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3편 - 우리가 앞으로 할 일
게시글 주소: https://i.orbi.kr/00028124116
수국과학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7388414
13편 - 2011 9형 한계비용 https://orbi.kr/00027569221
14편 - 2017 6평 유비추론 https://orbi.kr/00027801923
15편 - 2013 6평 민주주의 https://orbi.kr/00028092044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초장문)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1편 - 여러분의 슬픈 자화상 https://orbi.kr/00028054862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2편 - 수능 국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8078691
3편 앞으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이제 이 책에선 뭘 하게 될까요? 독해력과 사고력을 기를 것입니다. 저는 앞서 독해력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주제를 찾는 능력. 핵심내용을 찾고 효율적으로 읽는 능력”
여태까지 학생들은 어려운 비문학 지문을 읽으면서 별 계획이나 기준도 없이 닥치는 대로 읽어왔습니다. 그리고 다 읽고 나서 머리가 초기화되고, 문제를 보면 다시 지문을 올라가서 일일이 정보를 찾고 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독해 훈련을 빡세게 할 것입니다. 글을 읽으면서 주제를 찾아내고, 유형을 나눌 것입니다. 충격적이게도 비문학에도 유형이라는게 존재합니다. 이 유형을 나누고, 각 유형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떤 생각을 염두에 두어가며 읽어야 하는지 계속해서 반복하고 훈련할 것입니다. 수능 국어에 대한 다양한 조언을 들어보면 “독해력을 기르기 위해서 기출을 여러번 풀어봐라”라는 식의 이야기가 많습니다.
대체 독해력이 얼마나 올라가는지도 아무도 모르고, 왜 기출을 봐야 하는지도 안알려줍니다. 그러다보니 그냥 오래 앉아서 지문을 쳐다만 보면 독해력이 오를 꺼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추상적으로 뚜렷한 목표의식도 없이 공부하면 비효율적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앞으로 우리는 이 부분을 매우 명료하고 정확하게 건드려 볼 것입니다. 독해력이얼마나 올라갔는지 제한적이나마 측정도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다 알겠어요. 독해력과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지문의 핵심내용과 주제를 찾는 훈련을 하겠는데, 그게 비문학이랑 무슨 상관인가요? 그걸 발전시키면 밥이 나오나요 떡이 나오나요? 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그런 의문을 가진 학생이 있다면 정말 칭찬해 주고 싶습니다.
우리가 수능 국어 비문학에 대한 독해와 사고 훈련을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수능 비문학에서 주제만 잘 잡고, 핵심내용만이라도 제대로 파악했다면 문제가 정말 쉽게 풀리기 때문입니다”
이런 말을 처음 듣는 학생들은 대체 무슨 의미인지 이해를 못할 것입니다. 필자 또한 한달 동안 이런 훈련을 하고 나서야 서서히 감각을 익히기 시작했으며, 대략 2년 정도를 이 활동에 투자한 뒤에야 책을 써서 남에게 보여줄 수 있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독자들에게 완벽한 이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아직까지는).
수능 국어의 비문학 지문에는 주제가 매우 뚜렷하며, 그것에 맞춰 문제가 출제됩니다. 아무리 어려운 소재와 내용을 설명한 글이라 하더라도 주제를 확실히 염두에 두고 읽으면서 계속 그것을 상기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출들을 읽으면서 유형을 나누고, 같은 유형에 대해서 같은 사고와 독해를 하는 훈련을 계속해서 반복할 것입니다.
이 비문학 지문은 시간의 흐름(통시성)이 있는가? 혹은 발전과정이 제시되어 있나? 어떤 쟁점을 가지고 두 가지 입장이 싸우는 글인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해결방안이 제시된 글인가? 사회나 경제 제도에 대해서 설명했나? 어떤 것을 비판하는 글인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식과 수단이 제시된 지문인가? 기술적인 작동 원리나 과정이 길게 소개된 글인가?
여러분은 한번이라도 글을 읽으면서 이런 것들을 염두에 두어가며 읽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아닐껍니다. 그러니까 수능 국어를 못했죠. 비문학에는 일정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유형마다 읽어야할 방법, 주의해서 보아야할 부분이 다 정해져 있습니다. 거기 안에 들어있는 소재나 내용이 달라지더라도, 특정 유형과 종류에 대해서 해야 할 일들은 정해져 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각각의 상황과 유형에 따른 읽기 방법, 사고 방법을 훈련할 것입니다. 비문학 지문을 보면 여러 문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수많은 문단에서 가장 중요한 문단은 몇 번째 문단일까요? 가끔 예외나 변형된 지문이 있긴 하지만,
“ 90 % 이상은 첫 번째 문단이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비문학 지문에서 첫 번째 문단에 글의 유형과 방향성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첫 문단을 제대로 읽고 제대로 상기를 했다면, 나중에 어려운 소재가 나와도 무리없이 소화해낼 수 있습니다. 독해를 하는 훈련을 하다보면 나중에는 그냥 쓱 훑어만 보아도 아, 이런 상황에서는 뭐에 집중해야겠구나 감이 올 것입니다. 더 내공이 쌓이면 굳이 일일이 생각할 필요도 없이 손과 눈이 먼저 튀어나갈 것입니다.
첫 문단을 읽는 순간 이미 적절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머릿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이 말입니다. 처음에는 대단히 어려울 것입니다. 여태 한번도 해보지 않은 훈련이니까요.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끊임없는 반복과 시행착오로 알고리즘이 머릿속에 단단히 형성되면, 나중에는 눈 감고도 쉽게 할 수 있는 경지까지 오를 것입니다.
누구나 운전대를 처음 잡아본다면 버버벅 거리고 핸들이 매끄럽게 돌아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반복된 경험과 숙달을 바탕으로 적응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몸이 기억해서 고민할 필요도 없이 수월하게 고난도의 주차까지 할 수 있습니다. 명심하십시오. 앞으로 우리는 독해와 사고 훈련을 할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주제를 찾고 알맞은 방법으로 생각하는 법을 튼튼하게 형성할 것입니다. 이후 책에서 제시하는 수많은 테크닉과 방법, 팁 모두 이 주제를 위해서 존재합니다.
주제가 없으면 글도 없고, 수능 국어 비문학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능 국어를 준비하는데에 가장 좋은 준비물은 수능, 모평 기출입니다. 기출을보면 과거 출제진들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 알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지문이 출제되었을 때 거기에 맞는 생각을 해야할지 준비하기에 적합합니다. 글이라는 것은 대단히 자유롭고, 누가 쓰느냐에 따라서 성격과 특징이 심하게 변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수능을 준비하는 인간들로서, 되도록 수능과 비슷한 생각과 경험을 익혀야 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기출 문제들을 바탕으로 출제진들이 대체 무슨 생각을 했을지 유추하고 공감할 것입니다. 그리고 각각 상황에 대한 최적의 접근 방법과 사고 방법을 고민해볼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그래도 트와이슨가?
-
죄송합니다 안녕히주무십쇼 모두
-
얼버잠 1
-
잘 자 2
난 잘 게
-
충북대 의대 1
충북대 의대 이번에 뉴스도 나오고 느낌이 좋진 않던데 충북대의대 가는게 나을까요...
-
여장남자만 뜸
-
가난이 군대같이 오리라
-
기분좋은 준딱뎀 0
5000원부터 환전 가능인데 5009포인트로 전환컷 거의 딱뎀 오늘 하루 좋은일이 있을거같아
-
레어가 팔렸는데 2
얼마안하는거다..
-
고양이 ㅇㅈ 1
-
다.
-
예쁘다 6
으흐흐
-
점공중에서 도저히 모르겠는것들이 너무 많아서.. 생물 558.14 간호 555.57...
-
생명과학1 섬개완 중 상크스 공부법좀 알려주실 분..? 0
현재 섬개완 수강 중 인데 상크스를 진도에 맞춰서 듣는게 나을까요, 아님 섬개완을...
-
저 치지직 레어 먹어야되는데 잘못 눌러서 망해써요...
-
외대 language ai 점공봐주실분 계신가요...? 0
저 스스로 분석하는중인데 정말 될지안될지 모르겠는상황이라..
-
수학 공통 난이도가 어떻나요..? 고2모고 비해 많이 올라가나요…? 고3 22랑...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아..
-
인강강사들만 보고있다보니 너무 정들고있어 듣는강사들싹다호감됨 대학잘가면...
-
설수리고르고미적물2화2고른척하고싶은감성충만한새벽이다
-
다시 덕코를 모아보자 12
-
오랜만에 칼럼 작성 중에 심심하네요 아무 질문이나 해주세요
-
얼버기 13
9시에 자서 지금 깼어요
-
버리기 기능 없나ㅔ
-
고양이진공청소기 2
위이이잉
-
소주 2병씩 먹고 같이 담배 피우고 자기
-
@슈냥소환 7
-
이미많이올라서 잘모르겠다
-
배고파요 1
밥줘
-
주변에 모솔 있음? 13
난 주변에 사람 자체가 없음
-
내년에는 안하겠지…?ㅠ
-
잘자라옵붕이들 3
그대들이무슨고민을하고있든 모두잘될것이니 일단자자
-
레어화긴 11
나경??
-
그런 거구나
-
뭐야 10
여장 무서워요?
-
턴해집회나 가라
-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기균 예비 1번인 분 등록하시나요? 노예비라 가늠이 안 돼서...
-
여러분 꿈떡마쇼
-
진짜로 킬러 지문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변별하는데 이 방법 말고 더 좋은 게 없음
-
안자냐ㅉ 0
에휴
-
근데 그게 제 정체성을 형성한 듯
-
수학은배성민 2
그치? 우리정파야? 정의가 제일 중요해? 아 근데 0/0꼴이네? 뭐하러 이렇게 해 로피탈쓰자?
-
이번 수능 공통 15,20,21틀렸고 확통은 ㅎㅎ…. 15는 훑기만하고 시간...
-
하..
-
25처럼 엔수생 탈출 시켜달라는 거다.. 24마냥 그러지말고
-
근데 자기싫은데 0
왜자야함 내일휴일인데
-
다잘풀줄안다면만점이겠지
-
재밌을 것 같아 여기 이상하고 웃긴 애들이 많아
-
내일부터는 진짜 헬스 나갈게요…