문제도 한 번 풀어보세요~~!

 

 

무시해도 되는 사례의 정답은

 

what if a colleague presents you with a gift for the holiday, say a scarf, but the scarf is not your style and you can’t imagine actually wearing it?

 

Or you already have floral arrangements all perfectly arranged when someone shows up for your dinner party with a bouquet in hand?

 

둘 중 하나만 이해하면, 나머지 하나는 무시해도 됩니다. 반대로 둘 중 하나를 이해 못했다면 하나를 이해하고 나머지 하나를 이해해보세요,

 

----------------------------------------------------------------------

 

Q : 혹시나 만약에 두 가지 사례 모두를 이해하지 못했다면 어찌하나요..?

 

 

글에서 사례를 받는 주장을 찾으세요.

 

주장을 이해했다면, 사례는 주장을 통해 이해사시면 됩니다.

 

그 다음 문장을 보면 여기

 

try to concentrate on the motivation, and focus the thanks around the thoughtfulness of the gesture rather than the item itself. 라는 말이 있죠?

 

이 글이 전하려는 주장입니다.

 

아이템 그 자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그 사람의 동기, 행동에 감사함을 느끼라고 합니다.

 

고러면 이거를 토대로 해서 사례를 이해해보세요.

 

 

Or you already have floral arrangements all perfectly arranged when someone shows up for your dinner party with a bouquet in hand?

(이미 내가 꽃 장식 다 해놨는데, 쓸데없는 부케 가져옴..)

-> 아이템에 집중한 사례

 

what if a colleague presents you with a gift for the holiday, say a scarf, but the scarf is not your style and you can’t imagine actually wearing it?

 

(필요없는 scarf 사옴.. )

 

-> 아이템에 집중한 사례

 

위 글의 주장은 .......아이템에 집중하지 말라매...

 

 

사례는 정확히 이 내용을 받고 있습니다.

 

-----------------------------------------------------------------------

 

 

 

결론 : 같은 맥락에서의 사례라면 둘 중 하나는 무시해도 상관없다.

 

나열되는 사례 2가지 모두를 이해하지 못했다하더라도, 글에 이와 관련된 주장을 읽으면서

사례를 이해하면 된다. 사례에 어려운 내용이 나오든 미친 난이도의 어휘가 나오든 주장을 이해했다면, 단어 한 두 개는 몰라도 문맥적으로 전달하려는 바를 거의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사례에서 쓸떼 없이 시간낭비 하지말자!!

 

글의 논리적인 흐름은 반드시 유지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면, 여러분이 번역하지 못한 문장의 의미도 파악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어휘력과 구문독해력은 최대한 많이 훈련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글에 대한 이해는 단어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합니다. 단어를 쌩판 모르고 글의 문맥을 추론하는 거랑, 단어의 의미를 알면서

 

글의 문맥을 추론하는 속도는 차원이 다릅니다.

 

1등급 필수 어휘는, 한 지문에 모르는 단어가 0-2개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번역을 더 정확하게 할수록, 독해(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더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다면 좋아요 ㄱㄱ!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염태섭] · 605020 · 16/05/18 12:16 · MS 2015

    좋아요는 글을쓰는 원동력입니다.~!

    질문은 댓글로 ㅎㅎ

    오늘더 더워 죽겠는데 고생 많습니다. 오르비 후배님들

  • 김재하 · 518558 · 16/05/18 18:11 · MS 2014

    선생님 영어를 읽을 때 의미단위로 끊어 읽으라는게 무슨말이죠?

    그리고 학원선생님이 우린 외국인이아니라서 속으로 한글로 번역하면서 읽으라는데...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면 안좋은건가요? 공부방향 이 흔들려서 질문드립니다

  • [염태섭] · 605020 · 16/05/18 19:06 · MS 2015

    해석을 어떻게 하시나요??

    1. 구문인강을 통한 끊어읽기

    2. 그냥 읽는다.(외국 유학 다녀온 학생)

    -----------------------------------------------

    우선 저는

    1번 방식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우선 선생님이 의미 단위로 끊어 읽으라는게 무엇이냐면

    1. the book is on the table

    만약에 여기서 the book is on / the table
    ( 책은 있다 위에) / 테이블)

    이렇게는 의미단위가 형성이 안대졍??

    그래서 the book / is / on the table
    책은 있다 테이블 위에

    이렇게 의미를 형성하는 단위로 끊어읽으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능 영어 고난도 지문은 한글로 번역하면서 읽어도 뭔 소린지 모를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문맥을 읽는 독해를 해야하는 것이구요. 번역(구문독해)는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번역의 기준은 문장의 주어 동사 수식어구를 정확하게 나누어서 오역없이 해석하는 것입니다.

    ----------------------------------------------------------------------------------------------------------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인다

  • 김재하 · 518558 · 16/05/18 19:55 · MS 2014

    수특지문
    As a dancer, you can look at your maturity in constructive ways
    제가 해석할때 속으로 영어를 읽어요

    에서 댄서/ 유캔 룩 엣 유얼 메춰리티 /인 컨트럭티브 웨이즈 
    머리속에는 어떠한방법으로 성숙함을 볼수있구나

    학원선생님 해석
    댄서로서/너는 볼수있다 너의 성숙함을/건설적인 방식으로

    저는 속으로 영어를 말하면서 독해하고요
    지문 내용을 완전히 파악 못해도 답이나오는 포크파입니다..

    이상하게 답은 맞는데 해설지 보면 내용이 조금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시험이 조금만 어렵게 나와도 영어가 붕떠서 무슨말인지 아에 모르겠고요

    선생님께서는 속으로 한글을 말하면서 독해하라는데..
    저는 문장구조가 복잡하고 이상한 전치사 같은게 들어있으면 거기서부터 사고가 막히더라고요

    영어를 영어로 이해할땐 유연하게 대처해서 조금이라도 파악할수있었는데 말이죠 ..

    그리고 영어를 영어로 이해할땐 지문당 50초 걸리는데 속으로 번역하면 70초 걸리더라고요
    그래서 많이 혼동이 됩니다. 속으로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읽어야할지
    아니면 영어를 영어로 발음하면서 읽어야할지

  • 표현 · 574779 · 16/05/18 22:03 · MS 2015

    와 저랑 완전 똑같은 방법으로 하시고 똑같은 고민하시네요.. 저도 궁금해요

  • 오지훈 · 579691 · 16/05/18 22:14 · MS 2015

    저만 이생각 하는줄..

  • 달을 사랑한 詩人 · 622521 · 16/05/18 23:30 · MS 2015

    저도 이렇게 하는데...이 분보다는 속도가 느린건 비밀

  • wav6P1H8kWuKpB · 584919 · 16/05/19 00:13 · MS 2015

    ㅇㄹㅇ...

  • xmcQLK2TzvCRPd · 632668 · 16/05/19 00:52 · MS 2015

    ㅇㄹㅇ

  • 17경대의대생 · 614943 · 16/05/19 07:56 · MS 2015

    ㅇㄹㅇ

  • [염태섭] · 605020 · 16/05/19 10:17 · MS 2015

    1. 지금 전반적으로 영어를 영어로 이해하거나,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해야하는지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문제점은 단 2가지입니다.

    1. 구문 번역을 못한다.(영어를 영어로 이해한다고 했지만, 수식어구 문장구조가 복잡해지면 해석을 못한다고 했는데..이건 구문분석력이 부족한거지 영어를 영어로 한국어로 이해하지 못해서 이런일이 발생한게 아님)

    -> 따라서 구문 심화 강의 수강 필요하다고 생각..


    2. 가끔 가다 문제를 풀다보면 직역을 해도, 구문독해를 해도 뭔 개소린지 이해가 안가는 것이 있다. 여기서 바로 문맥 독해를 시작해야한다. 모든 문장의 의미는 문맥속에서만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보자.


    Accelerating beyond my strolling speed completely changes the experience of walking, because the transition to a faster walk brings about a sharp deterioration in my ability to think coherently. As I speed up, my attention is drawn with increasing frequency to the experience of walking and to the deliberate maintenance of the faster pace. My ability to bring a train of thought to a conclusion is [enhanced/impared] accordingly. At the highest speed I can ustain on the hills, about 14 minutes for a mile, I do not even try to think of anything els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effort of moving my body rapidly along the path, a mental effort of self-control is needed to resist the urge to slow down. Self-control and deliberate thought apparently draw on the same limited budget of effort.




    여기서 두 문장이 문맥속에서 가지는 의미를 서술하시오

    As I speed up, my attention is drawn with increasing frequency to the experience of walking and to the deliberate maintenance of the faster pac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effort of moving my body rapidly along the path, a mental effort of self-control is needed to resist the urge to slow down.


    이거에 대한 답글 ㄱㄱ. ( 번역 + 그리고 문맥적 의미)

    둘 다 써주시겠어용?

    그 다음에 설명 들어갑니당

  • 김재하 · 518558 · 16/05/19 14:26 · MS 2014

    방금중앙봤는데 전한국인아네요 속으로 번역하는속도를높여야겠네요 ... 중앙 듣기음질하..... 소방차도하..

  • [염태섭] · 605020 · 16/05/19 17:36 · MS 2015

    멘탈 챙기기~

  • 김재하 · 518558 · 16/05/19 17:44 · MS 2014

    선생님 께서는 속으로 한국어로 바꿔가면서 하시나요??  빈칸 문삽에서는 외국인 따라하다 애국지사 되겠네요

  • 로꼬츄 · 560799 · 16/05/19 09:46 · MS 2015

    2번을 외국유학같다온사람만 할수있다는건 잘못된 생각같습니다.

  • [염태섭] · 605020 · 16/05/19 10:18 · MS 2015

    유학 다녀온 학생이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의미요^^;

    유학 안 다녀와도 가능해요~

  • [염태섭] · 605020 · 16/05/19 10:19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연이봄 · 641695 · 16/05/18 21:01 · MS 2016

    밑에 문제답이 3번 2번 인가요??

  • [염태섭] · 605020 · 16/05/19 09:55 · MS 2015

    차례대로 2,3,2 요우!

  • 흥미로운듯 · 607807 · 16/05/18 22:48 · MS 2015

    답좀요!!ㅎ

  • [염태섭] · 605020 · 16/05/19 10:20 · MS 2015

    차례대로 2,3,2

  • 연통17(재) · 647191 · 16/05/18 23:29 · MS 2016

    123453254321

  • 그레이트불기둥 · 454800 · 16/05/19 06:36 · MS 2013

    선생님 그럼  답을찾을때 무시해도 되는 사례말고 예시에서 답이 나올때는 언제인가요?? 사례2가 무시해도되면 사례1에서 답이 나오는게 가능한가요?? 언제 사례에서 답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ㅜㅠ

  • [염태섭] · 605020 · 16/05/19 09:55 · MS 2015

    사례2를 그냥 무시하라는 소리가 아니다.

    사례1을 이해하고 사례2가 같은 문맥인것을 이해해야 넘어갈 수 있다..


    주장 1: 유머는 두 가지 생각의 병치로 발생한다

    사례 1 : 두 가지 생각의 병치로 발생하는 유머

    사례 2 : 뭔 이상한 단어랑 소리의 나열이지만, 2가지 개념이 존재함(상반됨)

    -> 해석을 해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가지만,

    -> 이 사례가 부연설명이라는 것을 파악, 아 대조의 내용이구나 !!
    빠르게 넘어가라는 소리임..


    -------------------------------------------

    그래서 사레를 빨리 이해하고 넘어가는 연습을 하는게 중요함


    완전 개무시하라는 소리가아님
    --------------------------------------------------------------

    그리고 예시에서 보통 정답이 나올때는

    여러가지 예시를 통하여 -> 일반적 주장을 이끌어내는 상황을 말함


    예를 들어,


    1) 알렉산더 대왕은, 엄청 고군분투하여 모든 나라를 점령했지만 더 이상 점령할 것이 없을 떄 그는 무기력감에 빠졌다

    2) x라는 사람은 기술이라는 영역을 정복했다. 그러나 그가 기술 영역을 정복했을 때 그는 신경 마비가 왔다.


    -> 이 두 가지 사례의 공통점을 뽑아내면 그것이 주제가 될 가능성이 많음(글의 흐름이 역접 접속사로 바뀌지 않는한)

    ----------------------------------------------------------------------



    사례를 통해 정답을 내는 문제에 대한 칼럼은 조만간 올려줄게^^;

  • 고양이고향은고양 · 493209 · 16/05/19 08:01 · MS 2014

    12345354321
    12345354321 인가요?

  • [염태섭] · 605020 · 16/05/19 09:55 · MS 2015

    차례대로 2,3,2 요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